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wwwwwwwwwwwwwwsssswqw.jpg





의(義)의 복음, 의인 자긍심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1


6.2 의의 복음, 의인 자긍심

 

6.2.1 개혁신학의 두드러진 장점은 이신칭의 중심의 구원론에 대한 확고부동한 신념이다. 이신칭의는 기독교 정통 신앙의 요체(要體, hinge)이다. 고신교회 총회(2018)칭의론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입장이라는 문서를 채택했다. 구원 교리를 위협하는 고신 공동체 안의 일련의 움직임과 시도에 쐐기를 박았다. 기독교의 구원체계와 바울의 가르침 그리고 종교개혁자들이 재발견하고 고신교회 선배들이 믿어온 이신칭의 진리를 고신교회의 교리적 정체성으로 확고하게 천명했다.

 

6.2.2 고신교회가 이신칭의 주제를 공식화 한 배후에는 신학자 김세윤 박사(풀러신학교 교수, 신약신학, 전 영동교회 협동목사)와 필자 사이의 칭의론 논쟁 그리고 유보적 칭의론 또는 이신행칭의교리에 호감을 가진 고신교회 일부 구성원들의 움직임이 작용했다. 미래교회포럼(대표 박은조 목사)의 칭의론 세미나(2016)의 선전 글귀에는 이신칭의 교리가 기독인들에게 세상에서 방탕한 죄의 삶을 살게 하고, 죄를 지을 면허증 또는 면죄부를 주는 것으로 이해하는 걱정이 넘친다. 고신교회는 행위구원교리의 도전 조짐에 단호히 대응했다. 교회 밖에서 전개된 칭의론 신학충돌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역전시켰다.

 

6.2.3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은 로마가톨릭교회 의화론(義和論)의 짝퉁이다. 프로테스탄트교회를 이단으로 정죄한 트렌트공의회(1547) 칭의론과 다르지 않다. 김세윤 주장의 요지는 칭의를 받은 자도 구원에서 탈락할 수 있으며, 물세례로 얻은 칭의를 신자가 자기 선행으로 완성시켜야 심판대 앞에서 완전한 의를 얻고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주장이 진리왜곡과 복음전도를 심각하게 방해함을 인지하고서 문제점을 지적한 글을 지상에 발표했다. 이듬해 트렌트공의회 칭의론과 칼빈의 해독문(解毒文): 김세윤의 칭의론과 관련하여를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학술회와 리포르만다(기독교사상연구원) 학술회에서 발표했다.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이 트렌트공의회의 칭의론과 동일하며, 이를 약분(約分)하면 행위구원임을 증명했다.

 

6.2.4 고신교회의 실제적인 첫 번째 도전 과제는 하나님의 칭의가 인간의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진다는 진리에 대한 확실성이다. 이 교회는 하나님이 주는 믿음으로 칭의를 받은 자는 구원의 반열에 들고, 즉각 하나님의 자녀 신분을 획득한다고 믿는다. 고신교회의 대적인 사탄은 이 교회와 구성원들이 율법에 예속되기를 원한다. 현재 완료형 시제의 의()를 우리가 알게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율법을 지키고 행함으로 의를 완성할 수 있다고 유혹하여 계속 좌절 상태에 두려고 한다. 죄를 짓지 않으려 애쓰는 기독인의 노력과 죄를 지을 힘을 주는 사탄의 세력은 직결되어 있다.

 

6.2.5 사탄은 은혜의 선물, 의의 선물 주변에 울타리를 쳐 기독인이 그것에 자긍심을 갖거나 누리는 일을 방해한다. 법정적 의(Juridical Righteousness)와 실천적 의(Practical Righteousness)를 구분하도록 유혹한다. 설령 하나님의 은혜 또는 물세례로 칭의를 받았어도 실천적 의의 완성이 비로소 우리를 구원의 문으로 인도한다고 생각하게 한다. 바울은 인간 자력으로 자기 의를 얻어야 한다거나 의를 완성시켜야 한다는 현대 신학자들의 가르침을 전면 거부한다. 우리의 신분은 둘 중의 하나이다. 자신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고 고백하여 의롭게 되었든지, 그렇지 않든지 그 이상은 없다. 성경은 믿음이나 물세례로 지위적인 의를 얻고 계명 준수와 선행 곧 실천적 의를 행함으로써 실제적인 의를 얻게 된다고 가르치지 않는다.

 

6.2.6 하나님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자에게 은혜의 선물을 그냥 주셨지 조건을 내걸고 주지 않았다. 하나님은 우리를 완벽하게 사랑하신다. 우리가 받은 의는 새 언약의 중보자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선물이다. 선물은 그것을 받는 사람의 노력과 공로를 요구하지 않는다. 조건을 요구하는 선물은 진정한 의미의 선물이 아니다. 롤스로이스 최고급 자동차 한 대를 선물하면서 죽을 때까지 매달 100만원 씩 지불하라고 한다면 그것은 진짜 선물이 아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의를 유지하려고 남은 평생 동안 율법을 지키고 선행으로 완성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을뿐더러 불가능하다. 하나님의 구원의 선물에는 행위 조건이 없다. “의의 선물”(5:17)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 베푸심의 결과이다.

