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표지 종교다원주의 111.jpg

 

 

 

신간: 종교다원주의WCC의 신앙고백을 해부하다

 

최덕성, 종교다원주의: WCC의 신앙고백(서울:본문과현장사이, 2025, 852)

 

 

20세기 후반,세계 신학계에 낯설면서도 기이한 사조가 부상했다.종교다원주의모든 종교가 궁극적 실재로 향하는 동등하고 유효한 길이라는 주장은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원의 길이라는 역사적 기독교 신앙에 정면으로 도전한다. 진리의 상대성,궁극적 실재의 초월성,구원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이 사조는 인류의 평등을 외치지만 동시에 기독교 복음의 중심을 희미하게 만든다.

 

 

이 거대한 흐름 속에서 세계교회협의회(WCC)하나님의 구원의 은총에는 제한이 없다는 선언으로 화답했다. 타종교인의 진리 탐구 안에도 하나님의 창조적 사역이 있음을 인정한다는 공식 문서, 예컨대 바아르선언문”(1990)종교다원주의와 기독교인의 자아정체성”(2006) 등은 그 방향을 명확히 드러낸다. WCC 초대 총무 비셔트 후프트 박사조차 이 단체가 출범 초기부터 강력한 종교통합주의와 종교혼합주의의 흐름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증언한다.

 

 

저자는WCC가 종교다원주의를 단순히종교 간의 대화목적이 아닌 신앙고백으로 수용한 과정을 치밀하게 추적한다. 자유주의 신학, 20세기 후반의 시대정신(나치 학살·식민주의 반성, 평등전제주의), 그리고 힌두교 아드바이타(Advaita)비이원적 세계관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을 증명한다.그래서 종교다원주의자들이 숫자 개념의 유일신이 아닌 다신론적 유일신, 잡신총합 유일신을 신봉하는 신념 체계를 향한 신학적 전환을 경험했음을 밝힌다.

 

 

흥미로운 것은, WCC에 참여하는 일부 교회들이 “WCC는 종교다원주의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부인하는 점이다.한국 예장 통합 제106회 총회(2021)는 이를 공식 선언하고, WCC선교전도국 총무를 역임한 금주섭 박사는 복음과 에큐메니칼 신앙(2021)에서 이를 적극 옹호하고 나섰다. 그러나 저자는 풍부한 사료와 논증을 거쳐 이러한 해명이 사실 은폐와 호도에 지나지 않음을 밝힌다.

 

 

이 책은 무엇보다 이 단체의 종교대화국 책임자, 유급 전임 신학자 스탠리 사마르타 박사와 웨슬리 아리아라자 박사의 이름과 종교다원주의 이론에 집중한다. WCC의 종교다원주의 신앙고백을 설계하고 이론화한 이 핵심 인물들의 구상은 WCC1960년대에 수용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이론과 1970년대의 '종교 간 대화' 이론이 결합하여 역사적 기독교의 구원의 복음을 점차 배제하는 시너지 효과를 일으켰다. 그 결과로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유일 신앙은 변두리로 밀려나고, 성경이 증언하고 역사적 기독교가 고백해 온 신론-성령론·기독론·구원론·선교론은 해체되었다.

 

 

저자는 종교다원주의를 기독교의 블랙스완”(Black Swan)이라 부른다.이 사상에 물든 설교자는 십자가의 복음을 선포하지 않고,비평적 성경관·동성결혼·성소수자 인권·차별금지법·사회주의 이념·문화 마르크스주의 등과 쉽게 손을 잡는다. 852쪽에 걸쳐 정밀하게 짜인 33편의 대중적 읽기를 고려한 학술 논문은 종교다원주의가 WCC의 실질적 신앙고백임을 입체적으로 입증한다.

 

 

이 책은 단순한 비판서가 아니다. 학문적 고증, 방대한 문헌 조사, 엄격한 신학적 판단을 거쳐 오늘날 교회가 어느 길목에 서 있는지를 냉철하게 묻는다. 역사적 기독교 복음과 진리를 붙들 것인가, 종교다원주의의 매혹에 기울 것인가? 그 물음 앞에서 독자들은 더 이상 중립에 머물 수 없음을 밝힌다.

 

표지 종교 2.jpg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신간: 종교다원주의―WCC의 신앙고백을 해부하다

          신간: 종교다원주의―WCC의 신앙고백을 해부하다   최덕성, 『종교다원주의: WCC의 신앙고백』 (서울:본문과현장사이, 2025, 852쪽)     20세기 후반,세계 신학계에 낯설면서도 기이한 사조가 부상했다.종교다원주의―모든 종교가 궁극적 실재로 향하는 ...
    Date2025.09.28 Byreformanda Reply0 Views10 newfile
    Read More
  2. 개혁교회의 정치참여, 바람직한가?

      예장 고신 대사회관계위원회, ‘정교분리의 원칙과 한국교회의 정치참여’ 논의   “한 손에는 성경을, 다른 한 손에는 신문을”   ▲최덕성 박사는 “개혁교회의 목사는 한 손에는 성경을, 다른 한 손에는 신문을 든 하나님의 말씀 선포자로, 국가가 직면한 정치...
    Date2025.07.06 Byreformanda Reply0 Views433 file
    Read More
  3. 정치 설교, 성경 따라 얼마든지 가능하다

          정치설교, 성경 따라 얼마든지 가능하다   개혁신학적 정치 참여 매니페스토(manifesto)   아래의 글은 필자(최덕성)가 개혁신학포럼 데26차 정기 세미나(2025.04.26. 은평제일교회당 별관)에서 발표한 글을 <크리스천투데이>가 발췌 기사화 한 것이다. ...
    Date2025.04.30 Byreformanda Reply0 Views690 file
    Read More
  4. 대통령 탄핵 찬성-반대 데모, 무방한가?

