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없음-2.jpg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사랑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보다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시기(Envy)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가장 은밀히 자라나는 감정이다. 처음에는 미세한 불편함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의 이름이 칭찬받는 자리에서 심장이 미묘하게 떨리고, 친구의 성공 소식이 들려올 때 어딘가 모르게 목이 마른 듯한 느낌이 든다.

 

시기의 감정은 불길처럼 타오르지는 않는다. 조용히 영혼의 가장 깊은 곳을 스며들며 마음을 말라가게 만든다.

 

성경은 이 시기의 독에서 벗어나는 길을 제시한다. 그것은 단순한 감정의 억제가 아니라 영혼이 새롭게 세상을 바라보는 법을 배우는 일이다. 하나님이 주신 사랑과 감사의 시선으로 다른 사람과 자신을 다시 보는 것이다.

 

시기의 독은 대부분 말에서 시작된다. 야고보는 혀의 위험을 경고하면서 혀를 불의의 세계라고 불렀다. 그는 교회 안의 미숙한 선생들이 진리를 옹호한다는 명목으로 다른 교사의 가르침을 헐뜯는 모습을 보았다.

 

그러나 그 말의 근저에는 독한 시기와 다툼”(3:14)이 자리하고 있었다. 시기는 이처럼, 혀의 끝에서 드러난다. 어떤 사람의 재능이 불편해질 때 우리는 그 사람에 대한 말을 시작한다. 처음에는 염려하는 척, 또는 객관적인 비평인 척하지만 그 말은 이내 한담(gossip)이 되고, 험담이 되고, 결국 중상이라는 독화살로 바뀐다.

 

잠언은 남의 말을 좋아하는 자의 말은 별식과 같아서 뱃속 깊은 데로 내려간다”(26:22)고 말한다. 가벼운 말의 쾌락은 그만큼 깊은 상처를 남긴다.

 

그러므로 시기의 첫 문턱은 입이다. 한담을 멀리하는 것은 시기의 길로 들어서지 않는 첫 번째 실천이다. 칭찬이 아닌 말이라면 시작하지 말아야 한다. 그 자리에서 누군가의 약점을 즐기며 이야기하는 순간, 시기는 이미 내 마음의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다.

 

시기를 멀리하는 사람은 세상을 보는 관점을 바꾼다. 시기하는 사람은 언제나 ()의 총량이 정해져 있다고 믿는다. 다른 사람이 영광을 받으면 내가 받을 몫이 줄어든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성경은 이 생각을 근본적으로 부정한다. 하나님은 선의 근원이시며, 그분의 선은 한정되지 않은 샘이다. 어거스틴은 영적인 선은 나누어도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나눌수록 더 풍성해진다고 말했다. 명예, 지식, 사랑, 이 모든 것은 하나님에게서 끝없이 흘러나오는 빛이다. 누군가가 칭찬받는다고 내가 잃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오히려 그 칭찬이 내 안의 가능성을 깨운다면, 그것은 나에게 흘러온 또 하나의 선물이다.

 

하나님은 무한한 빛을 공평하게 나누는 태양처럼 각 사람에게 다른 양의 빛을 비추신다. 이 빛은 비교의 대상이 아니라 조화의 선율을 이루기 위한 차이이다. 동료의 빛을 질투하기보다 그 빛을 기뻐하는 순간, 시기는 힘을 잃는다.

 

시기는 언제나 눈이 바깥을 향할 때 시작된다. 우리는 타인의 재능을 보며 불편해하고, 그의 열매를 보며 내 땅의 메마름을 탓한다.

 

그러나 성경은 눈을 자기 안으로 돌리라고 한다. “각 사람에게는 하나님의 은사가 다르다”(고전 12:4). 달란트의 비유에서 주인은 다섯 달란트, 두 달란트, 한 달란트를 각각에게 맡겼다. 그러나 주인의 칭찬은 달란트의 양이 아니라 충성의 태도에 따라 주어졌다.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25:21). 다섯 달란트를 남긴 자에게도, 두 달란트를 남긴 자에게도 동일하게 품삵이 주어졌다.

