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서부법원 복도에 걸려 있던 그림
불을 훔친 인간, 불에 삼켜진 인간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1)
다른 죄들은 벼룩에 물린 자국에 불과하다. 그러나 교만은 영혼을 태우는 불이다.
고대의 신화에서 프로메테우스는 신의 불을 훔쳤다. 그는 인간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하늘의 불을 주머니에 숨겨 내려왔다. 불은 따뜻함이었고, 문명이었으며, 지혜였다.
그러나 그 불은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신의 힘이었다. 제우스는 분노했고, 프로메테우스는 바위에 묶인 채 독수리에게 간을 쪼이는 형벌을 받았다. 간은 다시 자라고, 독수리는 다시 돌아왔다. 불을 훔친 인간은 결국 불에 삼켜졌다.
이 오래된 신화의 그림자는 오늘의 세계에도 남아 있다. 프로메테우스는 실리콘 밸리의 연구소에 앉아 유전자를 재편집하는 과학자의 얼굴로 돌아왔고, 인공지능을 훈련시키며 신의 언어를 해독하려는 프로그래머의 손끝에 깃들어 있다. 그는 자신이 만든 불빛 아래에서 점점 어두워지는 자신의 영혼을 모른 채, 그 불꽃을 ‘진보’라 부른다.
교만은 단순히 자신을 높이는 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밀어내고 스스로 신의 자리에 앉으려는 욕망이다. 하늘을 향해 탑을 쌓던 바벨의 사람들처럼, 인간은 ‘더 높이’라는 주문 아래 살아간다. 더 높은 빌딩, 더 강한 권력, 더 큰 영향력. 그러나 탑이 높아질수록 마음의 평지는 사라진다. 그때부터 인간은 자신이 만든 탑 아래 깔려 산소를 잃은 존재로 전락한다.
성경은 교만을 모든 죄의 뿌리라 말한다. “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대적하시되, 겸손한 자에게 은혜를 주신다.”
이 말씀은 마치 천둥처럼 귓가에 울린다. 교만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인간 자신을 폐허로 만든다. 신의 자리를 탐할 때마다 불은 다시 타오르고, 독수리는 다시 날아온다.
오늘의 젊은 세대는 자기 확신의 시대를 산다. 자기계발, 자기표현, 자기실현이 인생의 표어가 되었다. 그러나 ‘자기’의 중심에 하나님이 사라질 때, 그 확신은 교만으로 변한다. 교만은 처음엔 향기로운 향수처럼 느껴지지만, 끝내 숨을 막히게 한다. 반면, 겸손은 처음엔 무색무취 같지만, 그 향은 오래 남는다.
잃어버린 진짜 자유는 ‘내가 중심이 아님’을 아는 데서 시작된다.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인간을 인간으로 인정할 때 인간은 비로소 인간다워진다. 교만은 불을 훔쳐 스스로 신이 되려는 길이지만, 겸손은 불 앞에서 무릎을 꿇고 그 빛에 감사하는 길이다.
하나님은 지금도 묻고 계신다. “누가 너에게 그 불을 맡겼느냐?” 그 물음 앞에서 고개를 숙이는 순간, 독수리의 날개가 멎고, 타오르던 불은 빛으로 변한다. 그때 인간은 더 이상 신을 흉내 내지 않고, 신의 형상으로 회복된다.
최덕성, 브니엘신학교 총장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