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손봉호의 전병욱 보기

 

<뉴스앤조이>  2013. 옮김

 

 

 

무거운 책임감

 

목회자의 책임은 무겁고 무섭다. 목회자는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의미, 가치관, 행동 방식, 직업 선택, 자녀 교육, 심지어 영원한 미래에까지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잘못 가르치고 그릇 인도하면 영혼들이 파멸에까지 이를 수 있다.

 

"누구든지 나를 믿는 이 소자 중 하나를 실족케 하면 연자 맷돌을 그 목에 달리우고 깊은 바다에 빠뜨리는 것이 나으니라(마 18:6)."

 

 

 

무서운 책임이다. 교육자·책·언론·사회·문화 등도 중요하지만 그들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 비판적인 거리를 두기 때문에 그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에게 성경은 하나님 말씀이고 그 성경의 권위를 가지고 가르친다고 믿을 때 목회자의 가르침과 삶이 미치는 영향은 막대할 수밖에 없다. 세계 어느 석학의 어떤 확실한 이론보다도 더 큰 권위를 목회자가 행사할 수 있다.

이렇게 큰 권위를 행사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 책임을 질 각오가 없거나 책임을 질 능력이 없으면 빨리 물러나야 한다. 능력이 있어야 천국 백성이 되는 것도 아니고 하나님은 능력 있는 사람을 더욱 사랑하시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지도자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자신의 문제가 아니라 수많은 피지도자들의 영적인 이익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경건한 설교자 스펄전(C. H. Spurgeon) 목사는 그가 책임졌던 신학교에서 두 종류의 학생에게는 입학을 허가하지 않았다 한다. 매우 유능하여 모든 일에 성공하기 때문에 목회에도 성공할 것이라는 자신감을 가진 학생과 하나님이 자기를 목사로 만들려고 모든 일에 실패하게 하셨다고 믿는 지원자는 거부했다. 후자는 목회를 해도 실패할 것이고 전자는 너무 교만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스펄전 목사는 전자는 좀 아깝더라 했다. 목회자는 무능할 권리가 없고 자기 발전을 게을리 해서도 안 된다.

 

2. 철저한 욕망 절제

 

누구든지 능력이 있고 권위와 영향력이 있으면 자신을 위하여 그것을 이용할 유혹을 받는다. 그런데 목회자는 다른 어떤 기능인보다 더 이런 유혹을 이길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정치인·공직자·교육자 등 다른 분야 종사자에게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사람들은 다른 어느 분야의 책임자보다 목회자가 그런 이기심을 더 잘 극복할 것을 요구한다. 고등 종교는 이기심과 세속적 가치의 극복을 그 기본으로 삼고 있다. 예수님은 교인들의 영적인 이익보다 자신의 이익에 더 관심을 쓰는 지도자를 '도적' 혹은 '삯꾼'이라 불렀다(요 10:1,12).

 

한국교회에는 후손에게 땅 한 평, 돈 한 푼, 집 한 칸도 남기지 않은 한경직 목사 같은 성자도 계셨지만 엄청나게 큰 특권과 부를 가진 대형 교회를 자녀에게 세습한 사람들도 있다. 누가 더 하나님나라에 공헌했으며 누가 더 교인들과 사회의 존경을 받는가는 불문가지다. 모든 목회자는 자신이 어느 편에 서 있는가를 점검하고 어느 편에 설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자기가 '도적' 혹은 '삯꾼'임을 인정하는 목회자는 많지 않다. 보통 인간은 다 '제 잘난 맛'으로 산다. 다만 영적으로 충분히 성숙한 목회자만이 스스로를 좋은 목자가 아니라 도적 혹은 삯꾼이라 생각하고 부끄러워한다. 겸손한 사람은 자신의 교만을 걱정하고 교만한 사람은 자신의 겸손을 과시하고 우쭐한다. 겸손해야 회개와 개선이 가능하고 하나님의 사랑과 사람의 존경을 받는다. 루터는 수도원에서 하루에도 수십 번 고해성사를 거듭했다 한다. 자신을 도마 위에 얹어 놓고 난도질을 해서 모든 인간적인 욕망을 가려내고 이를 악물고 이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기도와 설교 준비는 자기반성과 자기비판의 가장 좋은 기회다. 기도는 지극히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 자신의 벌거벗은 모습을 드러내는 시간이고, 설교의 일차 대상은 자기 자신이기 때문이다.

