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9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5579639_1688301174642599_2072389500109028730_o.jpg



연리근(連理根)과 단다(單多)


일식이 있던 시간에 등산을 하다가 우연히 위 그림의 나무들을 보았다. 두 나무의 뿌리가 붙어 있다. 연리근(連理根)이라고 한단다. 해발 약 300미터의 높이의 부산지역 장지산 등산로 기슭에 있다. 이 두 나무는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이다.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라는 개념은 기독교 기독론과 삼위일체론 이해에 중요하다.


예수는 완전한 하나님이며 완전한 사람이다. 신성과 인성은 모두 완전하며(각각 100 퍼센트), 이 둘은 나누어지지 않고 분활되지 않고 혼합되지 않고 변화되지 않는다. 이를 영어로 표현하면 이러하다. The divinity and humanity of Jesus Christ is not divided, not separated, not mixed, not changed. 이를 4대 부정문이라고 한다. 이 신학공식은 박해받던 교회가 신앙의 자유 시대를 맞이하여 오랫 동안 기독론 논의를 해 오다가 칼케돈공의회(451)에서 확정된 진리이다.


기독교 세계에는 아직도 예수를 하나님이라고 믿으며 인성이 신성에 흡수되어 내재한다고 생각하는 신자들이 있다. 주로 시라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이집트 지역에 자리를 잡은 오랜 역사를 가진 단성론자들이다. 반면, 예수를 다만 인간이라고 믿어온 종교인들이 있다. 세르베투스주의, 소시니우스주의,  뉴잉글랜드의 고풍스런 이단 유니타리안교회(Unitarian Universalist Church), 종교다원주의자들, 예수 세미나 신학자들, 자유주의 신학자들이다.


천지의 창조자 하나님은 삼위일체라는 존재양식을 가진 분이다.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은 각각의 위(person)를 가진 완전한 독립적인 분이면도 동시에 유일한 하나님이다. 셋이면서 동시에 하나이다. 이를 신학 용어로 단다(單多, one and many)라고 한다.


정통 기독교의 삼위일체론은 성경과 논리와 응전의 열매이다. 지중해 연안에 퍼져 있던 플라톤주의 이원론 사고 패러다임의 문화적 영향을 받은 이단들은 성경이 제시하는 삼위일체적인 하나님의 존재의 양식을 거부하고 이를 부단히 공격했다. 그러나 하나님은 교회를 보호하고 주권적인 섭리와 인도로 신의 존재 양식에 대한 기독교의 핵심 진리들을 천명하고 고백하게 했다.


어찌 하나이면서 동시에 셋인 신이 존재할 수 있는가? 유한한 인간의 두뇌와 이성으로는 이해불가능한 진리이다. 만약 하나님의 존재가 사람의 두뇌에서 이성적으로 완전히 이해된다면 그 신은 숭앙과 예배의 대상이 될 가치가 없다. 논리의 실험관 속에서 분석되고 간파되는 존재는 인간을 넘어서는 진리의 주체가 될 수 없다. 역설적으로 하나님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기 때문에 위대한 존재이다.


합리성에 근거하여 옳고 그름을 단정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신탁(神託)과 계시(啓示)를 통해 드러난 신적(divine)인 진리이다. 선지자들과 사도들의 입을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진리는 독단(dogma)과 케리그마(kergma: 선포)이다. 예컨대  삼위일체(三位一體), 신애세인(神愛世人), 도성인신(道成人身), 사자부활(死者復活), 대속구원(代贖救援) 같은 것들이다.


특별계시를 통해 주어진 신적인 진리는 인간의 합리적인 이해를 초월한다. 일상적 경험에서 추론할 수 없는 교리이며, 검증도 불가능하다. 이것에 대해 인간이 옳고 그르다는 최종적인 판단을 내릴 수 없다. 인간의 유한성 때문이다.


세상에는 인간이 이성적으로 검증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것보다 그렇지 못한 것들이 훨씬 더 많다. 인간의 합리성은 육의 세계, 물질의 세계, 인과응보의 세계 안에서 형성된 것이다. 인간 이성은 제한적이다. 지식이란 뷔페식당에서 이것저것을 자기 입맛에 따라 가져다가 한 쟁반에 채우는 것과 같이 자기의 기호에 따라 채워진다. 그 지식을 따라 판단을 내리는 이성은 최후의 재판관이 될 수 없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다.