 

6.2.7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사람은 과거와 현재의 죄를 완전히 용서받는다. 미래에 짓게 될 지도 모를 죄를 용서받을 수 있는 법정적 근거가 확보된다. 예수를 구원자로 믿는 순간, 영접하는 순간, 고백하는 순간, 우리의 모든 죄는 예수의 보배로운 피로 깨끗이 씻긴다. 이신칭의는 고신교회의 존재 의의와 직결되어 있다. 이 교회의 선배들이 고백했고 물려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다. 장래의 고신교회가 전수하고 계승해야 할 신조이다.

 

6.2.8 고신교회 구성원들은 예수의 십자가 대속사역을 통해 의롭다고 칭함을 받는 사람들이다. 예수를 통해 얻은 완벽한 의의 예복을 입고 있다. 우리의 의는 예수께서 살 찢고 피 흘려 산 선물이다. 기독인은 하나님 앞에 의롭다고 칭함을 받는 자로 서 있고, 마지막 심판대에서 의인으로 통과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하나님은 지금 고신교회 구성원들이 의의 옷을 입고 있는 것을 보고 계신다.

 

6.2.9 의를 선물로 받은 자가 그 의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죄를 압도하는 하나님의 복음의 위대함에 감동하면, 고신교회가 전통으로 유지해 온 생활의 순결의 열매를 맺을 수 있다. 선물로 받은 의에 대한 기독인의 확신은 맹렬하게 죄를 멀리하고 적극적으로 반대하게 한다. 고신교회 일부 구성원들이 이신칭의를 죄를 지을 면허증으로, 면죄부로 이해함은 은혜의 선물, 의의 복음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율법주의 사고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6.2.10 율법은 행복헌장이다. 우리를 그리스도에게 인도하는 몽학선생이다. 율법을 배우는 노력은 항상 필요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율법이 한 명의 영혼도 구원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신칭의 교리는 죄를 짓게 하는 면죄부, 면허증이 아니라 오히려 죄를 멀리하게 하는 강력한 힘을 제공한다. 기독인이 하나님의 은혜의 폭과 깊이를 철저히 깨달을수록 죄를 압도하는 자신의 능력이 강화된다. 자신이 의인의 신분이라는 자각이 강하고 분명할수록 죄의 지배에서 벗어날 힘을 가지게 된다. 하나님의 은혜와 그리스도의 의에 대하여 자주 설교할수록 죄를 억제하는 능력이 고조된다. 복음-하나님의 사랑-은혜 그리고 그리스도의 의를 더 많이 설교하면 의의 신분을 획득한 기독인의 자존감-자긍심(self-esteem)이 높아진다. 자기의 의인 신분에 대한 자긍심은 기독인을 윤리적 실천, 성화의 삶에 매진하게 한다.


최덕성,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제2차 고신포럼 힉술회 발표논문 일부 (2020.2.17. 프레지덴트호텔 서울)


최덕성 박사(현 브니엘신학교 총장)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choicollege@naver.com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의(義)의 복음, 의인 자긍심

    의(義)의 복음, 의인 자긍심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1 6.2 의의 복음, 의인 자긍심   6.2.1 개혁신학의 두드러진 장점은 이신칭의 중심의 구원론에 대한 확고부동한 신념이다. 이신칭의는 기독교 정통 신앙의 요체(要體, hinge)이다. ...
    Date2020.04.08 Byreformanda Reply0 Views763 file
    Read More
  2. 복음 파도타기

      복음 파도타기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0 6. 도전 과제   6.1 복음 파도타기   6.1.1 전통은 전수들과 계승자들에 의해 유지된다. 거미줄처진 탄광 같이 썰렁한 교회에는 유산을 물려받을 주체-사람들이 없다. 하나님의 나라 확장, 신...
    Date2020.04.08 Byreformanda Reply0 Views702 file
    Read More
  3. 김영한 박사의 이단-사이비에 관한 신학적 기준

    김영한 박사의 이단-사이비에 관한 신학적 기준 전문성 결여된 이단감별사들      머리말   최근 한국교회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단 논쟁과 시비는 주도자들의 주관적, 자의적 판단으로 인하여 교회 안팎에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몇몇 직업적 이단감...
    Date2020.03.28 Byreformanda Reply0 Views1358 file
    Read More
  4. 한국장로교회의 첫 분열, 무엇 때문인가?

