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UUUUUUUUUUU.jpg

 

 

독립선언문(1919, 원문번역)

 

 

 

오등은 자에 아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차로써 세계만방에 고하야 인류평등의 대의를 극명하며 차로써 자손만대에 고하야 민족자존의 정권을 영유케 하노라.

 

반만년 역사의 권위를 장하야 차를 선언함이며 이천만민중의 성충을 합하야 차를 포명함이며 민족의 항구여일 한 자유발전을 위하야 차를 주장함이며 인류적 양심의 발노에 기인한 세계개조의 대기운에 순응병진하기 위하야 차를 제기함이니 시일천의 명명이며 시대의 대세며 전인류 공존 동생권의 정당한 발동이라 천하하물이던지 차를 저지 억제치 못할지니라 구시대의 유물인 침략주의 강권주의의 희생을 작하야 유사 이래 누천년에 처음으로 이민족 겸제의 통고를 상한지 금에 십년을 과한지라 아생존권의 박상()됨이 무릇 기하-며 심령상 발전의 장의됨이 무릇 기하-며 민족적 존영의 훼손됨이 무릇 기하-며 신예와 독창으로써 세계문화의 대조류에 기여보비할 기연을 유실함이 무룻 기하-.

 

희라 구내의 억울을 선창()하려 하면 시하의 고통을 파탈하려 하면 장래의 협위를 삼제하려하면 민족적 양심과 국가적 렴의의 압축쇄잔을 흥분신장하려 하면 각개인격의 정당한 발달을 수하려 하면 가련한 자제에게 수치적 재산을 유여치 안이하려 하면 자자손손의 영구완전한 경복을 도영하려 하면 최대 급무가 민족적 독립을 확실케 함이니 이천만 각개가 인마다 방촌의 인을 회하고 인류통성과 시대양심이 정의의 군과 인도의 간과로써 호원하는 금일 오인은 진하야 취함에 하강을 좌치 못하랴 퇴하야 작함에 하지를 전치 못하랴.

 

병자수호조규이래 시시종종의 금석맹약을 식하였다 하야 일본의 무신을 죄하려 아니하노라 학자는 강단에서 정치가는 실제에서 아조종세업을 식민지 시하고 아문화민족을 토매인우하야 한갓 정복자의 쾌를 탐할 뿐이요아의 구원한 사회기초와 탁영한 민족심리를 무시한다 하야 일본의 소의함을 책하려 아니하노라 자기를 책려하기에 급한 오인은 타의 원우를 가치 못하노라현재를 주무하기에 급한 오인은 숙석의 징변을 가치 못하노라.

 

금일 오인의 소임은 다만 자기의 건설이 유할 뿐이요결코 타의 파괴에 재치 아니하도다.엄숙한 양심의 명령으로써 자가의 신운명을 개척함이요결코 구원과 일시적 감정으로씨 타를 질축배척함이 안이로다.

 

구사상 구세력에 패기된 일본 위정가의 공명적 희생이 된 부자연 우 불합리한 착오상태를 개선광정하야 자연 우 합리한 정경대원으로 귀환케 함이로다당초에 민족적 요구로서 출치 아니한 양국병합의 결과가 필경 고식적 위압과 차별적 불평과 통계수자상 허식의 하에서 이해상반한 양민족간에 영원(화동할 수 없는 원구를 거익심조하는 금내실적을 관하라.

용명과감으로써 구오를 곽정하고 진정한 이해와 동정에 기본한 우호적 신국면을 타개함이 피차간 원화소복하는 첩경임을 명지할 것 안인가.

 

또 이천만 함분축원의 민을 위력으로써 구속함은 다만 동양의 영구한 평화를 보장하는 소이(아닐뿐 안이라 차로 인하야 동양안위의 주축인 사억지나인의 일본에 대한 위구와 시의를 갈사록 농후케하야 그 결과로 동양전국이 공도동망의 비운을 초치할 것이 명하니 금일 오인의 조선독립은 조선인으로 하야금 정당한 생영을 수케하는 동시에 일본으로 하야금 사로로서 출하야 동양 지지자인 중책을 전케하는 것이며 지나로 하야금 몽매에도 면하지 못하는 불안공포로서 탈출케하는 것이며 또 동양평화로 중요한 일부를 삼는 세계평화 인류행복에 필요한 계단이 되게하는 것이라이 엇지 구구한 감정상 문제-리요.

