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기독개혁신보


새 관점은 전가 교리를 대신한다.



새관점(NPP)은 통상 목적격으로 해석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갈 2:16)를 “예수의 신실함으로”라고 소유격으로 해석한다. 이것은 헬라어의 소유격이 목적격적 소유격으로도, 속격적 소유격으로도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처음 루터가 목적격적 소유격으로 해석한 이래로 종교개혁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이라는 방식으로 해석을 해왔다. 그리고 그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에게 법정적으로 전가되어 우리를 의롭다고 간주하는 것으로 믿음을 해석했다.


여기서 ‘전가’는 말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충분한 구원의 공로로써 그리스도의 순종과 형벌적 대속을 우리의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물론 ‘그리스도와의 연합 교리’가 자리하고 있고 이는 칼빈 신학의 핵심 원리 중 하나다.


그런데 새관점은 이 부분을 “예수 그리스도의 신실함”이라고 해석한다. 아담이 실패한 것을 온전히 순종하고 형벌적 대속을 함으로써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본을 보였다는 것이다. 그리스도가 신실함으로 우리에게 본을 보였으니 우리도 그 길을 따라 신실히 행함으로써 구원 얻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성령의 연합케 하는 역사’가 전제되어 있다.


톰 라이트의 경우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롬 1:17)를 주해하면서 전자의 믿음을 그리스도의 신실함으로, 후자의 믿음을 신자의 신실함으로 해석한다. 즉 그의 ‘믿음’에는 ‘언약에 신실함’이라는 행위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즉 그리스도는 이전 세대에 모든 사람들이 실패했던 길을 신실하게 행하셨으므로 우리는 그 본을 따라 신실하게 삶으로 의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는 성령의 연합케 하는 역사가 전제되지만, 믿음은 언약적 신실함이므로 칭의 역시 이 언약에 신실한 행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는 열매와 더불어 그 결실을 거두는 미래적 칭의 개념을 더하게 된다.


물론 성령으로 연합한 시점에 칭의의 요소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톰 라이트의 믿음 이해에는 ‘신실함’이라는 개념이 들어 있다. 이렇게 되면 전통적으로 종교개혁의 신학인 믿음으로 의로워지는 ‘이신칭의’에 행위를 결부시키지 않는 것과는 달리, 그의 신학은 칭의와 성화를 구분하지 않던 시절, 즉 의화라고 불리던 종교개혁 이전 시기의 신학으로 회귀하게 된다.


새관점은 칭의 속에 성화의 요소로써 우리가 언약적 삶을 신실하게 사는 것과 그것을 가능케 하는 성령의 연합을 설정해 두고 있다. 대신에 종교개혁의 가장 중요한 신학적 개념 중 하나인 전가의 개념을 버리고 말았다. 그러나 종교개혁 신학이 ‘의인은 오직 믿음으로 산다’고 할 때, 여기에는 또 다른 신학적 장치들이 있다.


곧 믿음은 우리 구원의 효력인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의 공효, 곧 은혜를 받는 내적 방편이다. 그리고 이 내적 방편으로 외적 방편인 ‘은혜의 수단들’을 사용함으로써 이 공효들을 공급받고 선행이라는 열매를 맺는 구조로 설명했다. 선행은 우리의 행위나 결단이나 노력이 아니라 우리가 그리스도께 더 잘 붙어 있을 때, 곧 그리스도와 더 잘 연합할 때 비로소 우리에게 열매를 맺는 것으로 설명한다.


