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 리포르만다
  • 신학저널
  • 교회사산책
  • 목회저널
  • 삶과문화
  • 아카이브
  • 신학라이브러리
  • Bread University
sitemap
  • 리포르만다
  • 신학저널
  • 교회사산책
  • 목회저널
  • 삶과문화
  • 아카이브
  • 신학라이브러리
  • Bread University
리포르만다

ECCLESIA SEMPER REFORMANDA

  •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 낙하복 실험
  • 신사참배거부운동은 독립운동인가?
  •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하기아소피아대교회당 (현 이스탄불)
회원가입 ID/PW 찾기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 로그인
  • 회원가입




  • 인기글
  • 최신글
  •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와 개신교인   중국 최...

    2025-08-10

  • 두 권의 성경과 화해 ...

        두  권의 성경과 화해 제스쳐   거짓 평화의 연출...

    2025-08-11

  • WEA 서울총회 반대에 ...

    오정현 목사(사랑의교회)   WEA 서울총회 반대에 대한...

    2025-08-08

  •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The King’s Gallery, Edinburgh   스코틀랜드 자유교...

    2025-08-08

  •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반도의 주인은 ...

    2025-08-14

  •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전 숭실대학교 교수...

    2025-09-01

  • 카파도키아 신학자들과...

      하기아 아이린 교회당(현 이스탄불, 스탄티노플 공...

    2025-08-25

  • ‘니케아 신경’ 반포 17...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니케아 신경’ 반포...

    2025-08-25

  • 낙하복 실험

        낙하복 실험   1912년 파리, 낙하복 실험을 위해 ...

    2025-08-24

  • 정교분리는 정치 무관...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총회 대사회관계위원회는 2...

    2025-08-24

  • 통역이 없을 때 방언하지 마라고 분명히 가르칩니다. 그건 성경의 가르침에 분명 위배되는 것입니다.   2025-06-02

  • ‘다수의 폭정’ 길 넓혀준 위험한 결정 입력 2025-04-07 문화일보 허영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헌법...   2025-04-08

  • 귀신이 역사하는 걸 직접 본다면.. 방언기도할때 배가 꿈틀된다거나, 혀가 빠지거나 하는건 뭐조   2025-03-18

  • 김구는 중국 국적을 취득했는가? 김구의 국적에 대한 이견이 분분합니다. 프랑스 보고서에 따르면 김구 1934...   2025-03-14

  • 공감 합니다. 저희 교회도 가정 교회를 운영하고 있는데 주일 오후 예배와 금 요 예배가 갑자기 사라졌고 각...   2025-01-31

  • 안창호 선생님이 썼다고. 증언하시는 위대한 스승님들이 많습니다. 1919년생인 김흥호 선생님은 항상 생전에...   2024-12-31

  • 저것과 별개로    현 시점에서 김남준 목사 설교는 다시 보고 볼수록 참 아쉽긴 합니다. 일반적으로 여겨지...   2024-12-16

알림ㆍ후원

  • 전통 강의식 모델을 답습하지 않아... file
  • 최덕성 교수 프로필(Profile) file
  • 요점을 먼저 말하라 file
  • 리포르만다,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file
  • 리포르만다는 무슨 뜻입니까? file
  • 리포르만다는 언제 출범했습니까? file
  • HOME
  • > 아카이브

아카이브

간통 피해자와 담배꽁초 버리기

dschoiword
댓글 1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간통피해자


손봉호 교수

지난 2월 26일 헌법재판소에서 간통죄가 위헌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개인의 문제를 형법으로 다스릴 수 없다는 입장이 우세했던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을 지킬 수 있는 하나의 테두리가 없어진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교회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윤리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손봉호 교수에게 간통죄 위헌 판정과 관련하여 물었습니다.

 

sbh


크로스로: 그 동안 간통죄가 가정을 지키는 역할을 했다고 보십니까?


손봉호: 어느 정도 그랬다고 봅니다. 간통이 많이 저질러졌지만 법이 없었더라면 더 많이 일어났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크로스로: 간통죄가 몇 번의 헌법재판소의 의결을 거쳐서 오늘날 위헌 판정을 받았습니다. 무엇이 달라졌다고 생각하십니까?


