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마이클 조단.jpg

 

 

실패는 실패 아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유대인의 탈무드에 나오는 말이다. 온갖 시련과 실패를 딛고 일어선 유대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유대인들은 오래전부터 어떠한 역경이 올지라도 실패를 실패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실패를 밝은 미래로 이어지는 징검다리로 여겼다.

 

유대인이 이러한 정신의 뿌리는 하나님에 대한 깊은 신앙이었다. 오늘날의 유대인의 성공은 우연의 산물이 아니다.

 

사람들은 시련과 실패를 겪을 때 하나님이 존재한다면 왜 내게 이런 일이 생길까?” 라고 묻는다. 그러나 이것은 그다지 좋은 질문이 아니다. “하나님은 내가 이 실패에서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다시 일어서기를 원하실까?”라고 묻는 것이 좋은 질문이다.

 

바울 사도는 복음전파 사역 가운데 실패를 많이 겪은 사람이었다. 바울은 고린도후서 11:23-28에서 그가 겪은 시련과 실패를 일일이 열거한다. “감옥에 갇히고, 매도 수없이 맞고, 돌 던짐도 당하고, 배가 세 번이나 파선되고, 파선 당한 채 일주일 간 표류하고, 강도의 위험을 당하고, 여행길에 강과 광야에서 어려움을 겪고, 거짓 형제의 모함을 당하고, 잠도 못 자고, 주리며, 목 마르고, 춥고, 헐벗었다고 기록한다. 자신이 당한 역경과 실패를 자세히 열거한다.

하지만 바울은 실패를 실패로 받지 않고 항상 오뚝이처럼 일어섰다. 그는 이렇게 선언했다. “사방으로 우겨 쌈을 당해도 싸이지 아니하며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 아니하며 핍박을 받아도 버린 바 안 되고 거꾸러뜨림을 당하여도 망하지 아니하였노라”(고후 4:8-9).

 

바울이 실패를 실패로 여기지 않는 것은 자기 속에 있는 예수님의 생명과 확고한 소명감 때문이었다. 그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실패를 실패로 여기지 않는 사람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굳건한 믿음 안에서 낙망하거나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 사람은 실패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대신, 하나님께서 내려 주시는 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과 지혜의 말씀에 초점을 맞춘다. 신앙인의 사전에는 절망과 포기라는 단어가 있을 수 없다.

 

일반 사회에서도 실패를 거부하는 불굴의 정신”(Fortitude)은 성공하는 사람의 주요한 특징으로 일컬어진다.

 

미국 프로농구(NBA) 황제로 불리는 마이클 조단은 자서전에서 이렇게 말한다. “내가 농구 경기장에 들어설 때 관중들은 마이클, 마이클하고 함성을 지른다. 그러나 나는 선수 생애 동안 9천 번의 슛에 실패했고, 300회 게임에서 패배했다. 역전승을 거둘 찬스에서 26번의 슛을 실패했다. 수많은 실패와 패배를 겪고 또 겪었다. 그러나 바로 그것이 내가 성공한 이유이다(That’s why I succeeded).” 마이클 조단은 실패를 실패로 보지 않고, 실패를 딛고 일어나 성공한 NBA역사상 가장 위대한 농구 선수 중 하나였다.

 

사람은 누구나 실패한다. 실패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사람은 실패 없이 성장하지 못한다. 시련과 고통과 눈물과 땀이 없이는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 오늘의 성공의 밑거름은 어제의 실패였다. 그래서 실패는 소중한 경험이고 성공의 어머니인 것이다.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을 비롯한 성경 속의 많은 위대한 인물들의 생애를 살펴보아도 그들은 모두 크고 작은 실패를 겪고 일어선 승리자들이다.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감옥 생활했던 전 백악관 법률보좌관 찰스 콜슨은 그의 저서 사랑의 하나님”(Loving God)에서 그의 실패를 축복으로 바꾸어 주신 하나님의 능력을 높이 찬양하고 간증했다.

 

콜슨은 정부 고위관료로서 권력과 명예를 누리며 세상적인 것만을 열심히 좇다가 실패의 나락으로 떨어진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는 실패의 자리에서 살아 계신 하나님을 극적으로 만나고 크리스찬이 되었다.