 

3. 자존심

 

성직자는 한편으로는 겸손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엄청난 자존심을 가져야 한다. 바울은 합법적으로 사례를 받을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차라리 죽을지언정(고전 9:15)" 그런 것 달라고 요구하지 않겠다 하였고 오히려 그것을 '자랑'하였다. 성직자란 매우 고귀한 직분이다. 그에 합당한 자존심을 가진 사람은 돈, 명예, 권력 같은 세속적 가치를 위하여 천덕스럽고 비겁하게 행동할 수 없다. 비겁한 사람이 존경을 받을 수 없고 영적 권위를 행사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모든 비도덕적 행위는 직접 혹은 간접으로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고, 해를 당하는 사람은 대부분 약한 사람들이다. 따라서 비도적적 행위는 약한 사람에게 해를 가하면서 이익을 챙기는 행위고, 약한 사람을 등치는 행위는 비겁하다. 가난한 성도들이 바친 헌금을 자신의 편이나 명예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 연약한 여자를 성적으로 유린하는 것, 세금을 바치지 않음으로 피땀 흘려 일하는 노동자들의 부담을 가중하는 것은 모두 비겁한 행위다. 비도덕적이고 불법적인 행위로 이익을 챙기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합법적인 욕망이라도 절제할 수 있어야 교인들의 영혼을 움직일 수 있는 진정한 목회자가 될 수 있다. 하급 욕망을 절제할 수 없는 사람은 결코 지도자가 될 수 없고 되어서도 안 된다.

 

하나님의 종이란 명예를 유지하려면 항상 떳떳하고 공명정대하여 누구에게도 부끄럽지 않아야 하고, 약한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 뿐 아니라 "공의를 구하며 학대받는 자를 도와주며 고아를 위하여 신원하며 과부를 위하여 변호"할 수 있어야 한다(사 1:17).

 

4. 비판의 수용

 

피지도자의 약점과 실수는 본인에게만 문제가 되겠지만 지도자의 잘못은 수많은 사람에게 해를 끼친다. 영적 지도자의 잘못은 더더욱 심각하다. 저지른 잘못에 대해서는 반드시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하고 저지를 수 있는 잘못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

그런데 아무리 자기반성이 철저하고 유혹과의 싸움이 처절하더라도 자신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자신의 장점도 다 모르지만 특히 자신의 약점을 아는 것은 매우 어렵다. 모든 인간은 부족하고 실수한다. 그런데 목회자들 가운데는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한다는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의 권위를 과대 확장하는 경우가 없지 않다. 그 권위에 도전하면 큰 벌을 받는다고 협박함으로 어떤 비판이나 이의제기도 불가능하게 하여 가망 없는 독재자가 될 수 있다. 사교 교주나 이단들이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수법이지만 이단이 아닌 목회자들 가운데도 의도적으로 그런 오해를 교인들에게 심는다. 역사적으로 모든 독재자가 거의 예외 없이 망했다는 사실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지혜로운 지도자는 이 사실을 숙지하고 비판받을 가능성을 열어 둘 것이다. "나를 선하다 하는 자는 나의 적이요, 나를 악하다 하는 자는 나의 스승이다(道吾善者 是吾賊 道吾惡者 是吾師)"란 경구는 모든 지도자가 잊지 말아야 할 교훈이며 모든 인간은 죄인이란 사실을 가르치는 영적 지도자는 더더욱 그래야 한다. 아첨을 좋아하는 지도자는 반드시 실패하게 되어 있고 목회자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아무 감시와 견제도 받지 않고도 깨끗하고 바르게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고 교만이다. 비판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견제와 감시도 받도록 장치를 만들어 놓는 것이 자신을 지키는 지혜로운 방법이다.

