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산책

몰골기독교 1.jpg

 

 

몽골 제국과 원나라의 기독교( 1)

 

13세기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 대륙을 아우르는 대제국을 건설하고, 이후 원나라를 건국한 시기에 기독교가 어떤 위상을 가졌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기존의 역사적 사실들을 연대기적 및 주제별 관점에서 살펴보고, 기독교의 흥망이 몽골 제국의 독특한 정치적,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특히, 기독교의 부흥과 쇠퇴가 단순한 종교적 사건이 아니라, 시대적 흐름과 지배층의 전략에 종속된 결과였음을 논증한다. 이와 같은 접근을 통해, 본 연구는 몽골-원 시대 기독교 역사의 핵심 원리인 '정권이 망하면 종교도 소멸한다(政亡敎息)'는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

1. 몽골 제국과 원 시대 기독교의 흥망성쇠(1)

.

팍스 몽골리카와 종교 관용 정책

.

13세기 초, 테무진이 몽골 고원의 분열된 부족들을 무력으로 통합하고 1206년 칭기즈 칸으로 추대된 사건은 단순한 부족 통일을 넘어, 초원 사회의 근본적인 정치 체제를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

칭기즈 칸은 혈연 기반의 '가문사회'를 해체하고 강력한 칸의 권위에 복종하는 새로운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했다. 이어진 몽골 제국의 확장은 독보적인 군사적 우위와 제도적 혁신이 결합된 결과였다.

.

몽골군은 1인당 3~4필의 말을 운용하여 지치지 않는 기동성을 확보했고, 50km마다 역참(Jam)을 설치하여 제국 전역에 걸친 통신 및 보급망을 구축함으로써 원거리의 군대까지 효과적으로 통솔했다. 또한, 벌떼처럼 움직이는 게질라 작전인 '스웜 전술 (Swarm Tactics)'과 사냥 방식에서 비롯된 '네르제(Nerge)' 포위 전술은 몽골군의 군사적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

이러한 물리적 확장을 뒷받침한 것은 바로 종교적 관용 정책이었다. 몽골 제국은 유럽(Europe)과 아시아(Asia)를 합친 유라시아 대륙을 아우르는 방대한 영토를 정복하면서 종교적 신념의 자유를 허용하는 독특한 정책을 채택했다. 이는 제국의 창건자 칭기즈 칸으로부터 시작되어, 거대하고 복잡한 다민족 사회를 통합하고 통제하기 위한 실용적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흔히 알려진 몽골인들의 거친 이미지와 달리, 종교 관용은 '팍스 몽골리카(Pax Mongolica)'의 실현에 있어 핵심적인 축을 이루는 통치 전략이었다.

.

'정망교식(政亡敎息)' 원리

.

본 글의 핵심 주장은 몽골 제국과 원나라 시대 기독교의 운명은 지배층의 권력에 전적으로 종속되었으며, 그 기반이 매우 취약했기에 정권이 멸망하자 종교 또한 사라지는 '정망교식(政亡敎息)'의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당시 중국과 몽골에 전래된 기독교는 동방 시리아 교회의 한 분파인 네스토리우스파와 로마 가톨릭교회였다. 네스토리우스파는 당나라 시대에 '경교(景敎)'로 불렸고, 원나라 시대에는 가톨릭과 함께 '야리가온교 (也里可溫敎)'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

이러한 기독교의 운명은 종교가 지배층의 특권적 지위에 기대어 번성하는 한편, 대다수 민족인 한족에게는 뿌리내리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동시에 안고 있었기 때문이다. 몽골 제국의 종교 정책은 진정한 의미의 종교적 신념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교를 가진 지배층의 단결을 도모하면서도 잠재적 위협인 다수의 한족이 단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전략적 다원주의'에 가까웠다. , 기독교는 바로 이 정치적 계산 속에서 지배층의 종교 중 하나로 우대받았으며, 이 특권적 지위가 사라지자마자 존재 기반을 상실하게 된 것이다.

.

2. 몽골 초원의 기독교: 제국 이전의 뿌리

.

