삶과문화

2025.07.29 16:33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조회 수 2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315446_94299_2518.jpg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종교다원주의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힌두교 비이원성 철학에 기초한 라마크리슈나와 그를 교주로 삼아 출발한 라마크리슈나 미션이다. 둘째는 기독교 바탕에서 종교다원주의를 표방한 칼 라너, 라이문도 파니카, 존 힉, 그리고 이를 세계교회협의회(WCC)에 전승시킨 스탠리 사마르타와 웨슬리 아리아라자 등의 종교다원주의이다. 셋째는 한국인 탄허 스님의 불교판 종교다원주의이다.

 

 

한국인 승려 탄허는 '불교판 종교다원주의자'이다. 그의 주장은 단순히 모든 종교가 같다는 식의 피상적인 다원주의를 넘어선다. 그의 사상의 핵심은 '회통(會通)''화엄사상(華嚴思想)에 기반한 통합적 진리관'이다.

 

 

첫째, 화엄사상에 기반한 만법귀일(萬法歸一)의 진리를 강조한다. 탄허 스님은 불교의 화엄사상, 특히 '사사무애‘(事事無碍)의 도리를 최고의 교학으로 본다. 이는 우주 만물이 서로 원융하게 조화되어 있고, 모든 현상이 본래 하나의 진리에서 나왔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유교, 불교, 선교(도교) 등 동양의 여러 사상과 종교는 물론, 서양의 종교와 학문까지도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진리로 통한다는 입장을 가졌다.

 

 

둘째, 종교 간의 차이 인정과 상호 보완성을 강조한다. 단순히 모든 종교가 같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각 종교가 지향하는 바와 깨달음의 방식에는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지만, 이러한 차이들이 궁극적으로는 같은 진리를 향해 나아가는 다양한 길이라고 본다. 서로 배척하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으로 이해하고 융합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기독교의 삼위일체론 등 기독교 또는 서양 종교의 사상까지도 불교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회통하려는 시도를 한다.

 

 

셋째, 인간 정신의 근원으로서 '성품’(性品)을 강조한다. 모든 종교의 근본 목적은 인간의 본래적인 심성, '성품'을 깨닫는 데 있다고 한다. 천당이나 지옥과 같은 개념은 유치원생을 지도하는 것과 같은 방편이며, 중요한 것은 우주의 주체가 무엇인지, 즉 우리의 정신(마음)이 시공을 초월한 근원임을 깨닫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넷째, 미래 예지와 한국의 역할을 강조한다. 역학(易學)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와 세계, 한국의 미래에 대한 예지를 남기기도 했다. 그는 미래에 인류가 큰 변화와 혼란을 겪을 것이지만, 이는 궁극적으로는 더 큰 성숙을 위한 과정이며, 한국이 이러한 변화 속에서 동양 정신의 중심이자 세계의 정신적 수도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예지는 개인적인 호기심을 넘어 모든 인류가 공유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다.

 

 

탄허는 불교 뿐 아니라 유불선을 회통한 것으로 유명하다. 난해한 노장사상에 대해서도 회통을 통하여 그 뜻을 드러내 지식인들에게 새로운 길을 제시했다.

 

 

요컨대, 탄허의 종교다원주의는 각 종교의 고유성을 인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화엄사상에 입각한 심오한 진리관을 통해 모든 종교와 사상이 하나의 큰 틀 안에서 조화롭게 만날 수 있다는 포괄적인 관점이다.

 

 

탄허의 종교다원주의 사상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은 승려가 있다. 승려 문광의 논문 제목은 탄허 택성의 사교 회통사상 연구”(2018)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제출한 것이다. 후에 학술서 탄허 선사의 사교 회통 사상이라는 단행본 책으로 출간되었다.

 

최덕성, 브니엘신학교  총장

 

위 글은 <종교다원주의: WCC의 신앙고백>에 실린 글을 간추린 것이다.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3)   교만은 단순한 자아도취나 오만한 태도가 아니다. 그것은 존재의 가장 깊은 심연에서 터져 나오는 비극적인 선언이며, 피조물로서의 숙명을 거부하는 장엄하고도 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1 file
    Read More
  2. 영혼의 그림자 드리운 왕좌: 자기 높이기

        영혼의 그림자 드리운 왕좌: 자기 높이기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2)   다른 죄들은 벼룩에 물린 자국에 불과하다. 그러나 교만은 영혼을 태우는 불이다.   고대의 신화에 나오눈 프로메테우스는 신의 불을 훔쳤다. 그는 인간을 위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6 file
    Read More
  3. 단테와 일곱 가지 죽음의 죄

      서울서부법원 복도에 걸려 있던 그림   단테와 일곱 가지 죽음의 죄 — 사랑이 잿빛으로 변한 자리   ―일곱가지 죽음에 이르는 죄에 대한 묵상  (칠거지악 1-1)   1. 단테, 어둠의 숲에서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 그의 『신곡』(La ...
    Date2025.10.24 Byreformanda Reply0 Views26 file
    Read More
  4. 자유는 서서히 무너진다

    이재명 대통령 부부      자유는 서서히 무너진다   공산화는 총칼로 오지 않는다. 법의 이름으로, 제도의 얼굴로, 언론의 포장지에 싸여 조용히 스며든다.'   먼저, 방송이 변한다. 진실은 편집되고, 불편한 질문은 사라진다. 국민은 “그게 전부”라고 믿으며...
    Date2025.10.23 Byreformanda Reply0 Views42 file
    Read More
  5. 환율이 오르면 어떻게 되는가?

