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청년들 교회 떠나는 진짜 이유

 

성경 강해·말씀 선포 등,  약해진 기본 탓

 

(자료사진) 미국 한 교회 집회에 참석 중인 청소년들. 대부분 청년들은 어릴 때의 신앙 교육으로 인해 커가면서 신앙을 잃기도, 유지하기도 한다.
 

갈수록 많은 미국 청년들이 어린 시절부터 가졌던 신앙을 등지고 무신론자가 되는 이유에 대해 그동안 교회 내부에서 원인을 찾으려는 시도는 계속 돼 왔다. 고리타분하게 느껴질 수 있는 설교와 가르침들, 지루하고 딱딱한 예배,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는 듯한 교인들….

 

그러나 최근 현지 언론에 실린 한 편의 기고는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들이 이같은 통념과는 같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전철을 밟는 듯 닮아가고 있는 한국교회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복음주의 베스트셀러 작가인 에릭 머텍서스(Metaxas)는 지난 2일(현지 시간) 크리스천포스트(CP)에 게재한 '젊은 무신론자들에게서 배울 점들: 왜 그들은 기독교를 떠났는가'라는 제목의 기고에서 신앙을 잃어버리게 된 많은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을 내놓았다.

 

■ 성경 아닌 흥미 위주 사역이 불러온 부작용

 

머텍서스의 분석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대부분의 청년들의 답은 그동안 교회가 생각해 온 것과는 '상당 부분 반대되는 것'이었다는 점이다.

 

조사에 응한 젊은이들 중 많은 수가 교회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청소년 그룹의 리더로 섬기는 등 활발한 활동을 했다. 그런 그들을 무신론자로 만든 것은 다름 아닌 "성경을 진지하게 가르치지 않는 목회자들의 모습"이었다.

 

그 중 한 명인 필(Phil)이란 청년은 자신이 다니던 교회의 청소년부 목회자가 바뀌기 시작한 이후부터 교회와 멀어지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성경에 대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가르쳤던 이전 목회자와 달리, 새로 부임한 목회자는 성경을 가르치는 시간을 줄이고, 다른 활동을 늘렸다고 말했다.

 

머텍서스는 "필에게 신앙적 도전을 주기 보다는 그의 '비위를 맞추고자' 했던 교회의 시도가 오히려 그를 신앙에서 떨어뜨려놓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늘날 청소년 사역은 대부분 어떻게 하면 그들을 지루하게 하지 않을까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그 결과 그들을 재미있게 해주는 데에 많은 시간이 할애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성경을 가르치기보다는 즐겁게 놀아주거나 '친구'가 되려고만 애쓰는" 목회자들은 어린 교인들을 점차 교회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결국 필과 같은 젊은 무신론자들을 키워낸다고 그는 우려했다.

 

■ 확신 없는 말씀선포…영향력 잃은 메시지

 

교회가 젊은이들에게 선포하는 메시지 역시 점점 더 힘을 잃어가고 있다.

 

머텍서스는 "교회들은 그들이 전하는 (강력한) 메시지가 아이들을 신앙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신앙을 포기하게 할까봐 걱정하고 두려워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런 염려와는 반대로, 조사에 응한 젊은이들은 대부분 "누군가가 무엇인가를 정확히 아는 상태에서, 그것에 대한 확신을 갖고 있다면 그가 하는 말을 존중할 수 있다"고 답했다.

 

교회가 진리를 선포할 때 그것이 젊은이들을 변화시킬 것이라는 확신에 차 있지 못하고, 오히려 젊은이들의 마음을 돌리지는 않을까 의심에 차 표면적인 반응에만 신경을 쓸 때 그 메시지는 아무런 영향력을 갖지 못한다는 것이다.

 

머텍서스는 "기독교의 진리는 우리가 진심으로 믿어야 하는 것, 그것이 정말로 우리 삶을 바꿀 수 있고 다른 이들의 삶까지 바꿀 수 있다고 믿어야 하는 것"이라며, 지금이 "우리는 젊은이들에게 우리가 정말로 믿는 것을 말하고 있다는 확신을 주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할 때라고 제안했다.

 

 

?

  1. 케직운동

    캐직운동 <베리타스>(2015.5.18-) 목차- I. 케직운동의 시작: 역사적 기원 II. 케직사경회 III. 케직운동의 영성 머리말 ▲복음주의 신학자 김영한 박사 ⓒ베리타스 DB 오늘날 한국교회는 초창기의 거룩성과 사회적 신뢰성을 상실하고 있다. 기독교 본래의 영성...
    Date2015.05.18 Bydschoiword Reply0 Views2983
    Read More
  2. No Image

    아브라함 카이퍼의 문화철학

    아브라함 카이퍼의 문화철학에 관한 소고 정일권 본고는 고신대학 신학과 4년 때(1990년대 초반?)에 작성한 것이다. 화란개혁주의에 심취했을 때 기독교 세계관과 문화관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던 화란의 신학자이자 정치가(당시 화란의 수상),교육가였던 아...
    Date2015.05.17 Bydschoiword Reply0 Views2862
    Read More
  3. 칭의의 조건

    칭의의 조건 (크리스천투데이, 2015.5.9.) 조지 헌싱어 프린스턴신학교 교수, 장신대서 강연 ▲조지 헌싱어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김진영 기자 장로회신학대학교(총장 김명용)는 7일 오후 서울 광장동 교내 세계교회협력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조지 헌싱...
    Date2015.05.07 Bydschoiword Reply0 Views2827
    Read More
  4. No Image