 

하나님은 누구에게나 다른 몫의 은사를 주셨다. 우리의 과제는 남의 몫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내게 맡겨진 달란트를 찾아 그것을 빛나게 하는 것이다. 시기의 불길은 비교에서 시작되지만, 감사는 그 불길을 끈다. 하나님이 주신 내 몫을 기쁨으로 받아들이는 순간, 시기는 더 이상 나를 흔들지 못한다.

 

시기를 이기는 또 하나의 길은 동료 의식을 회복하는 것이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 교회의 분쟁을 향해 이렇게 말했다. “나는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되, 자라게 하신 이는 하나님이시라”(고전 3:6). 그는 자신과 아볼로를 경쟁자가 아닌 하나님의 밭에서 함께 일하는 동역자로 보았다. 교회는 몸이고, 성도는 각기 다른 지체이다(고전 12).

 

손이 눈을 시기할 이유가 없고, 눈이 발을 무시할 이유도 없다. 모든 지체는 서로에게 필요하다. 동료의 탁월함은 나의 부족함을 보완해 주며, 그의 성공은 공동체 전체의 승리이다. 시기는 그는 나보다 낫다에서 시작되지만, 동역자는 그가 잘될수록 우리가 함께 산다고 말한다.

 

이 마음은 교회뿐 아니라 삶의 모든 관계에도 적용된다. 가정에서도, 일터에서도, 사회에서도 누군가의 탁월함이 나의 자리를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속한 전체를 풍요롭게 만드는 자원임을 깨닫는 순간, 시기는 물러가고 감사와 협력의 기쁨이 자란다.

 

그러나 시기를 완전히 이길 수 있는 힘은 사랑밖에 없다. 사랑은 단순한 감정의 따뜻함이 아니라 영혼을 정화시키는 불이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13장에서 사랑은 시기하지 아니하며,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한다고 말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사랑이란 친구가 잘될 때 기뻐하고, 넘어질 때 함께 아파하는 것이라고 했다. 사랑하는 사람의 기쁨은 내 기쁨이 되고, 그의 눈물은 내 눈물이 된다. 이 사랑이야말로 시기를 녹이는 불이다.

 

라이벌을 사랑할 수 있을까? 그것은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랑을 힘입는다면 가능하다. 그 사랑은 죄인을 용서하고, 원수를 위하여 생명을 내어준 사랑이다. 그 사랑이 우리 안에 흘러들어올 때 우리는 비로소 라이벌의 성공을 축복할 수 있게 된다.

 

바울이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12:15)고 한 말씀은 그리스도인이 도달해야 할 사랑의 정상이다. 사랑은 비교의 언어를 무너뜨린다. 사랑은 너와 나는 다르다가 아니라 너와 나는 함께이다라고 말한다. 사랑은 시기의 자리에서 사람을 일으켜 세워 하나님의 시선으로 세상을 다시 보게 한다.

 

시기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그 감정을 그대로 품으면 영혼은 서서히 메말라간다. 그러나 하나님이 주신 사랑과 감사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 그 메마른 땅에서도 꽃이 핀다.

 

시기에서 벗어나는 길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입을 지키는 일, 감사로 시선을 바꾸는 일, 그리고 사랑으로 관계를 다시 세우는 일이다. 이 세 가지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감사는 말을 정화시키고, 사랑은 감사를 완성한다. 그 길의 끝에는 자유가 있다.

 

단테는 연옥의 시인들을 지나며 천사의 노랫소리를 들었다. 그 노래는 이렇게 속삭였다. “긍휼히 여기는 자는 복이 있고, 시기를 이긴 자는 행복하다.” 시기는 결국 우리 안의 작은 지옥이지만, 그 지옥을 뚫고 나올 때 그 자리에 천국이 열린다. 그리고 그 천국의 첫 문은 언제나 사랑과 감사가 있는 마음에서 열린다.

