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미국 편에 설 것인가, 북한 편에 설 것인가?

 

조선일보 (2018.08.28.)

 

   김대중 고문

2018082703631_0.jpg

트럼프는 '편 가르기'의 명수… 文 대통령의 對北 저자세에 대해 조만간 단도직입적으로 물을 것
'미국 對 중국·러시아'의 구도인 新냉전의 아시아에서 한국은 어느 진영으로 갈 것인지         

70여년 동맹으로 이어온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근자에 매우 심각한 균열을 보이기 시작했다. 북한 비핵화와 한국의 대북 지원을 둘러싼 정책 공조상의 문제로 불거진 것이지만 단순한 견해나 입장 차이 때문만은 아니다. 한국에 대북(對北) 유화 정권이 들어서고 미국에 '미국 우선주의자'가 대통령이 되면서 이미 예견됐던 사안이다. 한국의 좌파 정부와 미국의 우파 정권 간의 필연적 충돌이며 신(新)냉전의 산물이기도 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 관계 발전이 모든 한반도 문제의 요체이며 남북 협력이 모든 것에 우선한다는 철학을 갖고 있다. 그는 지난 15일 8·15 경축식에서 "남북 관계 발전은 북·미 관계 진전의 부수적 효과가 아니다"고 했다. 그 '모든 것'에는 미·북 관계는 물론 더 나아가 한·미 관계도 포함될 수 있다.

그런 사례는 여러 곳에서 감지된다. 북한산(産) 석탄의 한국 반입을 둘러싼 석연치 않은 과정, 남북 연락사무소 설치를 놓고 미국의 견제를 완강히 거부했던 점, 남북 간의 철도·도로 연결 및 접경 지역의 경제특구 설치 의욕, 무엇보다 3차 남북 정상회담을 열어 남북 경협을 밀고 나가겠다는 것은 누가 뭐래도 남북 관계에 올인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를 반영한다.

미국은 한국 정부의 이런 독자적 행동에 물밑 제동을 걸고 있다. 북한의 비핵화가 모든 것에 우선이고 대북 제재가 가장 핵심적인 방안인데 한국은 남북 관계 우선을 내세워 대북 제재망을 허물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가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북을 막은 것도 표면상으로는 중국의 비협조를 거론했지만 속으로는 문 정부의 '막무가내 북한행(行)'을 경고한 것으로도 봐야 한다.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는 한국의 남북 경협 계획이 "미국을 분노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고 했다.

더욱 '위험'한 것은 미국의 제동이 일부 한국의 좌파·중도 성향 사람들에게서 '한국이 북한을 좀 도와주겠다는데 미국이 일일이 간섭하고 제동을 걸고 하는 것은 너무 하는 것 아닌가?'라는 반응을 불러오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반응을 역이용해 '반미 감정'을 유발하는 반미 세력이 있다. 정부도 여기에 편승하는 측면도 있다. 지금 한국 국민 사이에는 북한이 지난해 핵실험하고 미사일 발사하고 할 때 느꼈던 불안감, 전쟁 위기의식은 많이 엷어지고 있다. '북한이 설마 한국을 향해 핵을 쏘랴'는 막연한 동포 의식(?)도 작용하고 있다.
 
·미 간의 이런 물밑 충돌은 어디까지 이어질 것인가. 문 대통령의 남북 지상(至上)주의, 대북 지원 우선주의, 대북 저자세 외교·국방이 지속된다면 또 정부 내 친북 인사들의 등등한 기세가 계속된다면 이것은 미국과의 거리 격차로 이어질 것이다. 북한의 이간질도 만만치 않다. 김정은은 미국 주도의 대북 제재를 '강도(强盜)적 제재 봉쇄'라고 규정했고, 북 매체들은 "외세의 눈치를 보며 구태의연한 제재 압박 놀음에 매달린다면 북·남 관계의 진정한 개선은 기대할 수 없다"고 맹비난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싱가포르 회담 이후 북한 편(便)으로 돌아선 지 오래다. 오는 북한의 9·9절에 중국 시진핑이 북한을 방문하면 그것은 미국과 패권 경쟁에서 북한을 그들 편에 세우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러시아로서도 그 패권 다툼에서 미국을 견제하는 편에 설 것이 분명하다.