새관점의 언약적 신실함이라는 개념은 믿음이 결여하고 있는 행위를 믿음에 부여함으로써 믿음을 더 믿음 되게 한다고 말할지 모르지만, 성령의 연합이라는 전제에도 불구하고 기본적 구조가 예수의 신실함을 본받는 우리의 신실함이기 때문에 오히려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우리 편의 행위를 더 강조하게 되므로써 오히려 연합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또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성경이 오랫동안 인간의 부패에 대해 지적하고 이스라엘의 실패로 이 사실을 분명하게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믿음을 구원론적 문제가 아니라 교회론적 문제로 만듦으로써 인간의 부패를 간과하고 그리스도의 신실함을 따라 우리가 그것을 본받을 수 있다고 전제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미 지적한 대로 전가 교리가 철저하게 구원의 공효를 그리스도 안에만 둠으로써 그리스도와의 연합으로만 그 공효가 우리에게 흘러 들어오도록 한 구조와 그 장치들, 예컨대 은혜의 방편과 믿음 그리고 거기에 역사하시는 성령의 역사라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아주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보여줄 뿐 아니라 선행이라는 결실을 맺는다는 신학적 해석을 버리고 있다는 점이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전통적인 성경 해석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한 채 이 새관점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는 점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것은 신학이 현실과의 대화에서 시작되고 있다는 원인에서 찾을 수 있다. 곧 ‘이신칭의’를 오해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행함 없는 믿음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새관점이 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회의 ‘이신칭의’ 신학을 떠나 새관점이 제시하는 길로 갈아타기보다는 우리가 어떤 신학적 전통에 서 있는가를 명백하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

  1. 변태방언

    변태방언 페이스북에서 옮김, <바른믿음>, 저자가 누구인지 놓쳤음 (제목 입력 공간의 한계로 이 글의 제목에서 '김동수 교수'라고 호칭하지 못했음을 독자들께서 널리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바른믿음 편집자) 오늘 전개되는 현대 교회의 변태적인 거짓 방...
    Date2015.07.20 Bydschoiword Reply0 Views3479
    Read More
  2. No Image

    예배용어 개선 책

    예배 용어 개선책 아래 내용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교회협) 산하 한국교회발전연구원(원장:이양호 교수)가 지난해 6월 3일 기독교회관 709호 예배실에서 ‘한국교회 잘못된 예배용어, 이것만은 고치자!’를 주제로 개최한 제8차 연구발표회에서 김세광 교수(서...
    Date2015.07.19 Bydschoiword Reply0 Views2264
    Read More
  3. No Image

    박영돈 교수의 구원론

    박영돈 교수의 구원론 서론 개혁주의 교의학은 구원론에 이르러 그 절정에 도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삼위 하나님의 속성과 경륜과 은혜에 대한 계시는 인간을 구원하시는 그의 사역을 통하여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며, 구원론은 바로 이 계시의 결...
    Date2015.07.19 Bydschoiword Reply0 Views3291
    Read More
  4. 김세윤의 칭의론

    김세윤의 칭의론 새관점 학파와 옛관점 학파의 논쟁, 야곱 타우베스, 알랭 바디우, 조르조 아감벤과 같은 신학 밖에서의 사도바울 연구로 바울 연구는 마치 르네상스를 맞은 듯하다. 바로 그 중심에 ‘한국이 낳은 바울 신학의 대가’ 라는 수식이 아깝지 않은 ...
    Date2015.07.17 Bydschoiword Reply0 Views3285
    Read More
  5. No Image

    염병과 재난 그리고 하나님의 경고

    염병과 재난은 하나님이 사용하시는 경고의 언어 김영한 교수 <크리스천투데이> (2015.7.7.) 머리말 우리 사회가 지난 2003년에는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증후군)는 방역 대책을 신속히 함으로 잘 막아 내었으나, 올해 2015년에는 그보다 약한 바이러스인 메...
    Date2015.07.17 Bydschoiword Reply0 Views3239
    Read More
  6. No Image

    휫필드의 설교 특징

    조지 윗필드의 설교 특징 첫째, 순전한 복음만을 전했다. 이제까지 그처럼 청중들에게 알곡만을 전달한 설교자는 거의 없었다. 일단 설교하기 위해 강단에 서면 파티나 자기 주장, 개인적인 관심사나 사적인 업무에 대해서는 일절 말하지 않았다. 계속해서 죄...
    Date2015.07.17 Bydschoiword Reply0 Views3309
    Read More
  7. No Image