 

최덕성, 브니엘신학교 총장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셰익스피어의 비극 『리어 왕(King Lear)』은 인간의 분노가 어떻게 영혼의 심연을 흔들고, 사랑과 진리를 삼켜버리는지를 보여주는 장엄한 서사시와도 같다. 그 안에서 분노는 단지 한 인간의 격정이 아니라, 신...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2 newfile
    Read More
  2.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 사랑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보다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시기(Envy)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가장 은밀히 자라나는 감정이다. 처음에는 미세한 불편함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의 이름이 칭찬받는 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 newfile
    Read More
  3.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 10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시기에 대한 경고성경은 시기를 단순한 감정의 사안으로 다루지 않는다. 영혼의 균열, 곧 사랑이 부재한 자리에서 피어나는 내면의 어둠으로 본다. 사도 바울과 베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 newfile
    Read More
  4.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어느날 여우는 나뭇가지에 잘 익은 포도가 매달려 있는 것을 침을 삼켰다. 포도를 따려고 뛰어올랐으나 손에 닿지 않앗다. “조금 더 높이 오르면 포도를 딸 수 있을 거야” 하고 시도...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 newfile
    Read More
  5. 신데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사진=영화 '신데렐라' 스틸   신델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신데렐라』(Cinderella)는 부당한 학대와 시련 속에서도 주인공 신데렐라가 고난을 이겨내고 초자연적인 원조자의 도움을 받아 결국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 newfile
    Read More
  6.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윌리암 셰익스피어의 『오셀로』(Othello)는 인간의 마음속에 잠들어 있는 시기가 어떻게 사랑을 왜곡시키고, 진실을 파괴하며, 결국 자기 자신을 삼켜버리는가를...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 newfile
    Read More
  7.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6)   인간의 마음속에는 모방의 불꽃이 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서로를 비추며 배우고, 닮으려 하며,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을 형성한다. 아이는 부모의 말투를 따라 하고, 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 newfile
    Read More
  8.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시기’(猜忌, Envy)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미워함이다.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타인’에게 초점을 맞춰서 “시기가 갖지 못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 newfile
    Read More
  9.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2)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는 이탤리 피렌체의 하늘 아래 태어나, 인간의 영혼이 하늘과 지옥 사이를 오가던 중세 말의 시인이다. 그는 단순한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 newfile
    Read More
  10.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2-1)       영화 〈아마데우스〉(Amadeus, 1984)는 천재 음악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그를 질투한 궁정 작곡가 안토니오 살리에리의 이야기이다. ‘시기(嫉忌)’라는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 newfile
    Read More
  11.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6)     인간 영혼의 뜰에는 뱀처럼 은밀하고 교활한 손님이 자리 잡고 있다. 그 이름은 교만이다. 교만은 스스로를 높이려는 끊임없는 욕망이며, 눈을 가린 채 낡은 허상...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 newfile
    Read More
  12. 교만의 어두운 계단: 영적 우월감

        교만의 어두운 계단: 우월감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5)     인간의 영혼은 깎아지른 절벽과 같아서 늘 추락의 위험을 안고 산다. 그 추락을 유혹하는 가장 달콤하고도 단단한 땅이 바로 교만이다. 권력의 비탈에서, 명예의 높은 봉우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6 newfile
    Read More
  13.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교만은 자기기만의 덫이다. 교만은 단순한 자부심 과잉이 아니다. 인간 영혼의 가장 깊은 곳에 드리워진 그림자이다. 스스로를 속이고 타인과의 연결을 끊으며, 모든 선한 노력의 끝자락에서 다시 고개를 드는 뿌리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 newfile
    Read More
  14.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3)   교만은 단순한 자아도취나 오만한 태도가 아니다. 그것은 존재의 가장 깊은 심연에서 터져 나오는 비극적인 선언이며, 피조물로서의 숙명을 거부하는 장엄하고도 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 newfile
    Read More
  15. 영혼의 그림자 드리운 왕좌: 자기 높이기

        영혼의 그림자 드리운 왕좌: 자기 높이기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2)   인간의 마음속에는 웅장한 왕좌가 하나 있다. 본래 그 자리는 만물의 근원이시며 창조주이신 하나님께 바쳐져야 할 지성소였으나, 타락 이후 그림자가 드리워진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 new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