기독교를 수용한 몽골 부족들

.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설하기 이전의 몽골 고원은 여러 부족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미 이 시기부터 중앙아시아의 여러 튀르크계 및 몽골계 유목민족들 사이에서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가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실크로드를 따라 전파된 이 종교는 당나라 시기 중국에 '경교'로 들어 당나라에서 흥왕했으나 당 무제의 탄압 회창폐불 (会昌废佛, 845) 으로 망했으나, 몽골 제국 시대에 다시 부흥했다.

.

특히 칭기즈 칸의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부족들, 즉 케레이트족, 나이만족, 메르키트족은 기독교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중 케레이트족은 칭기즈 칸 시대의 몽골 초원 부족들 가운데 유일하게 기독교를 신앙하는 부족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은 몽골 제국의 탄생 초기부터 기독교의 영향력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

옹 칸과 테무친의 갈등: 신앙과 정치적 야망의 충돌

.

몽골 초원 통일 과정에서 칭기즈 칸(Chinggis Khan, 1162?~1227, 성스러운 군주)"과 케레이트족의 지도자인 옹 칸(Ong Khan, 王汗, Toghrul, 1130?-1203)의 관계는 기독교의 운명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옹 칸은 테무친의 아버지와 오랜 친구였으며, 테무친에게는 정신적 멘토이자 핵심적인 동맹이었다. 그러나 테무친의 세력이 커지자 옹 칸은 그에 대한 두려움과 질투심을 느끼게 되었고, 결국 테무친을 제거하려는 음모를 꾸몄다. 이 배신은 케레이트족의 몰락을 가져왔고, 테무친은 위기를 극복하고 몽골 제국을 세우는 초석을 마련했다.

.

이 사건은 단순히 부족 간의 정치적 갈등을 넘어, 한 종교의 역사가 거대한 정치적 흐름뿐만 아니라 그 시대를 이끌었던 개인의 선택과 성품에 의해서도 좌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기독교 공동체를 이끌던 옹 칸의 개인적인 질투와 권력욕이 종교의 확산에 결정적인 걸림돌이 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의 행동은 초원 지역에서 기독교가 더 널리 전파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상실하게 만들었으며, 몽골 제국의 기독교 역사가 거시적인 정책뿐만 아니라 미시적인 개인 관계와 선택의 결과였다는 점을 강조한다.

.

3. 제국 권력의 중심에 선 기독교

.

몽골 제국의 대모(大母), 소르카크타니 베키

.

몽골 제국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독교 인물은 단연 칭기즈 칸의 막내아들 툴루이(Tolui)의 아내이자, 뭉케 칸, 쿠빌라이 칸, 훌레구 칸, 아릭 부케 등 네 명의 위대한 통치자들의 어머니인 소르카크타니 베키 (Sorkhakhtani Beki)이다. 그녀는 케레이트족의 공주였으며 독실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이었다. 1203년 케레이트족이 칭기즈 칸에게 굴복한 후, 패배한 부족의 딸로서 그녀는 칭기즈 칸의 막내아들 툴루이의 아내가 되었다.

.

이 결혼은 단순한 혼인이 아니라, 칭기즈 칸이 멸망시킨 케레이트 부족의 유산을 흡수하고, 황실의 혈연 관계를 강화하여 제국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

소르카크타니 베키는 멸망한 부족의 왕족이라는 한계를 뛰어넘어, 남편 사후 뛰어난 지혜와 정치적 식견으로 자신의 아들들을 제국의 최고 권력자로 양육했다. 그녀의 종교적, 문화적 관용은 아들들에게 큰 영향을 주어 제국 내 종교적 공존의 토대를 마련했다. 그녀의 이야기는 정복과 무력의 역사로만 인식되는 몽골 제국에서, 혼인 동맹과 같은 섬세한 정치적 수완, 그리고 한 여성의 지성과 통찰력이 어떻게 제국의 운명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을 수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극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

칭기즈 칸의 실용적 선택과 기독교인 여성들

.