(참고로 헌법재판소에서는 1990년 합헌 6:3(합헌:위헌), 1993년 합헌 6:3, 2001년 합헌 8:1 판결을 했습니다. 그러나 2008년 합헌 4:5 로 위헌의 의견이 더 많았으나 위헌 결정 정족수인 6명을 채우지 못해서 합헌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2015년 5년 합헌 2, 위헌 7로 위헌 결정을 내렸다.)


손봉호: 사람들의 생각이 더 개인주의적이 되었고 결혼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약화되었습니다. 점점 더 타락했고 쾌락에 탐닉하며 다른 사람의 권리를 무시하게 되었습니다. 헌재는 그런 변화에 따라 입장을 바꾸었을 것입니다.

 

크로스로: 간통죄 폐지를 기독교인으로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손봉호: 마땅히 반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혼은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두 사람의 문제며 결혼식과 혼인신고는 두 사람이 죽을 때까지 서로에게 신실할 것을 약속하는 것과 같습니다. 간통의 피해자는 그 약속을 배신당한 약자입니다. 국가는 마땅히 약자가 억울하게 배신당하는 것을 막을 의무가 있습니다. 헌재의 결정은 간통을 저지른 두 사람의 자유결정만 존중했지 배신을 당한 피해자의 억울함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을 쓰지 않는 것입니다. 결혼의 약속은 사적인 것이 아니고 가족, 자녀, 친족, 사회가 직. 간접으로 연관되어 있는 공적인 행위입니다. 혼인신고를 하는 것도 그것을 전제로 하는 것입니다. 기독교는 부부간의 약속을 매우 중요하게 취급해야 하며, 성관계는 오직 부부간에만 허용된다는 것을 강조해야 하고, 약자는 마땅히 보호받아야 한다는 것을 주장해야 합니다.

 

 크로스로: 이 시대에 성적 도덕에 대해서 교회는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요?


손봉호: 성 관계는 오직 합법적인 부부간에만 허용되며, 그것을 어기는 것은 우상숭배 못지않게 큰 죄라는 사실을 강조해야 합니다. 그리고 결혼 당사자의 고통은 간과하고 개인의 쾌락을 위하여 성도덕을 무시하는 것은 배신 가운데 배신이며 그 배신을 바울은 불신보다 악한 것으로 취급합니다. 교회는 성적 순결을 강조해야 하며 그것은 동시에 사회에 대한 중요한 공헌이 될 것입니다.

 

크로스로: 덧붙이고 싶은 신 말씀이 있으시면 더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손봉호: 한국 교회가 성적 순결을 충분히 강조하지 않은 것은 큰 잘못이며 이번 헌재의 결정이 나기 전에 한국 교회가 위헌반대 운동을 했어야 했습니다. 나 자신도 이에 소극적이었던 것에 대해서 사과합니다.


<크로스로>에서 옮김


-------------------------------------------------------------------------------------------------------------------


남의 아내 도둑질하기’가 ‘담배꽁초 버리기’보다 경미하다니?


<이광호 목사, 실로암교회>


“간통죄 위헌 결정은 동성애와 동성 결혼 문제 물꼬 터주는 격”

“다음 세대 염려했다면 어처구니없는 결정을 내릴 수 없었을 것”

 

지난 2015년 2월 26일, 헌법재판소에서는 ‘위헌’이라는 딱지를 붙여 간통죄를 폐지했다. ‘성적 자기결정권’과 ‘사생활 비밀 보장’ 때문이란다. 


헌법 재판관이라는 자들의 무책임과 무지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들은 보편 윤리를 파괴하면서 시대적 변화를 핑계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길을 가다가 ‘담배꽁초를 버리면’ 경찰이 와서 범칙금을 물거나 잡아간다. 그러나 ‘남의 아내나 남의 남편을 도둑질’ 해도 법적으로 죄가 되지 않게 되었다. 그 배우자가 간통현장을 신고해도 경찰이 와서 도와주지 않는다.


세상에 이런 경우가 어디 있는가? 다른 나라에는 이미 그렇게 하는 경우가 많다는 식의 구차스런 이야기는 하지 말았으면 한다.


그런 자들은 결국 자신의 부패한 감정에만 충실했을 뿐 장차 이 땅에 살아가야 할 우리 자손들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 다음 세대를 염려했다면 그와 같은 어처구니없는 결정을 내릴 수 없다.