트럼프는 조만간 한국이 미국 편에 설 것인가, 북한 편에 설 것인가를 문 정부에 단도직입으로 물을 것이다. 트럼프는 '기브 앤드 테이크'의 전사(戰士)다. 그는 또 편 가르기의 명수다. 11월 중간선거에서도 그는 화해·통합·융화의 전술보다 이쪽 편이냐 저쪽 편이냐로 승부하고 있다. 그가 11월 선거에서 이겨 재선의 기틀을 마련한다면 한·미 관계는 트럼프의 '장삿속' 계산에 따라 봉합이 되느냐, 끝내 균열로 갈 것이냐가 결정 날 것이다.

결국 아시아는 미국 대(對) 중국·러시아가 겨루는 신(新)냉전시대에 돌입하게 되고, 한반도는 그 냉전 구도의 핵심적 뇌관으로 자리하게 될 운명이다. 우리가 지정학적 여건이나 국력으로 보아 패권의 주도권을 쥘 처지가 아니라면 어느 편에 서느냐가 생사의 갈림길이 될 수 있다. 국제정치는 곧 편 가르기 게임이고, 안보는 그 보답이다. 그 게임에서 중간은 없다. 이런 엄중한 냉전의 길목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과연 어느 진영의 깃발 아래 설 것인가?
 

 

조선일보 A34면
?

  1. 미국 편에 설 것인가, 북한 편에 설 것인가?

    미국 편에 설 것인가, 북한 편에 설 것인가? 조선일보 (2018.08.28.) 김대중 고문 트럼프는 '편 가르기'의 명수… 文 대통령의 對北 저자세에 대해 조만간 단도직입적으로 물을 것 '미국 對 중국·러시아'의 구도인 新냉전의 아시...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570 file
    Read More
  2. No Image

    문재인은 공산주의자다

    문재인은 공산주의자다 [全文] “문재인은 공산주의자” (서울중앙지법, 결심공판) 발언으로 징역 1년 6개월 구형받은 고영주 최후진술 ............................................ 고영주 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 최후진술 전문(全文) 먼저 정...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691
    Read More
  3. No Image

    칼빈주의와 선교신학

    칼빈주의와 선교신학 김철홍 교수(장신대) A. 들어가는 말 칼빈주의(Calvinism)를 통한 선교신학(Missiology)은 가능한가?1) 이 질문은 이때까지 조직신학의 전유물(專有物)처럼 여겨져 온 칼빈주의를 선교신학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재분석 할 수 있도록 인...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1 Views1093
    Read More
  4. No Image

    미투운동이 교회에 미칠 영향 5가지

    미투운동이 교회에 미칠 영향 5가지 <크리스천투데이>(2018.08.22) 게재 글 옮김 미국 남침례회 교회성장연구소 라이프웨이의 톰 레이너 박사가 최근 자신의 블로그에 '#미투 운동이 교회에 끼칠 영향 5가지'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다. 다음은 그 주...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545
    Read More
  5. No Image

    예배, 예식 관련 용어 개선

    예배, 예식 관련 용어 개선 예배의 변화와 갱신을 연구해 온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한국교회발전연구원은 최근 '한국교회 잘못된 예배용어, 이것만은 고치자'라는 주제로 연구발표회를 가진 바 있다. 아래는 예배, 예식과 관련된 용어들로 적절한 것을...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966
    Read More
  6. No Image

    장신대 총장의 동성애 인권화 논리

    장신대 총장의 동성애 인권화 논리 “장신대 임성빈 총장 서신, 사실상 동성애 인권화 논리” <크리스천투데이> 기사와 성명 전문 김진영 기자 (2018.08.20.) 샬롬나비, 논평… “PCUSA 전철 밟지 말아야” 샬롬을 꿈꾸는 나비행동(...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802
    Read More
  7. No Image