 

이제 그의 삶은 전도자로서, 저술가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치며 구원의 복음을 전하는 삶으로 바뀌었다. 특히 교도소 목회”(Prison Ministry)라는 선교 단체를 설립하여, 실패하고 좌절한 수많은 교도소 죄수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새로운 삶을 갖게 하였다. 그의 실패는 훗날의 의미 있고 값진 성공의 열매를 가져다주었다.

 

하나님은 우리가 실패를 실패로 보지 않고, “축복의 창문으로 보기 원하신다. 하나님을 믿으면 우리의 시력이 달라진다. 영적인 눈이 열린다. 실패가 실패로 보이지 않는다.

 

하나님을 믿으면 실패를 축복의 창문으로 보게 된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받은 자들에게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시는”(8:28) 좋으신 하나님의 역사를 볼 수 있게 된다. 그 때, 우리는 그 분 안에서 승리의 기쁨과 영광을 비로소 체험하고 누리게 된다.

 

나의 힘이신 여호와여 내가 주를 사랑하나이다”(18:1).

 

황현조 목사(IRUS 교수, 커네티컷비전교회 담임)

 

World Gospel Times, 4 August 2022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예수의 신임장

      예수의 신임장 김준곤 <예수칼럼> 아카이브 5   예수의 권위(權威)에 대한 신임장(信任狀)이 세 가지 있다. ① 성서一예수가 주제(主題)인 영원한 베스트셀러, ②부활사건一사도행전의 3,000〜5,000명씩 회개하고 믿은 사람들은 며 칠 전 같은 도시 예루살렘...
    Date2023.02.26 Byreformanda Reply0 Views141
    Read More
  2. 이 사람을 보라

      이 사람을 보라   김준곤 <예수칼럼> 아카이브 4   나사렛 예수, 하나님 같은 사람, 사람 같은 하나님. 자신을 하나님이라고 주장한 죄로 사형 받았고 제자 교육의 핵심이 자신을 하나님으로 믿게하는 일이었다. 하나님 만 할 수 있는 말을 하고, 하나님만 ...
    Date2023.02.25 Byreformanda Reply0 Views453 file
    Read More
  3. 예수의 현존성(現存性)

      예수의 현존성(現存性) 김준곤 <예수칼럼> 아카이브 3   "2000년 전에 죽은 로마의 사형수여, 그대가 내 품에서 심장을 오려가듯 외동딸을 빼앗아 가는구나. 그대는 죽은 사람인가 산 사람인가? 하나님인가 사람인가? 생명의 약탈자여 사랑의 약탈자여.” 이...
    Date2023.02.25 Byreformanda Reply0 Views224
    Read More
  4. 아무도 이렇게 말한 일이 없다

        아무도 이렇게 말한 일이 없다 김준곤 <얘수칼럼> 아카이브 2   예수의 주장: 나는 생명의 떡이다. 생명수(生命水)다. 나는 너의 빛이다. 나는 네 선한 목자요 너희는 내 양이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다. 나를 믿으면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난...
    Date2023.02.24 Byreformanda Reply0 Views204 file
    Read More
  5. 우주 로고스 생명 로고스

        우주 로고스 생명 로고스 김준곤 <얘수칼럼> 아카이브  1   태초에 예수(로고스)가 계시니라. 이 예수는 하나님과 함께 계시고 그 예수는 곧 하나님이시니(요 1:1) 만물이 예수로 말미암고 예수를 위하여 창조되었으며 예수 안에서 존립한다(골 1:16-17...
    Date2023.02.24 Byreformanda Reply0 Views164 file
    Read More
  6. 변장된 축복

      변장된 축복 어떤 사람이 죽어서 천국에 갔다. 거기서 보니, 천사들이 열심히 무슨 작업을 하고 있었다. 뭘하고 있느냐고 물으니까, 세상 사람들에게 보낼 축복을 포장하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축복이 잘 전달되도록 포장하는데 사용하는 포장지는 “고난”...
    Date2023.02.19 Byreformanda Reply0 Views735 file
    Read More
  7. 새해에 행복한 행진을 기대하라