이는 간통 문제에 대한 경제적인 손실과 보상에 연관 지어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 자기 자녀들이 앞으로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야 할지 생각했다면 결코 그럴 수 없다. 헌법 재판소는 도리어 악법을 제시하면서 개인의 인권을 앞세웠지만 공공의 가치를 파괴하는 자신의 못된 모습을 보지 않았다.


헌법재판소라는 곳은 국민들의 근본 도덕과 윤리를 포함한 내용을 제멋대로 판단하고 유린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지 않았다.


간통은 결코 용납되어서는 안 될 더러운 죄일 따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월이 더욱 악하게 되면, 간통은 죄가 아니라고 판단한 자들이 마치 시대를 앞서간 인물처럼 평가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교회는 저들이 윤리와 도덕을 파괴함으로써 큰 해악을 끼친 인물로 기억해야 한다. 그들로 말미암아 우리의 자녀들이 얼마나 큰 혼란을 겪을 것인가 하는 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부부 사이에 허락된 성은 하나님의 선물에 해당된다. 그것은 욕정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이 아니라 생명의 존엄성에 연관되어 있다. 성경은 간음이 얼마나 더럽고 추한 죄인가 하는 점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십계명 가운데는 ‘간음하지 말라’는 준엄한 명령이 들어있다. 그것을 어기면 하나님께 저항하는 범죄 행위가 된다.


예수님께서는, 여인을 보고 음욕을 품는 자는 이미 간음한 자라는 사실을 말씀하시면서 그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제시하셨다. 간통이 죄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그것을 법적으로 제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인간성 포기를 요구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어느 누구라 할지라도 그와 같은 판단에 동조한다면 사회를 어지럽히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는 전반적으로 볼 때 제정신이 아니다. 간음과 살인 가운데 과연 어느 쪽이 더 악한 죄라고 생각하는가? 물론 사람의 생명을 박탈하는 살인은 무서운 죄이다. 하지만 한 사람의 생명이 아니라 한 가정을 파괴하여 죽이는 행위는 살인 못지않게 악하다. 욕정을 채우기 위해 남의 배우자를 도둑질하고 한 가정을 파멸에 빠뜨리는 간통이 죄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자들의 논리를 받아들일 수 없다.


헌법재판소는 간통죄를 폐지하면서 현 시대를 반영하고 개인의 인권과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지만 이는 실로 어처구니없는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저들이 생각하는 인권과 우리가 알고 있는 참된 인권 개념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들은 개인의 추한 인권만 앞세웠을 뿐 가정과 그에 속한 가족 구성원들과 사회적 인권에 대해서는 기본 인식조차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우리는 이제 악한 죄를 보고도 죄라고 말하지 못하는 혼탁한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간통죄 폐지는 성도덕 의식 자체를 파괴할 것이 분명하다. 헌법 재판관이라는 자들의 도덕적 무지로 인해 앞으로 나라 전체가 성적으로 문란해 질 것이 분명하다. 교회의 자녀들은 그 악한 분위기 가운데서 힘겹게 살아가야 할 것이다.


이 나라의 장래와 자라나는 다음 세대가 심히 염려된다. 그렇잖아도 국가와 기독교 지도자를 자처하는 자들 가운데 더러운 간통을 저지르면서도 뻔뻔스런 태도를 보인자들이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자녀들은 세상의 악법과 권력에 달리 저항 할 방도가 없다는 사실이 아쉽다.


이와 더불어 대두될 심각한 문제는 간통죄 폐지가 동성애와 동성 결혼 문제에 직접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개인의 성적 결정권을 앞세운 터에 성적 취향을 제한하는 것도 동일 선상에서 파악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성장하는 아이들이 간통이나 동성애를 죄가 되지 않는 것처럼 배우게 된다는 것은 안타깝기 그지없다.


우리는 세상의 더러운 논리에 정신적으로 저항할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그것이 교회를 상속해가는 성도들의 자세이며 어린 자녀들을 보호할 수 있는 길이 된다. 지상 교회는 결코 이를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며, 간음 문제를 엄격하게 다루어야 한다. 