    로아드존스 목사

    로이드 존스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백금산 목사 이와같이 나는 로이드 존스를 읽으면서 그에게서 많은 것을 얻었다. 내가 그에게서 배운 것 중의 중요한 몇 가지는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목회자인 우리 모두가 로이드 존스에게...
    Date2015.07.17 Bydschoiword Reply0 Views3115
    Read More
  8. 류광수 목사 이단성 없음 재확인/ 한기총

    [ 한기총 이단검증특별위원회 보고서 전문 ] 제26-2차 임원회(2015년 2월 27일)에서 이단검증특별위원회(위원장 오관석 목사)를 설치한 이후 류광수 목사에 대해 검증한 결과를 보고합니다. 이단검증특별위원회의는 직전 대표회장 홍재철 목사 재임 시절 “류...
    Date2015.07.09 Bydschoiword Reply0 Views3869
    Read More
  9. 미국성공회, 동성애결혼 허용

    미국성공회, 동성애결혼 허용 주교회의 거친 후 대표의원회에서 압도적으로 가결 동성애자인 진 로빈슨 주교가 성품된 2003년 이래 12년여 만에 미국성공회가 결혼의 정의를 변경했다. ⓒ워싱턴국립대성당 미국성공회(The Episcopal Church, TEC)가 지난 화요일...
    Date2015.07.04 Bydschoiword Reply0 Views2923
    Read More
  10. No Image

    회개교리설교/ 김병훈

    회개에 대한 교리설교, 이렇게 한다 (김병훈, 합신 조직신학, 화평교회 담임) 회개 설교가 절실한 지금의 한국 교회 1884년에 선교사들에 의해 복음이 전하여 진 후 130년에 가까운 세월이 흘렀다. 복음의 교훈에 비추어볼 때 한국 교회는 어떠한 모습일까? ...
    Date2015.07.04 Bydschoiword Reply0 Views3791
    Read More
  11. No Image

    친일파 기독교 인사

    친일파 기독교 인사 [CBS TV보도부 나이영 기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는 개신교계 인사 51명이 포함됐다. 신사참배를 주도했던 장로교 홍택기 목사, 감리교 앙주삼 목사, 성결교 이명직 목사 등이 모두 이름을 올렸다. 장로교회는 1938년 2...
    Date2015.07.01 Bydschoiword Reply1 Views3612
    Read More
  12. No Image

    동성애/ 팀 켈러

    동성애/ 팀 켈러 목사 미국 뉴욕 맨하튼의 리디머장로교회(Redeemer Presbyterian Church) 티모시 켈러(Timothy Keller) 목사는 최근 리디머 교회의 싸이트인 리디머 리포트( Redeemer Report)에 동성애 문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표명했다. 기독교계의 탁월...
    Date2015.06.29 Bydschoiword Reply0 Views3348
    Read More
  13. 교회재정의 투명성

    교회재정의 투명성 (크리스천투데이, 2015.6.25. 기사) 한국기독교재정투명성협회(회장 황호찬 교수, 이하 한재협)는 27일 창립총회 후 ‘기독 단체의 재정 투명성 향상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을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개최했다. 미국복음주의재정책임협회(ECFA...
    Date2015.06.29 Bydschoiword Reply0 Views2857
    Read More
  14. 주기철 기념사업회 비판, 이덕주

    주기철 목사 복권 관련 ‘참된 고백 행위’ 보여야 이덕주 교수, 교회 분열과 기념사업 신앙고백적 행위 아니다 이옥연 기자 coollee@googood.com ▲ 감신대 이덕주 교수는 교회분열상의 모습을 회개하고 주기철 목사를 위한 기념사업을 벌이는 것을 삼가야 한다...
    Date2015.06.27 Bydschoiword Reply0 Views2381
    Read More
  15. No Image

    STAY on Facebook

    STAY on Facebook I read a lot of messages encouraging people to leave Facebook (and other social networks) these days and in partial answer to those calls, I wanted to outline 7 Reasons I believe Christians should STAY on Facebook. I hope th...
    Date2015.06.15 Bydschoiword Reply0 Views1243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