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91005232714_wrkxerdu.jpg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시기(猜忌, Envy)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미워함이다.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타인에게 초점을 맞춰서 시기가 갖지 못한 좋은 것을 이웃이 가진 것을 슬퍼하는 것이라고 했다. 반면, 질투를 나 자신에 초점을 맞춰 이웃이 지닌 것을 자신이 소유하지 못해 슬퍼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시기는 인간의 영혼 속에 가장 은밀히 뿌리내린 그림자다. 그것은 다른 죄처럼 외부로 폭발하지 않는다. 오히려 고요히, 빛나는 타인을 바라보는 눈 속에서 서서히 피어난다. 단테가 그 죄를 눈의 죄라 부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1. 눈으로부터 시작된 불꽃

 

라틴어 invidia보다”(videre)안으로라는 접두사 in이 붙은 말이다. 시기란 보는 것에서 비롯된 감정이다. 타인의 행복, 타인의 성공, 타인의 찬란한 순간을 바라보는 눈이 그 빛을 감당하지 못할 때, 그 시선은 부패하기 시작한다.

그 빛은 아름답지만, 동시에 견딜 수 없는 고통이 된다. 시기하는 자의 눈은 타인의 영광을 비추는 빛에 상처받은 눈이다. 사울이 다윗을 향해 보낸 눈길이 그러했다. “그날 이후 사울이 다윗을 주목하였더라.”

 

성경의 히브리어는 주목이 아니라 눈으로 노려보다에 가깝다. 사울의 눈은 다윗을 본 것이 아니라, 자신이 아닌 그를 본 것이다. 시기의 눈은 결국 타인을 보는 척하며, 끊임없이 자신을 본다. 이처럼, 시기는 외향적 감정이 아니라, 자기 파괴의 불꽃이다.

 

2. 시기하는 마음 행복을 슬퍼하고 불행을 기뻐하는 병

 

토마스 아퀴나스는 시기를 이렇게 정의했다. “시기란 타인의 행복을 슬퍼하는 것이며, 나아가 그 불행을 기뻐하는 것이다.”

 

이 정의는 인간의 심연을 폭로한다. 시기하는 마음은 사랑의 부재가 아니라, 사랑의 왜곡된 잔향이다. 남의 기쁨이 내 슬픔이 되고, 남의 불행이 내 위로가 된다.

 

이 감정은 단테의 연옥에서처럼 영혼의 눈을 서서히 썩게 만든다. 시기의 본질은 증오가 아니라, 비교다. 비교는 눈에 잿빛을 묻히고, 세상을 왜곡시킨다. “왜 나는 아니지?”라는 한 문장이 시기의 씨앗이 된다.

 

셰익스피어가 시기를 녹색 눈의 괴수(Green-eyed monster)’라 부른 것도 이 때문이다. 덜 익은 과일처럼 신맛이 짠득 감도는 질투, 빛나는 것을 삼키려다 오히려 속을 녹여버리는 괴수, 이처럼 시기는 고양이처럼 조용히 다가와 마음을 긁고, 결국 자신을 물어뜯는다.

 

3. 단테의 눈 시기를 봉한 자들의 연옥

 

단테는 신곡에서 시기를 짓고 죽은 자들이 눈꺼풀이 굵은 철사로 꿰매진 채 연옥의 돌길을 더듬는 장면을 그린다. 그들은 더 이상 세상을 볼 수 없다.

 

그러나 그 어둠 속에서, 그들은 비로소 빛의 의미를 배운다. 칼 올슨이 말했듯, “눈으로 죄를 지은 자들이 눈으로 대가를 치른다.” 시기란 보는 법을 잃은 죄이기에, 그 치유는 다시 보는 법을 배우는 것에서 시작된다눈을 감고서야 깨닫는다. 세상의 빛은 나만의 것이 아니며, 타인의 영광 또한 신의 한 조각이라는 사실을 알아챈다.

 

4. 시기의 특징 평범함 속의 독

 

시기는 다른 죄보다 더 교묘하다. 대개 도덕의 옷을 입고 다가온다. 우리는 시기하면서도 그것을 정의감이라 착각하고, 열등감을 신앙의 겸손이라 포장한다.

 

그러나 그 속에는 타인을 끌어내리고 싶은 욕망이 숨어 있다. 시기는 조용하다. 폭력처럼 터지지 않기에, 우리는 그것을 죄로 인식하지 못한다그것은 영혼의 침묵을 좀먹는 독이다. 친구의 칭찬이 불편하고, 남의 웃음이 마음을 쓰라리게 하는 그 순간, 우리 안의 시기는 이미 숨을 쉰다.

 

현대 심리학은 이런 감정을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라 부른다. 남의 고통 속에서 느끼는 은밀한 쾌감, 그 달콤한 독이 바로 시기의 얼굴이다시기는 언제나 자신을 숨긴다. 그리하여 우리는 자신이 시기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한 채, 조용히 병들어 간다.

 

5. 시기의 치유 눈을 닫고 마음을 열라

 

시기는 사랑의 결핍이 아니라, 사랑의 방향을 잃은 감정이다. 그래서 단테의 연옥은 눈을 닫는 데서 시작된다. 눈을 감아야 마음이 보이고, 어둠 속에서야 진정한 빛을 인식한다.

 

시기는 타인의 빛을 미워하지만, 사랑은 타인의 빛에서 자신의 어둠을 비춘다. 눈을 닫는다는 것은 타인의 성공을 보지 말라는 뜻이 아니다.

 

그것은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라는 초대다. 그리하여 시기의 눈은 닫힘을 통해 다시 열린다. 닫힌 눈이 마음의 눈이 되어, 타인의 영광 속에서 신의 손길을 본다.