    칼 매킨타이어, 근본주의 대명사

    칼 매킨타이어, 근본주의 대명사 20세기 세계 전투적 기독교 근본주의의 대명사 [20세기 세계 기독교를 만든 사람들④] 칼 매킨타이어 - 분리주의자·국제 투사·집한파 <뉴스앤조이> 이재근 (2018.08.14.) 20세기 개신교 역사를 대표하는 중요한 ...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132
    Read More
  8. No Image

    송재근 목사의 방언에 관한 설교를 듣고

    송재근 목사의 방언에 관한 설교를 듣고 방언은 외국어입니다. 사도행전2장이나 고린도전서14장 같은 글롯사(방언)입니다. 고전 12장 7절은 은사는 공동의 유익이며 13장 10절 온전한 것이 오면 부분적으로 하던 것은 폐기됩니다. 14장 4절은 방언은 자기 덕을...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998
    Read More
  9. No Image

    문익환 목사의 주장에 관하여/ 공헌배

    제목: 문익환 목사의 주장에 관하여 문재인 대통령은 문씨다. 그런데 문익환 목사도 문씨다. 두 분 다 문씨다. 두 사람의 본(本)은 같을까? 그리고 영화배우 문성근씨도 문씨다. 그래서 문성근씨가 문재인 후보의 선거운동을 해 준 것일까? 문익환은 1976년부...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5807
    Read More
  10. No Image

    최근의 복음주의 신학동향

    최근의 복음주의 신학동향 박용규 박사(총신대학교 교회사) 들어가면서 20세기 초 현대주의대 근본주의 논쟁 후 영향력을 상실했던 복음주의 신학이 1960년대부터 생명력을 회복하기 시작하였다. 복음주의 신학이 회복되는 일련의 과정은 복음주의 운동과 상관...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28
    Read More
  11. 항왜 1만 명

    항왜 1만 명 임진왜란은 패한 전쟁인가? 이긴 전쟁인가? 아니면 누구도 이기지도 패하지도 않은 전쟁인가? 아마도 나와 같은 50대 이후의 사람들은 조선이 패한 전쟁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요즘에 역사를 배우는 세대들은 승리한 전쟁으로 배운다고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872 file
    Read More
  12. No Image

    소통 5 단계

    소통 5 단계 미국의 심리학자요 영성상담가인 존 포웰(John Powell, 예수회 소속 신부)은 소통의 다섯 단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1단계(Cliche)는 상투적 인사 또는 표현의 단계이다. 형식적 인사를 주고받는 입의 대화다. 2단계(Reporting)는 객관적인 정...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55
    Read More
  13. 인간의 전적 타락

    인간의 전적 타락 ▲ 이승구 교수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도르트회의는 1618년~1619년에 네덜란드의 작은 도시인 도르트레흐트(Dordrecht) 시에서 열렸던 17세기의 국제적 ‘교회 회의’(council)였다. 이 회의에서 결정문(Canons of Dordt...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154 file
    Read More
  14. No Image

    창조 연대 문제, 여전히 열려진 점진적 논제

    창조 연대 문제, 여전히 열려진 점진적 논제 조덕영 박사 지금까지 내재의 학문인 과학을 가지고 초월의 창조 문제를 다루는 것이 얼마나 미숙하고 위험한 일인지를 통해 창조 연대 논쟁의 신학적 문제와 딜레마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소망의 이유를 묻는 자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569
    Read More
  15. No Image

    백영희 목사와 예장 고신파

    백영희 목사와 예장 고신파 (백영희의 이야기, 참고자료), 개혁사 제공 1.고신과 분리되는 주요 사안들 (송상석 정치학 강의) 1953년 봄학기 정치학 강의는 송상석목사님이 맡고 있었습니다. 세상 정치나 법을 잘 안다고 성경법을 가르치는 교회 정치를 맡긴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15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