      대통령 탄핵 찬성-반대 데모, 무방한가? 기독교인이 길거리에서 대통령 탄색 찬성-반대 시위를 해도 무방한가? 이 글은 하나님의 나라는 정치와 정부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밝힌다. 최근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를 주도하는 세이브코리아 대표와 가담하는 ...
    Date2025.02.16 Byreformanda Reply0 Views942 file
    Read More
  5. 종교다원주의와 아드바이타 세계관

        종교다원주의와 아드바이타 세계관   종교다원주의는 현대 기독교 신학의 최대의 화두이다. 이 사조는 인류가 종교적 다원 시대에 진입했음을 강조하면서 역사적 기독교를 향하여 타종교에 대한 관점을 바꾸라고 요구한다. 모든 종교가 다양한 구체적 삶...
    Date2025.01.04 Byreformanda Reply0 Views1128 file
    Read More
  6. Rick Warren's 10 Suggestions at the 4th Lausanne Conference

        Rick Warren's 10 Suggestions at the 4th Lausanne Conference     The 4th Lausanne Conference, held in Seoul-Incheon, concluded. Pastor Rick Warren who recently retired from leading Saddleback Church, presented "10 Suggestions for Fulfill...
    Date2024.09.28 Byreformanda Reply0 Views899 file
    Read More
  7. 종교다원주의의 기초는 힌두교 사상이다

        종교다원주의의 기초는 힌두교 사상이다     종교다원주의가 기독교계에 등장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였다. 우리가 아래에서 논의할 종교다원주의 사상가 라이문도 파니카, 존 힉, 폴 니터 그리고 WCC 신학자 엠 토마스, 스탠리 사마르타, 웨슬...
    Date2024.09.06 Byreformanda Reply0 Views1085 file
    Read More
  8. 킹 제임스판 성경 초판은 몇 권을 담고 있는가?

        킹 제임스판 성경 초판은 몇 권을 담고 있는가?     킹 제임스 판 영어 성경(1611)은 초판에 담긴 성경은 모두 80권이다.로마가톨릭교회가 성경으로 보는 가경 14권이 포함되어 있다.     현대 가톨릭교회 성경에는 모두 73권의 성경이 담겨 있다. 가경들...
    Date2024.08.27 Byreformanda Reply0 Views1304 file
    Read More
  9. 개혁주의 산학자의 세대주의 반박

        개혁주의 산학자의 세대주의 반박   -세대주의에 대한 95개조 반박문-   로버트 레이몬드 박사   (전 커버넌트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머리말     우리는 사람들이 이 세대주의 반박문을 보고 니케아카운슬닷컴이나 역사적으로 성경을 믿는 교회들이 ...
    Date2024.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1136 file
    Read More
  10. 칼빈은 사람을 죽였는가?

        칼빈은 사람을 죽였는가?     삼위일체 하나님 신앙을 부정하는 이단자 세르베투스와 관련하여 종교개혁 신학자 존 칼빈을 폄하하는 영상이 나돈다. "칼빈이 많은 사람들을 죽였다”고 한다. 칼빈이 58명을 직접 살해했다고 한다. 그가 살인자이며, 끔찍한...
    Date2024.06.26 Byreformanda Reply0 Views1187 file
    Read More
  11. 종교간의 대화운동의 목적은 '대화'가 아니다

        종교 간의 대화운동의 목적은 '대화'가 아니다   류현웅 (2005년의 글)   원제: WCC의 종교간의 대화가 기독교 선교에 미친 영향: 종교다원주의를 중심으로     I. 서론     기독교에서 타종교에 대한 입장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것은 선교학적인 맥락에서...
    Date2024.06.01 Byreformanda Reply0 Views808 file
    Read More
  12. 천년왕국, 이해하기 어려운가?

          천년왕국, 이해하기 어려운가?     성경에는 ‘천년왕국’(Millennial Kingdom)이라는 표현이 등장하지는 않는다. 예수님의 사도 요한은 계시록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하다가 목 베임을 받은 자들 곧 순교자들과 짐승에게 경배하지 않은 자들과 짐승의...
    Date2024.04.05 Byreformanda Reply0 Views1342 file
    Read More
  13. 동정녀 수태 교리의 진수

      동정녀 수태 교리의 진수   크리스마스ㅡ성탄절은 단순한 생일이 아니라 대강절, 주현절, 사순절, 부활절, 성령강림절과 함께 기독교 세계에서 여섯 명절 중 하나다. 흔히 성탄절이 태양절에서 유래했다 하여 경시하는 풍조가 있으나, 여섯 절기는 “유대인...
    Date2023.12.24 Byreformanda Reply0 Views914 file
    Read More
  14. 공공신학의 의미와 목표 재고

        공공신학의 의미와 목표 재고     최근 몇 년 동안 공공신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몇몇 신학자들은 그 한계와 보완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로 공공신학을 강조한다.     "공공신학"이라는 용어는 1974년 마틴 마티(Martin Marty)의 논문 "R...
    Date2023.12.11 Byreformanda Reply0 Views910 file
    Read More
  15. 신인(the God-man) 찬미

    성 마티아스 교회, 부다페스트, 헝가리   신인(the God-man)  찬미   나는 해마다 성탄 카드를 쓰면서 "성탄의 큰 의미로 가득한 성탄이 되시기를" 기원하는 문구를 넣는 습관이 있다. 오랫동안 우리 주변의 사람들의 성탄 맞음에서 성탄의 큰 의미가 퇴색된 ...
    Date2023.12.07 Byreformanda Reply0 Views73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