 

6. 시기, 어두운 그림자

 

시기는 인간이 빛을 마주할 때 드리워지는 가장 어두운 그림자다. 그림자는 빛이 있을 때만 생긴다. 따라서 시기는 신의 선물 곁에 늘 붙어 다닌다. 그것은 신이 인간에게 준 자유의 한 조각, “너도 나처럼 보고 느끼라는 빛의 시험이다.

 

우리는 그 빛 앞에서 두 가지 길을 걷는다. 하나는 사랑의 길, 다른 하나는 시기의 길, 사랑은 타인의 빛을 축복으로 보고, 시기는 그것을 경쟁으로 본다.

 

그러나 어쩌면 단테의 말처럼, 시기의 어둠도 결국 빛으로 가는 길목일지 모른다. 눈을 꿰맨 그들의 침묵 속에서, 하늘은 이미 다시 열리고 있었으니까.

 

눈을 감아라. 그때서야 네가 진정으로 보게 될 것이다.”

 

최덕성, 브니엘신학교 총장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분노신학: 죄, 불, 사랑을 통과한 영혼의 이야기

      분노신학: 죄, 불, 사랑을 통과한 영혼의 이야기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3-10)   1. 분노의 영적 해부학 ― 창세기에서 시편까지   분노는 성경의 첫 살인자와 함께 등장했다. 가인의 얼굴이 무겁게 떨어졌을 때(창 4:5), 인류의 감정사는 불...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13 newfile
    Read More
  2. 사랑으로 분노를 이기라

        사랑으로 분노를 이기라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3-8)   분노는 영혼의 용광로다. 상처와 억울함, 무너진 기대와 흔들리는 자존이 녹아내리며 뜨겁게 끓어오르는 자리. 성경은 이 불길을 악으로만 단정하지도, 무조건 방치하지도 않는다. ...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12 newfile
    Read More
  3. 분노 길들이기

      분노 길들이기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3-8)     분노, 인간의 가슴 속에 놓인 작은 화로, 겉으로는 차분해 보이는 방 안에서도, 그 화로는 은근하게 붉은 숨을 내쉰다. 누군가의 말 한마디, 갑작스런 모욕, 기대가 무너지는 소리, 인정받고...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16 newfile
    Read More
  4. 분노는 사탄의 화로이다

        분노는 사탄의 화로이다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3-6)     분노는 인간의 내면 깊숙한 곳에 잠든 불의의 화로(火爐)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불씨처럼 작고 조용하게 타오르다가, 어느 순간 세상을 태워버릴 만큼 거대한 화염으로 번진...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10 newfile
    Read More
  5. 도스토예프스키와 분노 속의 은혜의 빛

      도스토예프스키와 분노 속의 은혜의 빛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4)     『부활』의 작가 톨스토이와 『죄와 벌』의 작가 도스토예프스키는 러시아의 두 영혼이다. 같은 시대를 살았지만 서로 다른 하늘을 응시했다. 두 사람은 모두 죄...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11 newfile
    Read More
  6.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톨스토이의 『부활』은 명상처럼 흐르는 한편의 긴 설교이다. 성경에 근거한 분노 신학이 맞닿는 지점을 따라가고 있다. 단순히 한 인간의 도덕적 각성을 그린 소설이 아니다. 인...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5 newfile
    Read More
  7. 톨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3-3)       레프 톨스토이의 『부활』(The Ressulection, Воскресение, 1899)은 인간의 영혼이 죄와 분노, 불의와 무지 속에서 어떻게 깨어나고 다시 태어나는가를 보...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7 newfile
    Read More
  8.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셰익스피어의 비극 『리어 왕(King Lear)』은 인간의 분노가 어떻게 영혼의 심연을 흔들고, 사랑과 진리를 삼켜버리는지를 보여주는 장엄한 서사시와도 같다. 그 안...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14 newfile
    Read More
  9.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 사랑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보다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시기(Envy)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가장 은밀히 자라나는 감정이다. 처음에는 미세한 불편함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의 이름이 칭찬받는 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2 newfile
    Read More
  10.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 10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시기에 대한 경고성경은 시기를 단순한 감정의 사안으로 다루지 않는다. 영혼의 균열, 곧 사랑이 부재한 자리에서 피어나는 내면의 어둠으로 본다. 사도 바울과 베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1 newfile
    Read More
  11.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어느날 여우는 나뭇가지에 잘 익은 포도가 매달려 있는 것을 침을 삼켰다. 포도를 따려고 뛰어올랐으나 손에 닿지 않앗다. “조금 더 높이 오르면 포도를 딸 수 있을 거야” 하고 시도...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1 newfile
    Read More
  12. 신데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사진=영화 '신데렐라' 스틸   신델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신데렐라』(Cinderella)는 부당한 학대와 시련 속에서도 주인공 신데렐라가 고난을 이겨내고 초자연적인 원조자의 도움을 받아 결국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1 newfile
    Read More
  13.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윌리암 셰익스피어의 『오셀로』(Othello)는 인간의 마음속에 잠들어 있는 시기가 어떻게 사랑을 왜곡시키고, 진실을 파괴하며, 결국 자기 자신을 삼켜버리는가를...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 newfile
    Read More
  14.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6)   인간의 마음속에는 모방의 불꽃이 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서로를 비추며 배우고, 닮으려 하며,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을 형성한다. 아이는 부모의 말투를 따라 하고, 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 newfile
    Read More
  15.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시기’(猜忌, Envy)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미워함이다.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타인’에게 초점을 맞춰서 “시기가 갖지 못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7 new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