칭기즈 칸은 개인적으로 하늘신을 섬기는 텡그리교(Tengriism) 신앙을 가졌지만, 기독교인 여성들을 사위나 며느리로 선호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는 종교적 교리보다 자질과 능력을 중시하는 실용적인 안목으로 이들을 받아들였다. 칭기즈 칸이 기독교인 여성들을 선호한 것은 종교적인 이유가 아니라, "아이들을 잘 키우는 좋은 부모"라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

이러한 실용적인 선택이 소르카크타니 베키와 같은 인물을 황실의 핵심부에 위치시켰고, 이는 몽골 제국의 종교 관용 정책이 단순히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황실의 개인적인 선택과 가족 관계에서 비롯되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몽골 황실의 기독교 영향력은 공식적인 선교 활동보다 결혼을 통한 인척 관계 형성을 통해 확산되었으며, 종교가 제국의 안정과 미래 세대 양성을 위한 인적 자원의 일부로 간주되었음을 의미한다.

.

기타 황실 구성원들

.

소르카크타니 베키 외에도 몽골 황실 내에는 기독교에 깊은 관심을 보이거나 직접적인 관계를 맺은 인물들이 다수 존재했다. 훌레구 칸의 아내인 도쿠즈 카툰(Dokuz Khatun) 또한 케레이트 부족 출신의 공주로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 그녀는 훌레구 칸에게도 친기독교적인 성향을 갖게 하는 데 영향을 미쳐, 일 칸국 내 기독교인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

또한 제3대 칸인 귀위크 칸(Kuyuk Khan)은 공식적으로는 몽골의 전통 신앙을 따랐지만, 서양 사절에게 보낸 칙서에서 스스로를 "기독교도(tarsa)" 라고 고백한 기록이 전해진다. 이는 몽골 최고위층 내에서 종교적 정체성이 매우 유동적이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처럼 궁중 내에는 몽골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출신의 무사, 의사, 후비 등 경교 신자들이 상당수 있었음이 묘석 발굴 등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장석, 페이스북 글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몽골 제국과 원나라의 기독교 ( 1)

        몽골 제국과 원나라의 기독교( 1)   13세기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 대륙을 아우르는 대제국을 건설하고, 이후 원나라를 건국한 시기에 기독교가 어떤 위상을 가졌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기존의 역사적 사실들을 연대기적 및 주제별 관점에...
    Date2025.09.26 Byreformanda Reply0 Views31 newfile
    Read More
  2. 신사참배거부운동은 독립운동인가?

        신사참배거부운동은 독립운동인가?     일제말기의 신사참배거부운동은 순전한 기독교 신앙운동인가, 항일독립운동인가? 광복 80주년 신사참배 거부운동 재조명 제4회 국회 학술세미나가 8월 21일 오후 국회 대한민국헌정회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최덕성 ...
    Date2025.08.22 Byreformanda Reply0 Views118 file
    Read More
  3.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와 개신교인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와 개신교인   중국 최초의 프로테스탄트(개신교) 선교사는 로버트 모리슨(Robert Morrison, 1782-1834)이다. 영국인 모리슨은 1807년 런던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소속으로 중국 광저우에 도착하여 27년간 선교 활...
    Date2025.08.10 Byreformanda Reply0 Views237 file
    Read More
  4.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눈물

    The King’s Gallery, Edinburgh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눈물   원제:  예배당에 미술관 간판이 걸리게 된 사연   Scotland 수도 Edinburgh에는 군사 요충지 역할을 하던 에든버러성이 있고 거기에서부터 동쪽으로 1마일 거리에 스코틀랜드 왕실의 공식 거처...
    Date2025.08.08 Byreformanda Reply0 Views151 file
    Read More
  5. 김재준, 배교를 '역사의식’ 행동이라 변명하다

        김재준, 배교를 역사의식 행동이라 변명하다   원제: 김재준의 신사참배 합리화와 기독교장로회의 자기 서사     김재준은 신사참배를 “역사 윤리적 참여”로 해석하면서 주기철 목사의 순교는 “계율적 고집”이었다고 비판했다. 순교한 이는 “지나친 계율...
    Date2025.07.25 Byreformanda Reply0 Views308 file
    Read More
  6. 유럽인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왜곡 시선