        새해에 행복한 행진을 기대하라   파도타기를 하는 사람들은 바다의 파도를 찾아간다. 파도를 타며 스릴을 즐긴다. 보통 사람들은 파도를 두려워하고 피한다.   우리네 인생에는 아무리 피하려 해도 끊임없이 파도가 밀려온다. 그 파도들을 타고 넘을 것...
    Date2023.01.07 Byreformanda Reply0 Views346 file
    Read More
  8. 동방박사들의 네비게이션

        동방박사들의 네비게이션   예수님께서 탄생하시던 날 밤 전혀 예상치 못한 방문객들이 베들레헴을 찾아왔다. 아주 먼 곳에서 온 동방박사들이었다. 그들은 페르시아인들이었다. 1천 2백마일이나 멀리 떨어진 나라에서 왔다. 아기 예수님께 경배하러 왔던...
    Date2022.12.26 Byreformanda Reply0 Views622 file
    Read More
  9. 독수리같이 날아라

        독수리같이 날아라   어미 독수리는 새끼 독수리를 높은 곳에 올라가 떨어뜨려서 하늘을 나는 법을 가르친다. 세상에 태어나서 한 번도 날아보지 못한 새끼 독수리는 필사적으로 날개를 치며 낙하되다가 땅에 부딪치기 직전, 어미 독수리가 쏜살같이 내려...
    Date2022.11.06 Byreformanda Reply0 Views1866 file
    Read More
  10. 인생 필수 과제물

          인생 필수 과제물     전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 C. S. 루이스 저명한 기독교 사상가이다. 그는 <순전한 기독교>(Mere Christianity)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수는 정신 나간 거짓 교사이든지 만인의 구주이든지 둘 중의 하나다. 만약 당신이 예수...
    Date2022.10.07 Byreformanda Reply0 Views465 file
    Read More
  11. 계명과 보혜사

        계명과 보혜사     선교학 용어 “10/40창문”은 기독교 선교가 가장 안 된 지역을 가리킨다. 미국 선교신학자이며 선교전략가인 루이스 부시(Luis Bush)가 처음 사용했다.     북위 10도와 40도 사이의 지구는 북 아프리카에서 시작하여 중국에 이르는 광...
    Date2022.09.17 Byreformanda Reply0 Views320 file
    Read More
  12. 영원한 그리움

        영원한 그리움     예수의 사도 바울은 한 번도 만나 본 적이 없다. 그러나 일생 동안 예수님을 몹시 그리워했다. 바울 서신의 ‘키워드’는 “그리스도 안에서”(En Xristow)였다. 얼마나 주님을 그리워했던지 주님을 위해 죽기까지 하겠다고 선언했다. “내...
    Date2022.09.17 Byreformanda Reply0 Views347 file
    Read More
  13. WCC, '앙꼬 없는 찐빵’ 기독교'

    zm   ▲WCC 제11차 총회가 열리는 독일 카를스루에 전경     WCC, '앙꼬 없는 찐빵’ 기독교'   “복음 빠진 WCC 제11차 총회, ‘앙꼬 없는 찐빵’ 기독교”   독일 카를스루에 총회 직접 찾아가는 최덕성 총장   <크리스천투데이>,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Date2022.08.31 Byreformanda Reply0 Views401 file
    Read More
  14. 니케아공의회 1700주년 기념 학술회

        니케아공의회 1700주년 기념 학술회   2025년 6월 19일 (목) 기독론과 신경 관련 논문발표회   리포르만다(기독교사상연구원)는 니케아공의회 170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회를 가진다. 신학자들이 고대기독론(Classical Christology)과 신경(Creeds) 관련 ...
    Date2022.08.27 Byreformanda Reply0 Views591 file
    Read More
  15. 실패는 실패 아니다

        실패는 실패 아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유대인의 탈무드에 나오는 말이다. 온갖 시련과 실패를 딛고 일어선 유대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유대인들은 오래전부터 어떠한 역경이 올지라도 실패를 실패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실패를 밝은 미래...
    Date2022.08.05 Byreformanda Reply0 Views42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