계시된 하나님의 진리가 전적으로 신적 영역에 속하는 것이라고 하여 이것에 대한 논리적 추론을 거부하는 것도 오류이다. 진리에 대한 인간의 논의는 비록 그것이 계시된 것, 신앙의 영역, 영원한 세계를 다룰지라도 논의 자체는 인간의 활동이다. 이성적 작업은 일련의 지적, 합리적, 이성적 체계를 필요로 한다. 종교적 명제를 불가해한 것으로 여겨 단지 독단이나 송영(doxology)으로 처리해 버리는 것은 이성적 작업 곧 학문하기를 포기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국기 태극기 복판에 그려진 음양 모양은 단다의 개념을 쬐끔 반영한다. 음과 양은 둘이면서 하나이다. 둘이면서 하나를 구성하고 있다. 음과 양은 구분되지만 떨어지지 않는다. 이 개념은 우리 나라 사람들이 의식에 깊이 새겨져 있다. 남편과 아내는 둘이면서 하나이다. 군주와 신하는 둘이면서 하나이다. 부모와 자식은 각각 다르면서도 하나이다. 


반면, 플라톤주의 이원론 사상에 깊이 물든 유럽인은 음과 양, 남편과 아내, 군주와 신하, 부모와 자식을 서로 다른 객체로 여기며, 완전히 다른 두 가지가 변증법적인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이해한다.


불교의 경전 반야심경(般若心經)』에도 단다와 비슷한 개념의 문구가 있다. 색불이공공불이색(色不異空空不異色) 색즉시공공즉시색(色卽是空空卽是色)”이란 게 있다.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다로 번역된다. 텅빈 것은 가득 참이고, 가득 참은 텅 빈 것이다(emptiness is fullness, fullness is emptiness)로 번역될 수 있다. 물질적인 세계와 평등무차별한 공()의 세계가 다르지 않음을 뜻한다.


이 글의 범어(梵語) 원문은 이 세상에 있어 물질적 현상에는 실체가 없는 것이며, 실체가 없기 때문에 바로 물질적 현상이 있게 되는 것이다. 실체가 없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물질적 현상을 떠나 있지는 않다. , 물질적 현상은 실체가 없는 것으로부터 떠나서 물질적 현상인 것이 아니다. 이리하여 물질적 현상이란 실체가 없는 것이다. 대개 실체가 없다는 것은 물질적 현상인 것이다로 기술되어 있다. 색은 물질적 현상이며, 공은 실체가 없다는 것이다.


불교는 이원론적(二元論的)인 사고방식을 지양하고 평등한 불이(不二)의 사상을 토대로 하여 교리를 전개한다. 그래서 중생과 부처, 번뇌와 깨달음, 색과 공을 차별적인 개념으로 이해하지 않고 대립과 차별을 넘어선 일의(一義)로 관조할 것을 강조한다. 색과 공이 다른 것이 아니라고 하여 색이 변괴(變壞)되어서 공을 이루는 현상적인 고찰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색의 당체(當體)를 직관하여 곧 공임을 볼 때, 완전한 해탈을 얻은 자유인이 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불교의 전통적인 해석방법이다. 불자들에게 이 개념이 완전히 이해되는지 의문이다.


하나님은 세상 만물과 태양계와 우주를 창조한 분이다. 무에서 유를 창조했다.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은 한 분 하나님으로 존재한다. 유일한 참 신 하나님은 '단다'의 양식으로 존재한다. 다수이면서 동시에 단수로 계신다. 각 위는 속성의 교류, 본질의 교류를 가지는 동일본질이다.


하나님의 존재양식을 지상의 어느 것에 비교할 수 없다. 유비(analogy) 가능한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나님의 진리는 선지자들과 사도들에게 임한 성령 하나님께서 영원한 신적 진리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해할 수 있을 만큼만 계시해 주셨기에, 기독교는 그것을 근거로 신의 존재와 존재 양식을 알고 그 진리를 가르치고 있다.


성경은 하나님의 특별 계시들의 모음집이다. 성경은 인간의 신앙과 행위의 표준이다. 그 성경의 핵심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가 메시아(구원자, 그리스도)이며, 그 분을 믿음으로 죄 용서를 받고 그리스도와 연합(union)하며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다는 진리이다.


위 사진의 연리근은 같은 종의 두 나무를 연합, 결합시킨다. 위 나무들은 단다(單多, one and many)의 존재양식과 비슷한 것처럼 보인다. 각각의 소나무는 독립적인 개체이면서 하나로 연합, 결합되어 있다. 자양분을 나누고, 하나로 완전히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만히 추론해 보면 좌측 소나무 뿌리가 우측 소나무의 가랑이 사이로 뻗어 자라고 오랜 세월동안 각자  확대 팽창하면서 겹쳐졌으며, 실제로 서로 수액과 자양분을 주고 받는 하나의 나무로 결합된 것 같다.