 

교회는 원칙적으로 민주적일 이유는 없다. 교회는 다수의 결정이 아니라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운영되고,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도 아니다. 목회자는 성경의 분명한 가르침과 기본교리, 국가의 법, 윤리적 원칙은 민주적 결정이라도 다른 의견과 타협하거나 양보하면 안 된다. 그러나 그 외의 모든 것은 민주적 방법으로 결정하는 것이 지혜롭다. 모든 인간은 한계를 가지고 있고 목회자가 모든 것을 다 잘 아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불필요한 권위를 행사하다가 오히려 꼭 필요한 권위 행사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맺으며,

 

나는 신학 공부를 하고도 안수를 못 받은 것은 목회자의 책임이 너무 무서워서다. 그리고 어릴 때 내가 만난 목사님들은 하나같이 그 무서운 책임을 존경스럽게 감당하셨는데 나는 도저히 그분들처럼 될 수 없다는 것을 절감했다. 위에 쓴 고언은 주로 그분들의 사역과 삶을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그분들의 고난과 헌신으로 오늘 한국교회는 이만큼 성장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성공이 한국교회 실패의 원인이 되고 말았다. 성공했기 때문에 세속적인 권한과 이익을 누릴 수 있게 되었고 이런 것이 탐나서 목회를 하려는 '삯꾼'들이 많이 생겨 났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은 하루빨리 목회를 그만두든지 철저히 회개해서 참목자들이 되기 바란다.

 

손봉호 / 고신대 석좌교수,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자문위원장

 

 

?

  1. 방언의 은사, 오늘날에도 유효한가?

    방언의 은사, 오늘날에도 유효한가? 존 맥아더 목사 성경적인 방언의 은사   방언은 성경의 세책인 마가복음(16:17), 사도행전(2, 10, 19장), 고린도전서(12-14장)에 언급되어 있다. 이 책의 8장에서(무질서한 은사주의, 부흥과개혁사) 우리는 사도행전의 본...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1830 file
    Read More
  2. 성전환자 여군 복무 신청에 대하여

    성전환자 여군 복무 신청에 대하여   나는 대한민국 육군 군목으로 군복무를 했다. 매주 최전방 철책선에 올라가서 병사들 커피 위문하고 예배 인도하던 일이 주마등처럼 스친다. 요즘같이 추운 겨울이면 휴전선을 지키느라 고생하는 병사들을 위한 기도가 절...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731 file
    Read More
  3. 고신교회가 잃어버린 것들: 회개와 개혁

    고신교회가 잃어버린 것들: 회개와 개혁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 회개와 개혁   고신교회의 출발과 존재 의의는 한국교회를 위한 회개와 개혁이었다. 우리 선배들은 회개와 개혁운동을 진리운동이라 불렀다. 그들은 이를 위한 방편으로 고려신학교...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637 file
    Read More
  4. 고신영성의 특징과 개혁주의 신학적 조명과 평가

    고신영성의 특징과 개혁주의 신학적 조명과 평가 김순성 (고려신학대학원, 실천신학) I. 들어가는 글   금년은 고려신학대학원 개교 7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8.15 해방직후 1946년 개교된 고려신학교 설립은 한국 교회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 사건이...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8508 file
    Read More
  5. 샬롬나비 시국선언서

    샬롬나비 시국선언서 간추린 요점 1. 문재인 정권이 촛불 시위에 힘입어 정권을 잡은 후 ‘아무도 가보지 못한 국가’라는 종북주의적 국가주의로 나가자 자유주의 좌파들은 점차 문재인 정권의 정국 운영에 대하여 회의를 가지기 시작했다. 2. 자유주의적 좌파...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625 file
    Read More
  6. No Image