하나님의 말씀에 저항하는 악법에 대해서는 양심으로 거부할 수 있다. 교회는 절대로 이와 같은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


<기독개혁시보>에서 옮김 



Prev PCUSA 동성애자 결혼합법화 PCUSA 동성애자 결혼합법화 2015.03.18by dschoiword 박윤선 목사의 딸 유감 Next 박윤선 목사의 딸 유감 2015.03.11by dschoiword
Facebook Twitter Google Pinterest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디터 선택하기
✔ 텍스트 모드 ✔ 에디터 모드
?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Comments '1'
  • ?
    cothdghk 2015.03.15 22:17

    누군가는 꼭 해야할 참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간통'이 개인의 성에 관한 것이어서 법이 제제할 수 없다는 이들이, '결혼=두 개인의 성적 합의=서로의 성을 독점하기로 계약함'이란 기본 사실을 몰랐겠는가? 그들은 원래 명료함이 탁월한 사람들이다. 이목사님 말씀대로 그들은 부패한 재판관들로 악하고 무책임하다.

    수정 삭제 댓글

  1. No Image

    회개교리설교 이렇게 하라

    회개교리설교 이렇게 하라 김병훈 교수(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회개 설교가 절실한 지금의 한국 교회 1884년에 선교사들에 의해 복음이 전하여 진 후 130년에 가까운 세월이 흘렀다. 복음의 교훈에 비추어볼 때 한국 교회는 어떠한 모습일까? 교회...
    Date2015.03.28 Bydschoiword Reply0 Views3188
    Read More
  2. No Image

    김남준 목사의 설교에 대하여

    김남준 목사의 설교에 대하여 김남준 목사의 설교에 대한 어느 무명인의 비판 주변에서 열린교회에 대한 좋은 말씀들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직접 다녀보면서 느낀점 몇가지 만 적고자 합니다. 정말 정말 저의 글이 문제가 된다 생각 되시면 관리자...
    Date2015.03.21 Bydschoiword Reply15 Views16622
    Read More
  3. PCUSA 동성애자 결혼합법화

    ▲PCUSA 제219회 총회에 참석한 지도자들의 모습. ⓒ페이스북 예장 통합 자매교회 PCUSA 동성애자 결혼합법화 총회 결의 이어 노회 투표서 과반… 오는 6월 21일부터 발효 크리스천투데이(2015.3.18. 보도문) 미국에서 가장 큰 장로교단인 미국장로교(PCUS...
    Date2015.03.18 Bydschoiword Reply0 Views3738
    Read More
  4. No Image

    간통 피해자와 담배꽁초 버리기

    간통피해자 손봉호 교수 지난 2월 26일 헌법재판소에서 간통죄가 위헌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개인의 문제를 형법으로 다스릴 수 없다는 입장이 우세했던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을 지킬 수 있는 하나의 테두리가 없어진 것 아니냐는...
    Date2015.03.13 Bydschoiword Reply1 Views3426
    Read More
  5. 박윤선 목사의 딸 유감

    박윤선 목사의 딸 유감 허순길 박사 (전 고려신학대학원장) <코람데오닷컴>(2015.3.9.) http://www.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8280 나는 최근에야 박혜란이 쓴 “목사의 딸”이란 책을 접했다. 그동안 이 책을 읽은 분들은 딸이 그의 아버지 ...
    Date2015.03.11 Bydschoiword Reply13 Views14766
    Read More
  6. No Image

    성경에 오류 있다

    보수 복음주의 기독교가 결집했다. 지난 3일~6일까지 선밸리 지역 그레이스커뮤니티교회에서는 미국 최대 목회자 세미나인 ‘셰퍼드 콘퍼런스’가 열렸다. 5000여 명의 목회자가 참석한 가운데 이번 콘퍼런스는 보수 기독교가 느끼는 시대적 긴박성이 묻어났다. ...
    Date2015.03.11 Bydschoiword Reply0 Views3064
    Read More
  7. No Image

    <목샤의 딸>이 보여주는 우상

    <목사의 딸>이 보여주는 우상 <목사의 딸> 박혜란의 사촌 형부 목사, "이 책은 거짓" - 고 박윤선 목사 가정을 가까이서 지켜본 결론... "상처가 진실 왜곡" 고 박윤선 목사의 조카사위가 <목사의 딸>(아가페북스)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뉴스앤...
    Date2015.03.09 Bydschoiword Reply2 Views3303
    Read More
  8. 교회는 '젊은지구론'을 넘어서야 한다