영생의 진리를 알고 싶거나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고 싶은 구도자는 아래의 이메일 주소로 연락하면 글쓴이와 연결될 수 있다. 성경은 여러분에게 약속한다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행 15:31). 인간은 구원자 예수를 거쳐 비로소 창조주 하나님께 이를 수 있다. 죄 사함을 받아야 비로소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다. 창조자 하나님은 예수를 인류 구원의 통로로 마련한 사랑과 공의의 신이다. 그분의 이름은 '스스로 존재하는 자'이다. 여호와(야웨라고도 부름) 하나님이다. 솔로몬 왕은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모든 지식의 근본이다"(잠 1:7)고 말했다.



최덕성 박사 (브니엘신학교 총장, 교의학 교수)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choicollege@naver.com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톨스토이의 『부활』은 명상처럼 흐르는 한편의 긴 설교이다. 성경에 근거한 분노 신학이 맞닿는 지점을 따라가고 있다. 단순히 한 인간의 도덕적 각성을 그린 소설이 아니다. 인...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37 file
    Read More
  2. 톨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3-3)       레프 톨스토이의 『부활』(The Ressulection, Воскресение, 1899)은 인간의 영혼이 죄와 분노, 불의와 무지 속에서 어떻게 깨어나고 다시 태어나는가를 보...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39 file
    Read More
  3.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셰익스피어의 비극 『리어 왕(King Lear)』은 인간의 분노가 어떻게 영혼의 심연을 흔들고, 사랑과 진리를 삼켜버리는지를 보여주는 장엄한 서사시와도 같다. 그 안...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41 file
    Read More
  4.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 사랑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보다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시기(Envy)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가장 은밀히 자라나는 감정이다. 처음에는 미세한 불편함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의 이름이 칭찬받는 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3 file
    Read More
  5.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 10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시기에 대한 경고성경은 시기를 단순한 감정의 사안으로 다루지 않는다. 영혼의 균열, 곧 사랑이 부재한 자리에서 피어나는 내면의 어둠으로 본다. 사도 바울과 베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4 file
    Read More
  6.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어느날 여우는 나뭇가지에 잘 익은 포도가 매달려 있는 것을 침을 삼켰다. 포도를 따려고 뛰어올랐으나 손에 닿지 않앗다. “조금 더 높이 오르면 포도를 딸 수 있을 거야” 하고 시도...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8 file
    Read More
  7. 신데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사진=영화 '신데렐라' 스틸   신델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신데렐라』(Cinderella)는 부당한 학대와 시련 속에서도 주인공 신데렐라가 고난을 이겨내고 초자연적인 원조자의 도움을 받아 결국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3 file
    Read More
  8.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윌리암 셰익스피어의 『오셀로』(Othello)는 인간의 마음속에 잠들어 있는 시기가 어떻게 사랑을 왜곡시키고, 진실을 파괴하며, 결국 자기 자신을 삼켜버리는가를...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0 file
    Read More
  9.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6)   인간의 마음속에는 모방의 불꽃이 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서로를 비추며 배우고, 닮으려 하며,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을 형성한다. 아이는 부모의 말투를 따라 하고, 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7 file
    Read More
  10.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시기’(猜忌, Envy)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미워함이다.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타인’에게 초점을 맞춰서 “시기가 갖지 못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4 file
    Read More
  11.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2)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는 이탤리 피렌체의 하늘 아래 태어나, 인간의 영혼이 하늘과 지옥 사이를 오가던 중세 말의 시인이다. 그는 단순한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4 file
    Read More
  12.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2-1)       영화 〈아마데우스〉(Amadeus, 1984)는 천재 음악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그를 질투한 궁정 작곡가 안토니오 살리에리의 이야기이다. ‘시기(嫉忌)’라는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2 file
    Read More
  13.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6)     인간 영혼의 뜰에는 뱀처럼 은밀하고 교활한 손님이 자리 잡고 있다. 그 이름은 교만이다. 교만은 스스로를 높이려는 끊임없는 욕망이며, 눈을 가린 채 낡은 허상...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4 file
    Read More
  14. 교만의 어두운 계단: 영적 우월감

        교만의 어두운 계단: 우월감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5)     인간의 영혼은 깎아지른 절벽과 같아서 늘 추락의 위험을 안고 산다. 그 추락을 유혹하는 가장 달콤하고도 단단한 땅이 바로 교만이다. 권력의 비탈에서, 명예의 높은 봉우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5 file
    Read More
  15.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교만은 자기기만의 덫이다. 교만은 단순한 자부심 과잉이 아니다. 인간 영혼의 가장 깊은 곳에 드리워진 그림자이다. 스스로를 속이고 타인과의 연결을 끊으며, 모든 선한 노력의 끝자락에서 다시 고개를 드는 뿌리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