    네이버와 다음

    네이버와 다음 1. 저는 비록 치우치는 인간이지만 분별하고 균형을 잡으려고 노력을 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포털에 접속할 때 네이버와 다음에 함께 접속하고 어떤 사안에 대해 굳이 보수 신문과 진보 신문을 골고루 살펴봅니다. 2. 그렇다고 제가 균형을 잡고...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704
    Read More
  7. No Image

    그리스도는 의의 요구를 만족시켰다

    그리스도는 의의 요구를 만족시켰다 정이철 목사의 주장 신자는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로 구원 받습니다. 우리를 의롭게 한 그리스도의 의는 성육신하실 때부터 그리스도 안에 본질로서 존재했던 의입니다. 그리스도는 처음부터 하나님의 '의로운 종'으로 오셨...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532
    Read More
  8. No Image

    한복협 정치성명서

    조선일보, 2020.1.10. 기사 [文정권의 '민주주의 파괴'] 목사 250여명 한복협, 오늘 발표 개신교 목회자 단체인 한국복음주의협의회(한복협·회장 이정익 신촌성결교회 원로목사)가 10일 “현 정부는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자유민주주의의 기본 질서와 중심 가...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594
    Read More
  9. No Image

    이영훈의 ‘반일종족주의’를 읽고

    이영훈의 ‘반일종족주의’를 읽고 Han Yi(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페이스북 글 이영훈의 ‘반일종족주의’를 읽을 젊은이들에게 주는 독서 조언 1. 이영훈 교수님과 그의 지인들이 최근 펴낸 <반일 종족주의 - 대한민국 위기의 근원>는 예감처럼 적대적인 한...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913
    Read More
  10. No Image

    관제민족주의의 함정

    관제민족주의의 함정 홍세화 장발장은행장·‘소박한 자유인’ 대표 ‘투키디데스의 함정’이 아니라 관제 민족주의의 함정이다. 가속페달만 있을 뿐 브레이크가 없는 관제 민족주의의 함정 속으로 미친 듯 뛰어들고 있다. 도쿄를 여행금지구역으로 정해야 한다고 ...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841
    Read More
  11. No Image

    한 스타 목사의 실족에서 배우다

    한 스타 목사의 실족에서 배우다 http://www.newsm.com/news/articleView.html?idxno=22474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938
    Read More
  12. No Image

    조국 교수에 대한 반론 / 이영훈

    조국 교수에 대한 반론(2019년 8월 6일) 이영훈 전 청와대 민정수석인 조국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는 어제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저와 동료 연구자들이 출간한 『반일 종족주의』라는 책을 대한민국 민주공화국의 정통성과 헌법정신을 부정하고 일본정부...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668
    Read More
  13. 남북경협 '평화경제' 되면 일본 단숨에 따라잡는다.

    남북경협 '평화경제' 되면 일본 단숨에 따라잡는다. 文대통령 "日, 우릴 막을 수 없어… 경제강국으로 가는 자극제될 것" 문재인 대통령은 5일 "남북 간 경제 협력으로 평화 경제가 실현된다면 우리는 단숨에 일본의 우위를 따라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881 file
    Read More
  14. No Image

    Dr Hana Kim, Lead Pastor of Myungsung Church

    Revd Dr Hana Kim, Lead Pastor of Myungsung Church, South Korea The Revd Dr Hana Kim had an upbringing that truly reflects the global nature of his current ministry at Myungsung Church, the largest Presbyterian church in the world. Born and r...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9747
    Read More
  15. No Image

    손봉호 교수ㅡ “동성애 반대, 승산 없다”

    손봉호 교수ㅡ “동성애 반대, 승산 없다” “이미 전세는 기울어졌다... 여성 목사 안수처럼 <파워뉴스> (2019.7.22.) 손봉호 서울대 명예교수는 한국의 보수교인들의 동성애에 대한 전쟁은 승산이 별로 없다. 이미 전세는 기울어졌다.“며 ”여성 안수와 같이 될 ...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98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