    교회는 '젊은지구론'을 넘어서야 한다 과학의 성취가 오히려 창조의 신비 발현...과학과 신앙 통합적 시각 필요 뉴스앤조이 (2015.3.4.) <뉴스앤조이>가 창조과학 논쟁과 관련한 다양한 쟁점을 취재했습니다. ▲ 창조과학과 이를 반대하는 입장 ▲ 젊은지구론에...
    Date2015.03.05 Bydschoiword Reply0 Views3371
    Read More
  9. 왜 창조과학회는 지구가 '젊다' 하는가

    왜 창조과학회는 지구가 '젊다' 하는가 세상의 시작은 하나님의 '말씀'…성경 기록에 근거한 연대기 산출 <뉴스앤조이> (2015.3.2.) ['창조과학'을 둘러싼 논쟁, 그 두 번째 기획 기사입니다. 창조과학의 광범위한 주제 중 '젊은지구론'에 한정해 한국창조과학...
    Date2015.03.05 Bydschoiword Reply0 Views2723
    Read More
  10. 논문쓰기 방법

    논문 쓰기 방법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미국 미시건 대학교 사회심리학 석사 미국 미시건 대학교 사회심리학 박사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 현)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현)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센터장 ...
    Date2015.03.04 Bydschoiword Reply0 Views4169
    Read More
  11. No Image

    성경에 방언기도가 없는가?

    성경에 방언기도가 없는가? 김동수 교수 (평택대) 최근 성경에 방언 기도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렇다면 현재 세계 교회와 한국 교회에서 사용하는 방언은 가짜 방언이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세계 교회와 한국 교회는 지난 백년간 사탄에게 완전히...
    Date2015.03.02 Bydschoiword Reply4 Views6017
    Read More
  12. No Image

    휴거

    휴거 김재성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조직신학) 예수님의 재림시에 벌어질 상황전개에 대해서 어떤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가를 먼저 풀어보고자 합니다. 휴거에 관련된 문제의 본질에 대해서 먼저 개괄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휴거라는 단어가 성경...
    Date2015.02.18 Bydschoiword Reply1 Views4424
    Read More
  13. 교회 구성원이기를 거부하는 기독교인들에게

    교회 구성원이기를 거부하는 기독교인들에게 크리스천투데이, 2015.2.16. 기사 [슬로우 리뷰] 양희송 대표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이정규 강도사님(시광교회)의 2월 첫 ‘슬로우 리뷰’ 선정 도서는 양희송 대표(청어람아카데미...
    Date2015.02.16 Bydschoiword Reply0 Views3336
    Read More
  14. No Image

    즐거움: 우리 시대의 가장 거대한 우상

    즐거움: 우리 시대의 가장 거대한 우상1) 존 쿠퍼(칼빈신학교 철학교수) \\ 전체적 조망 십계명 첫 번째 계명은 우리에게 하나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고 촉구한다. 예수님께서는 하나님과 돈 둘 다를 동시에 섬기지 말라고 경고 하셨다 (마 6:24). 바울...
    Date2015.02.15 Bydschoiword Reply1 Views4410
    Read More
  15. No Image

    칼빈은 성령의 신학자인가?

    성령의 신학자, 요한 칼빈 김재성 박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 김재성 박사(국제신대 부총장) 칼빈 탄생 오백주년 (1509-2009)을 맞이하여 그가 남긴 공헌과 영향력을 평가하는 신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의 연구서적들이 세계 여러 곳에서 많이 나...
    Date2015.02.14 Bydschoiword Reply0 Views358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52 Next
/ 52

리포르만다는 예수구원, 복음전파, 신학강의 공급(중국어,스페인어,영어), 선교에 주력합니다.

부산시 연제구 중앙천로 85

choicollege@naver.com

© 2007 REFORMANDA All rights reserved

  • 리포르만다소개
  • 리포르만다
  • 신학저널
  • 교회사산책
  • 목회저널
  • 삶과문화
  • 아카이브
  • 개인정보취급방침
zkapfhslicense XE1.11.6 NEAT2.0

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리포르만다
  • 신학저널
  • 교회사산책
  • 목회저널
  • 삶과문화
  • 아카이브
  • 신학라이브러리
  • Bread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