      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      환율이 오르면 어떻게 되는가?   환율이 개박살났다. 이제 1400원대가 뉴노멀이 됐다. 롤러코스터처럼 오르락 내리락하던 환율이 이제는 1400원 밑으로 더 이상 내려가질 않는다. 이재명 정권 출범 이후 환율은 사실상 1400원...
    Date2025.10.11 Byreformanda Reply0 Views104 file
    Read More
  6. 오세택 목사님께

        오세택 목사님께   손영광 (울산대학교 교수)   제목: 손현보 목사님 징계를 요구하는 예장 고신 두레교회와 오세택 목사님께   기윤실(기독교윤리실천운동)과 고사모(고신교단을 사랑하는 모임)라는 이름으로 모이는 기독교 좌파들이 손현보 목사님 징계...
    Date2025.09.27 Byreformanda Reply0 Views217 file
    Read More
  7. '오빠와 누나' 이야기

        '오빠와 누나' 이야기   오빠와 누나 이야기 – 노래로 부르는 한국 현대사   황석영의 <장길산> 읽을 때 싱긋 웃은 적이 있습니다. 사람 목 비틀기를 예사로 하는 험상궂은 장정들이 상대방을 부를 때 ‘언니’라고 부르는 거예요. 어려서 사촌 누나에게 ‘...
    Date2025.09.04 Byreformanda Reply0 Views273 file
    Read More
  8.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전 숭실대학교 교수였던 김영한 박사(샬롬을 꿈꾸는나비행동 상임대표)가 2025년 9월 1일, “조국과 윤미향에 대한 광복절 사면에 관하여”라는 논평을 발표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조국 씨와 윤미향 씨에 대한 광복절 사면에 ...
    Date2025.09.01 Byreformanda Reply0 Views228 file
    Read More
  9. 낙하복 실험

        낙하복 실험   1912년 파리, 낙하복 실험을 위해 그는 타워에서 뛰어내렸다   1912년 2월 4일, 프란츠 라이셰르트(Frantz Reichelt)는 자신이 발명한 걸작인 "낙하복"이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증명하기 위해 이 옷을 입고 파리 에펠탑까지 올랐습니다. 당...
    Date2025.08.24 Byreformanda Reply0 Views260 file
    Read More
  10.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 남북한의 정통성 논쟁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단순한 역사 논쟁이었다면 목사가 굳이 펜을 들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다르다. 북한이, 혹은 북한과 유사한 성격의 체...
    Date2025.08.14 Byreformanda Reply0 Views281 file
    Read More
  11.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종교다원주의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힌두교 비이원성 철학에 기초한 라마크리슈나와 그를 교주로 삼아 출발한 ‘라마크리슈나 미션이다. 둘째는 기독교 바탕에서 종교다원주의를 표방한 칼 라너, 라이문도 파니카, 존 ...
    Date2025.07.29 Byreformanda Reply0 Views295 file
    Read More
  12.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대대한민국 헌법 제84조는 국가 최고 권력자로 하여금 안정적인 국가 경영과 통치를 하도록 일시적 특권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 법은 최고 권력자에게 법 위에 있을 수 있는 권한 부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대통령은 재직 ...
    Date2025.06.17 Byreformanda Reply0 Views662 file
    Read More
  13.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후보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의 전라도 논평   아래는 주동식 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의 세이브코리아 광주 집회의 연설 전문이다. 광주 출신인 그는 “친북·종중에서 벗어나 대한민국과 함께 가야 호남도 살아...
    Date2025.04.20 Byreformanda Reply0 Views820 file
    Read More
  14.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난리와 폭동이 예상되는 날이다. 대규모 집단 불복과 반발이 시작될 모양이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간판을 뗄 것이라고 하는 자들도 있다.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
    Date2025.04.03 Byreformanda Reply1 Views2812 file
    Read More
  15.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허영 교수(대한민국의 법조인, 헌법학자, 1936-)는 위법한 헌재 탄핵심판 결정이 오히려 국민 저항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0가지가 넘는 이런 불공정하고 졸속으로 진행된 탄핵심판을 우리 국민이 용납하겠...
    Date2025.03.07 Byreformanda Reply0 Views110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