    일본식 한국어

    일본식 한국어 평소에 자주 쓰면서도 일제 강점기부터 쓰던 일본식 한국말이 상당히 많다. 가. 순 일본말 다음은 순일본말이지만 알면서도 쓰고, 또 모르고 쓰는 것들이다. 1. 가께우동(かけうどん) -> 가락국수 2. 곤색(紺色, こんいろ) -> 진남색. 감청색 3...
    Date2015.05.05 Bydschoiword Reply1 Views3464
    Read More
  5. No Image

    메이첸의 신학사상

    메이첸의 신학 사상 Ⅰ. 들어가는 글 기독교의 현대적인 의미는 무엇일까? 단순히 이 세상의 발전과 화합을 위한 하나의 도구일까? 그렇기 때문에 세상의 변화에 맞추어 기독교 역시도 그것에 맞추어서 변화해야 하는가? 하지만, 기독교는 세상의 변화 속에서...
    Date2015.05.05 Bydschoiword Reply0 Views3933
    Read More
  6. No Image

    목회자와 권위

    목회자와 권위 송인규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우리는 일반적으로 ꡒ권위ꡓ와 관련해 두 가지 극단적인 입장 가운데 어느 한 쪽으로 치닫는다. 우선, 권위를 권위주의와 그릇되게 동일시함으로써 사람들 위에 군림하고 압제하는 것을 당연시한다. 그런가 ...
    Date2015.04.30 Bydschoiword Reply0 Views3028
    Read More
  7. No Image

    새관점과 전가 교리

     한국기독개혁신보 새 관점은 전가 교리를 대신한다. 새관점(NPP)은 통상 목적격으로 해석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갈 2:16)를 “예수의 신실함으로”라고 소유격으로 해석한다. 이것은 헬라어의 소유격이 목적격적 소유격으로도, 속격적 소유격으로도 ...
    Date2015.04.29 Bydschoiword Reply0 Views3211
    Read More
  8. 로버트 슐러 신학

    ▲ 라은성 교수 로버트 슐러 신학 라은성 교수 <기독신문> (2015.4.7.)에서 옮김 20세기를 떠들썩하게 장식한 수정성당(Crystal Cathedral)의 담임목사였던 로버트 슐러(Robert Harold Schuller)가 식도암으로 2015년 4월 2일 88세의 나이로 죽었다. 4월 2일자...
    Date2015.04.19 Bydschoiword Reply0 Views3598
    Read More
  9. No Image

    중세후기 개혁운동과 설교/ 한성민

    중세후기 개혁운동과 설교 한성민 목사 Ⅰ. 서론- 연구의 목적 세상의 역사는 교회의 역사의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교회의 역사는 설교 역사의 결과이다. 설교의 권위와 능력이 나타날 때 교회는 거룩한 복음의 능력을 소유하여 세상을 움직였...
    Date2015.04.18 Bydschoiword Reply0 Views3418
    Read More
  10. 항왜 김충선 이야기

     ▲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투항한 왜군 장수 사야가. ⓒ KBS1 드라마 <징비록> 갈무리 항왜 김충선 이야기 <오마이뉴스>(2015.4.16.) 임진왜란 초반 상황을 다루고 있는 KBS 주말드라마 <징비록>의 최근 방영분에서는 항왜 사야가(한국명 김충선) 사건을 다뤘다...
    Date2015.04.17 Bydschoiword Reply0 Views3730
    Read More
  11. 망향편지, 장기려

    장기려 박사의 <망향의 편지> 창문을 두드리는 빗소리가 당신인듯 하여 잠을 깨었소. 그럴 리가 없건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달려가 문을 열어봤으나 그저 캄캄한 어두움뿐…. 허탈한 마음을 주체 못해 불을 밝히고 이 편지를 씁니다. 여보, 40년이 흘러 여든이 ...
    Date2015.04.12 Bydschoiword Reply1 Views3236
    Read More
  12. 나르시즘 영성/ 스캇 펙

    나르시즘 영성 스캇 펙 "사탄의 심리 상태를 분석해낸 정신과 의사." 스캇 펙 박사에 대한 요상한 수식어다. 실제로 그랬다.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그는 환자들을 사로잡고 있는 악령의 실재와 마주하면서 '악의 본질'을 추적해나갔다. ...
    Date2015.04.07 Bydschoiword Reply0 Views4081
    Read More
  13. No Image

    세상법과 하나님의 법/ 이화숙

    하나님 법과 세상법을 어기는 교회가 (세상에서) 소금과 빛이 될 수 있는가? 이화숙 (전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사랑넷에서 옮긴 글이다. 글쓴이는 "민법은 교회의 재산을 교인들의 총유로 규정하고 있고(민법 제275조)"라고 한다. 몇 해 전에 이 규정...
    Date2015.04.07 Bydschoiword Reply1 Views3578
    Read More
  14. No Image

    십자가 신앙의 의미

    십자가 신앙의 의미 김영한 교수 (전 숭실대) 기독일보(10`5.4.5.) ■ 머리말 사순절의 절정에 이른 고난주간이 진행되고 있다. 이 고난주간은 단순히 종교적 의미의 개인의 경건 차원을 넘어서서 인간의 죄와 고통의 현장에 찾아와 주시는 고난의 하나님을 증...
    Date2015.04.05 Bydschoiword Reply0 Views3077
    Read More
  15. No Image

    청년들 교회 떠나는 진짜 이유

    청년들 교회 떠나는 진짜 이유 성경 강해·말씀 선포 등, 약해진 기본 탓 (자료사진) 미국 한 교회 집회에 참석 중인 청소년들. 대부분 청년들은 어릴 때의 신앙 교육으로 인해 커가면서 신앙을 잃기도, 유지하기도 한다. 갈수록 많은 미국 청년들이 어린 시절...
    Date2015.03.30 Bydschoiword Reply0 Views343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