 

아아 신천지가 안전에 전개되도다위력의 시대가 거하고 도의의 시대가 래하도다과거 전세기에 연마장양된 인도적 정신이 바야흐로 신문명의 서광을 인류역사에 투사하기 시하도다신춘이 세계에 래하야 만물의 회소를 최촉하난도다동빙한설에 호흡을 폐칩한 것이 피일시의 세라-하면 화풍난양에 기맥을 진서함은 차일시의 세니 천지의 복운에 제하고 세계의 변조를 승한 오인은 아모 주저할 것 없으며 아모 기탄할 것 없도다.

 

아의 고유한 자유권을 호전하야 생왕의 악을 포향할 것이며 아의 자족한 독창력을 발휘하야 춘만한 대계에 민족적 정화를 결뉴할 지로다.

 

오등이 자에 분기하도다양심이 아와 동존하며 진리가 아와 병진하는 도다남녀노소없이 음울(고소로서 활발히 기래하야 만휘군상으로 더부러 흔쾌한 부활을 성수하게 되도다천백세조영이 오등을 음우하며 전세계 기운이 오등을 외양하나니 착수가 곳 성공이라 다만 전두의 광명으로 매진할 마름인뎌.

 

공약삼장

 

-, 금일 오인의 차거는 정의 인도 생존 존영을 위하는 민족적 요구-니 오직 자유적 정신을 발휘할 것이요 결코 배타적 감정으로 일주하지 말라.

 

-, 최후의 일인까기 최후의 일각까지 민족의 정당한 의사를 쾌히 발표하라.

 

-, 일절의 행동은 가장 질서를 존중하야 오인의 주장과 태도로 하야금 어대까지던지 광명정대하게 하라.

 

조선건국 사천이백오십이년 삼월 일일

 

조선민족대표

 

손병희 길선주 이필주 백용성 김완규 김병조 김창준 권동진 권병덕 나용환 나인협 양전백 양한묵 유여대 이갑성 이명룡 이승훈 이종훈 이종일 임례환 박준승 박희도 박동완 신홍식 신석구 오세창 오화영 정춘수 최성모 최 린 한용운 홍병기 홍기조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예수의 신임장

      예수의 신임장 김준곤 <예수칼럼> 아카이브 5   예수의 권위(權威)에 대한 신임장(信任狀)이 세 가지 있다. ① 성서一예수가 주제(主題)인 영원한 베스트셀러, ②부활사건一사도행전의 3,000〜5,000명씩 회개하고 믿은 사람들은 며 칠 전 같은 도시 예루살렘...
    Date2023.02.26 Byreformanda Reply0 Views141
    Read More
  2. 이 사람을 보라

      이 사람을 보라   김준곤 <예수칼럼> 아카이브 4   나사렛 예수, 하나님 같은 사람, 사람 같은 하나님. 자신을 하나님이라고 주장한 죄로 사형 받았고 제자 교육의 핵심이 자신을 하나님으로 믿게하는 일이었다. 하나님 만 할 수 있는 말을 하고, 하나님만 ...
    Date2023.02.25 Byreformanda Reply0 Views458 file
    Read More
  3. 예수의 현존성(現存性)

      예수의 현존성(現存性) 김준곤 <예수칼럼> 아카이브 3   "2000년 전에 죽은 로마의 사형수여, 그대가 내 품에서 심장을 오려가듯 외동딸을 빼앗아 가는구나. 그대는 죽은 사람인가 산 사람인가? 하나님인가 사람인가? 생명의 약탈자여 사랑의 약탈자여.” 이...
    Date2023.02.25 Byreformanda Reply0 Views229
    Read More
  4. 아무도 이렇게 말한 일이 없다

        아무도 이렇게 말한 일이 없다 김준곤 <얘수칼럼> 아카이브 2   예수의 주장: 나는 생명의 떡이다. 생명수(生命水)다. 나는 너의 빛이다. 나는 네 선한 목자요 너희는 내 양이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다. 나를 믿으면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난...
    Date2023.02.24 Byreformanda Reply0 Views204 file
    Read More
  5. 우주 로고스 생명 로고스

        우주 로고스 생명 로고스 김준곤 <얘수칼럼> 아카이브  1   태초에 예수(로고스)가 계시니라. 이 예수는 하나님과 함께 계시고 그 예수는 곧 하나님이시니(요 1:1) 만물이 예수로 말미암고 예수를 위하여 창조되었으며 예수 안에서 존립한다(골 1:16-17...
    Date2023.02.24 Byreformanda Reply0 Views165 file
    Read More
  6. 변장된 축복