        유럽인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왜곡 시선   서로마는 476년에 멸망했다. 반면 동로마는 천 년 가까이 더 존속하며, 헬레니즘과 로마의 문명, 기독교 신학, 제국 관료제와 법제를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러나 르네상스와 계몽주의를 거치며, 유럽은 동로마...
    Date2025.07.15 Byreformanda Reply0 Views349 file
    Read More
  7. 김경재 박사가 남긴 말

        고 김경재 박사(좌)와 김영한 교수     김경재 박사가 남긴 말   김경재 박사(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가 2025년 5월 3일에 향년 85로 세상을 떠났다. 35년 동안 신론 등을 조직신학을 가르쳤다. '   종교다원주의자 김경재가 남긴 가장 유명한 말은 “유일...
    Date2025.05.15 Byreformanda Reply0 Views674 file
    Read More
  8. 만장일치 판결은 무효이다

        만장일치 판결은 무효이다     현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만장일치 결정하려 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국론분열을 막기 위해 만장일치 결정이 좋다는 이야기이다. 일부 언론들이 그런 분위기를 부채질한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때 헌법재판소...
    Date2025.03.05 Byreformanda Reply0 Views1005 file
    Read More
  9. 박형룡의 개혁파 정통신학

        박형룡의 개혁파 정통신학     죽산 박형룡 박사(1897-1978)는 개혁파 정통신학(Reformed Orthodoxy)을 보급하는 데 일생을 바쳤다.1 그가 꽃다발처럼 엮어 한국교회에 소개한 신학은 오늘날에도 한국장로교회 신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한국기독교 전...
    Date2025.01.05 Byreformanda Reply0 Views531 file
    Read More
  10. 한강, 은혜의 강물에 발이라도 적셨더라면

        한강, 은혜의 강물에 발이라도 적셨더라면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조카에게 공개편지를 보낸 뒤의 소회   조카 한강 작가에게 보낸 공개편지로 소란스럽고 분주한 두 주간을 보냈습니다. 이제 잠잠해져서 잠깐 소회를 나누고 싶습니다. 편지가 ...
    Date2024.11.29 Byreformanda Reply0 Views681 file
    Read More
  11. 한강: 문학에는 구원이 없댜

          한강: 문학에는 구원이 없댜   원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에게 보내는 삼촌의 편지     [편집자 주: 아래의 글은 한충원 목사의 페이스북 글(2024년 11월 2일)이다. 한강의 삼촌(작은 아버지) 한충원은 현재 대전에서 목회를 하는 목사이다. 침례...
    Date2024.11.11 Byreformanda Reply0 Views1144 file
    Read More
  12. 일제시대의 한국인의 국가와 국적

        일제시대의 한국인의 국가와 국적     1. '금주가'에 등장하는 '국가'     일제통치 기간의 우리의 선조들의 국가는 어느 나라인가? 근래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 후보자의 국회 청문회는 근대 한국사 인식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얼마 후 국회환경노동위...
    Date2024.09.17 Byreformanda Reply1 Views1955 file
    Read More
  13. 미북장로교회 신학논쟁: 현대주의 대 근본주의

     프린스톤신학교 교사   미북장로교회 신학논쟁: 현대주의 대 근본주의   ―교회의 생명력은 신학에 달려 있는가?―     신학은 교리논쟁에서 벗어나 다원화 사회에서 대화를 통해 미래를 내다보아야 하는가? 신학이 시대와 환경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을 인정할...
    Date2024.06.01 Byreformanda Reply0 Views755 file
    Read More
  14. 친일파의 개념과 범주

    친일파의 개념과 범주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제1차 국민공청회 기조발제문 이만열(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 1. 문제제기 : 지금 시점에서 친일문제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해방된 지 56년, 반세기가 지난 지금 우리는 새로운 세기 속으로 민족사적...
    Date2024.04.01 Byreformanda Reply0 Views651 file
    Read More
  15. 고려신학대학원 졸업생 명댠 (1947-2011)

          고려신학대학원 졸업생 명댠 (1947-2011)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은 1946년에 고려신학교로 출발했다. 아래는 1947-2011 졸업생 명단이다. 출옥성도들 중심으로 부산에서 시작한 고려신학대학원은 1998년 가을학기부터 천안 교정에서 목사후보생...
    Date2024.03.15 Byreformanda Reply0 Views160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