    박정곤 목사, 최덕성 목사, 이세령 목사 (완편에서 오른편으로)                  한국장로교회의 첫 분열, 무엇 때문인가?    이대웅 기자 <크리스천투데이> 2020.02.18. 제2회 고신포럼 ‘전환기의 한국교회와 고신의 역할’        제2회 고신포럼(대표회장 ...
    Date2020.03.10 Byreformanda Reply0 Views821 file
    Read More
  5. 새 튤립(TULIP)이 주는 기쁨

    새 튤립(TULIP)이 주는 기쁨 David Mathis, The Doctrines of Graciousness: Five More Points for Young Calvinists 최근 개혁신학이 다시 각광을 받으며 칼빈주의를 표방하는 젊은 기독교인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스스로가 주장하는 신학에 어울리는 영적 ...
    Date2020.02.14 Byreformanda Reply0 Views895 file
    Read More
  6. 일본그리스도교회의 사죄 해프닝

    일본그리스도교회의 사죄 해프닝   1. 일본교회의 사죄문(謝罪文)   일본그리스도교회(日本基督敎會)는 1951년에 일본기독교단에서 환원하여 재조직된 교파이다. 이 교회의 1990년 총회는 “한국·조선의 기독교회에 행한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죄의 고백과 사...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689 file
    Read More
  7. 중세교회는 전염병에 어떻게 대처했나?

    중세교회는 전염병에 어떻게 대처했나?   중세 유럽인들은 불안감과 두려움의 도가니 속에 살았다. 반문화, 반노동 정신은 조악(粗惡)한 기술, 봉건제도의 구조적 모순, 그리고 빈곤을 선사했다. 호구(糊口)가 불가능했으며, 생존조차 어려운 사람들이 많았다...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1178 file
    Read More
  8. 왜 신은 인간이 되었는가?

    베들레헴 예수탄생교회당 왜 신은 인간이 되었는가? 안셀무스(Anselmus of Bec, c. 1033-1109)는 중세교회가 낳은 탁월한 기독교사상가이다. 이탈리아 북부에서 태어나 프랑스 노르망디에 있는 벡(Bec)수도원학교에서 수학했다. 강직한 성격과 탁월한 지력을 ...
    Date2020.01.10 Bydschoiword Reply0 Views2009 file
    Read More
  9. 도올 김용옥과 사이비 기독교, 학술회

    도올 김용옥과 사이비 기독교, 학술회 기독교사상연구원 리포르만다(대표 최덕성 박사)에서 제12차 학술회를 2019년 10월 8일 오후 1시 30분부터 부산 전포동 국제금융센터 부근 브레드티비 스튜디오(BREADTV STUDIO)에서 개최한다. 이번 학술회 주제는 &lsqu...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000 file
    Read More
  10. 기독인들의 대통령 하야운동, 정당한가?

      기독인들의 대통령 하야운동, 정당한가?        1. 최근 교회 지도자들이 국가 권력자를 향해 거친 발언들을 쏟아내고 있다. 상당수 기독인들이 문재인 대통령의 하야(下野) 운동에 적극 가담하고 있다. 현 대통령을 나치 정권의 히틀러에 비교하고, 히틀러...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5816 file
    Read More
  11. 정이철의 우병훈 책 서평을 읽고

    정이철의 우병훈 책 서평을 읽고 정이철 목사님이 '바른믿음'에 게재한 글, 고신대학교 우병훈 교수의 책 <그리스도의 구원>에 비판 서평을 잘 읽었습니다. "고신 총장님! 우병훈 교수의 언약신학이 마음에 드십니까? 고신 우병훈 교수의 <그리스도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302 file
    Read More
  12. 교회가 참회해야 할 열 가지 친일행적

      대구신정교회 주보 (1943. 4. 11.)   교회가 참회해야 할 열 가지 친일행적   교회는 우상숭배 배교 민족배신 행각에 솔선수범했다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될 예정자 3,090명의 명단이 발표되자 기독교 일각에서는 이를 겸허하게 반성해야 한다는 반응이 있...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932 file
    Read More
  13. 친일파 정의: 누가 친일파인가?

    그림: Boycott Japan 친일파 정의: 누가 친일파인가? '친일파'는 일본인과 친밀하거나, 일본산 제품을 구입하여 즐겨 사용하거나, 일본국 입장을 지지하는 사람을 일컫는 용어가 아니다. 일본어를 잘하거나, 일본에서 학교를 다녔거나, 일본에 자주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2113 file
    Read More
  14. Christian Supernaturalism

    Christian Supernaturalism 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 Opening address delivered before the Faculty and students of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September 18, 1896. Reprinted from The Presbyterian and Reformed Review, viii. 1897, pp. 5...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0706 file
    Read More
  15. 마지막 아담으로 오신 예수

    첨단 과학기술을 동원한 법의학 수단으로 재현한 예수의 얼굴. 영국 맨체스터대학교의 영국의 리처드 니브 교수가 복원한 얼글이다. 이스라엘 고고학자들이 갈릴리 호수 주변에서 발굴한 예수와 같은 시기에 살았던 3개의 셈족 두개골에 컴퓨터 단층촬영과 디...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57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