      변장된 축복 어떤 사람이 죽어서 천국에 갔다. 거기서 보니, 천사들이 열심히 무슨 작업을 하고 있었다. 뭘하고 있느냐고 물으니까, 세상 사람들에게 보낼 축복을 포장하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축복이 잘 전달되도록 포장하는데 사용하는 포장지는 “고난”...
    Date2023.02.19 Byreformanda Reply0 Views735 file
    Read More
  7. 새해에 행복한 행진을 기대하라

        새해에 행복한 행진을 기대하라   파도타기를 하는 사람들은 바다의 파도를 찾아간다. 파도를 타며 스릴을 즐긴다. 보통 사람들은 파도를 두려워하고 피한다.   우리네 인생에는 아무리 피하려 해도 끊임없이 파도가 밀려온다. 그 파도들을 타고 넘을 것...
    Date2023.01.07 Byreformanda Reply0 Views349 file
    Read More
  8. 동방박사들의 네비게이션

        동방박사들의 네비게이션   예수님께서 탄생하시던 날 밤 전혀 예상치 못한 방문객들이 베들레헴을 찾아왔다. 아주 먼 곳에서 온 동방박사들이었다. 그들은 페르시아인들이었다. 1천 2백마일이나 멀리 떨어진 나라에서 왔다. 아기 예수님께 경배하러 왔던...
    Date2022.12.26 Byreformanda Reply0 Views622 file
    Read More
  9. 독수리같이 날아라

        독수리같이 날아라   어미 독수리는 새끼 독수리를 높은 곳에 올라가 떨어뜨려서 하늘을 나는 법을 가르친다. 세상에 태어나서 한 번도 날아보지 못한 새끼 독수리는 필사적으로 날개를 치며 낙하되다가 땅에 부딪치기 직전, 어미 독수리가 쏜살같이 내려...
    Date2022.11.06 Byreformanda Reply0 Views1875 file
    Read More
  10. 인생 필수 과제물

          인생 필수 과제물     전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 C. S. 루이스 저명한 기독교 사상가이다. 그는 <순전한 기독교>(Mere Christianity)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수는 정신 나간 거짓 교사이든지 만인의 구주이든지 둘 중의 하나다. 만약 당신이 예수...
    Date2022.10.07 Byreformanda Reply0 Views466 file
    Read More
  11. 계명과 보혜사

        계명과 보혜사     선교학 용어 “10/40창문”은 기독교 선교가 가장 안 된 지역을 가리킨다. 미국 선교신학자이며 선교전략가인 루이스 부시(Luis Bush)가 처음 사용했다.     북위 10도와 40도 사이의 지구는 북 아프리카에서 시작하여 중국에 이르는 광...
    Date2022.09.17 Byreformanda Reply0 Views321 file
    Read More
  12. 영원한 그리움

        영원한 그리움     예수의 사도 바울은 한 번도 만나 본 적이 없다. 그러나 일생 동안 예수님을 몹시 그리워했다. 바울 서신의 ‘키워드’는 “그리스도 안에서”(En Xristow)였다. 얼마나 주님을 그리워했던지 주님을 위해 죽기까지 하겠다고 선언했다. “내...
    Date2022.09.17 Byreformanda Reply0 Views347 file
    Read More
  13. WCC, '앙꼬 없는 찐빵’ 기독교'

    zm   ▲WCC 제11차 총회가 열리는 독일 카를스루에 전경     WCC, '앙꼬 없는 찐빵’ 기독교'   “복음 빠진 WCC 제11차 총회, ‘앙꼬 없는 찐빵’ 기독교”   독일 카를스루에 총회 직접 찾아가는 최덕성 총장   <크리스천투데이>,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Date2022.08.31 Byreformanda Reply0 Views401 file
    Read More
  14. 니케아공의회 1700주년 기념 학술회

        니케아공의회 1700주년 기념 학술회   2025년 6월 19일 (목) 기독론과 신경 관련 논문발표회   리포르만다(기독교사상연구원)는 니케아공의회 170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회를 가진다. 신학자들이 고대기독론(Classical Christology)과 신경(Creeds) 관련 ...
    Date2022.08.27 Byreformanda Reply0 Views592 file
    Read More
  15. 실패는 실패 아니다

        실패는 실패 아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유대인의 탈무드에 나오는 말이다. 온갖 시련과 실패를 딛고 일어선 유대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유대인들은 오래전부터 어떠한 역경이 올지라도 실패를 실패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실패를 밝은 미래...
    Date2022.08.05 Byreformanda Reply0 Views42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