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녹색.jpg



교황청, '야훼' 사용 금지


로마가톨릭교회 교황청은 몇 해 전 ‘거룩한 네 글자’로 표현되는 하나님의 이름을 전례, 성가, 기도에서 사용하거나 발음하지 말라’는 교서를 발표했다. 하나님의 고유한 이름 ‘야훼’를 사용하지 말라고 했다. 한국천주교는 교황청의 지시에 따라  '하느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말자'는 취지로 ‘야훼’라는 단어를 쓰지 않는다.  

 

로마가톨릭교회가 '야훼'를 사용하지 않는 의도는 무엇일까? 아래는 사이버공간에서 발견한 조문호 기자의 글이다. 개신교회 신자들도 참고해 봄직한 내용이기에 옮겨 싣는다.


◆ 유일신 지칭 “불경스럽다”


‘야훼’는 구약성서에 표기된 유일신 이름이다. 고대 히브리어로 쓰인 표기를 로마자로 변환한 것이 YHWH(또는 YHVH, JHWH, JHVH)이고, 야훼는 이를 한국어로 옮긴 것이다. 문제는 고대 히브리 글자에 모음 표기가 없다는 점. 성서에 자음 표기만 남은데다 유대인들이 이 이름을 거룩하다 여겨 발음하지 않았기 때문에 YHWH의 발음은 잊혔다. 십계 중 ‘하느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부르지 말라’는 세번째 계명을 지키자는 취지였다. 이 때문에 현재 어느 누구도 그 정확한 발음을 알지 못한다.


유대인들은 구약성서를 읽다가 이 단어가 나올 경우 직접 발음하지 않고 ‘아도나이(Adonai: 나의 주)’라고 읽었다. ‘엘로힘(Elohim: 하느님/하나님)’이라고도 했다. 이는 성서를 번역할 때도 적용됐다. 그리스어로 번역될 때 YHWH는 ‘거룩한 네 글자(Tetragrammaton)’라는 표현이 사용됐고, ‘주님’을 뜻하는 ‘퀴리오스(Kyrios)로도 번역됐다. 라틴어 번역에서도 같은 뜻으로 ‘도미누스(Dominus)’로 바뀌었다. 이는 영어로 ‘로드(The Lord)’에 해당한다.


YHWH를 읽는 방법은 오랫동안 논란이 됐다. 그러다가 7~10세기 히브리어 성서 재간행 작업을 한 마소라 학자들이 YHWH에 ‘아도나이’를 표시하는 모음을 합쳐 읽었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여호와(YeHoWaH, Jehovah)’다. 반면 초기 기독교 학자 중에는 YHWH를 ‘야훼(YaHWeH)’로 읽어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었다. 19세기 이후 성서학자들도 ‘야훼’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야웨’나 ‘야베’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교황청의 경신성사성(敬信聖事省: 전세계 천주교 성사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구)은 지난 2001년 훈령을 통해 '히브리 말로 네 글자 YHWH, 라틴 말로는 Dominus라고 표현되는 전능하신 하느님의 이름은 다른 언어로도 똑같은 뜻을 지닌 낱말로 표현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언어권에 따라 다양하게 발음·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 교황청은 결국 이를 바로잡겠다며 YHWH의 사용을 보다 강력하게 금지한 것이다. 가톨릭 교계에 따르면 “이는 언어학적 체계뿐만 아니라 언제나 교회 전승에 충실하려는 것”이다.


◆ 하느님과 하나님


YHWH 발음에 대해 그동안 천주교(일부 개신교 포함)에선 야훼, 대부분의 개신교는 여호와를 사용해 왔다. 이는 초기에 성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옮겼느냐에 따라 달라진 결과이다.


천주교와 개신교는 절대자에 대해서도 ‘하느님’과 ‘하나님’으로 달리 칭한다. 그러나 조선에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기독교의 유일신을 옮기기 위해 사용한 호칭은 하느님이었다. 최초로 한국어로 번역된 성경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에 이 용어가 처음 등장한다. 이 번역에 참여한 선교사 존 로스는 선교 보고서에서 “‘하늘(heaven)’과 ‘님(prince)’의 합성어인 ‘하느님’이 가장 적합한 번역어일 것”으로 적었다.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 기독교변증서 ‘천주실의’에서 세상을 창조한 유일신을 뜻하는 단어 ‘천주(天主)’와도 뜻이 닿아 있다.


초기 개신교에서는 상제, 천주, 하느님, 하나님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했으나 개역성서를 펴내는 과정에서 아래아(·)가 홀소리 ‘ㅏ’로 일괄적으로 변경되면서 하나님이란 호칭을 쓰기 시작했다. 천주교에서는 원뜻과 맞춤법을 참고해 하느님으로 표기하고 있다. 1977년 천주교와 개신교가 함께 번역한 현대어 공동번역성서에는 신의 호칭으로 하느님이란 표현이 쓰였다.


그러나 대부분 개신교 교파가 하나님이라는 표기를 고수하고 있다. 정중호 계명대 기독교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하나님이란 명칭이 유일신의 의미가 강한데다 하나님이라 부르던 기존 습관을 바꾸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성공회에서는 하느님으로 표기한다. 한편, 한글맞춤법 통일안은 하느님을 표준어로 삼고있으며 하나님을 개신교에서 이르는 말로 풀이하고 있다.


조문호기자




  1. 코로나19와 교회의 혁명적 변화

      일식 코로나   코로나19와 교회의 혁명적 변화   코로나 바이러스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이러스들 중에서 최강의 바이러스로 밝혀졌다. 바늘로 100번을 찔러도,90도 이상의 열을 10분 이상을 가해도, 파괴되거나 찌그러지지 않고 원상을 유지하는 괴력을 보...
    Date2020.09.21 Byreformanda Reply0 Views698 file
    Read More
  2. 개혁교회는 어떻게 예배당을 확보하는가?

        개혁교회들은 어떻게 예배당 건물을 확보하는가?   신원균 교수(대신총회신학연구원, 조직신학)   장로교회의 교회법 원리에서는 교회 건물을 사용하는 순서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재정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나 어려움을 전제로 소개합니다.   1. 목사님 ...
    Date2020.08.07 Byreformanda Reply0 Views575 file
    Read More
  3.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WCC 부산총회(2013) 개회식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레슬리 뉴비긴이 기독교에 기여한 점과 해악을 끼친 점, 오판과 자기비판, 복음적 노선과 에큐메니칼 사상의 이중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비평적 논의가 필요하다. 아래의 글은 '선교적 ...
    Date2020.07.30 Byreformanda Reply0 Views1368 file
    Read More
  4. 최덕성 교수의 성령론―방언 강의를 듣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성채와 성령교회당 (하이델베르크신앙문답과 관련된 장소)   최덕성 교수의 성령론―방언 강의를 듣고   박재의 (브니엘신학교 신학대학원 2학년)   브니엘신학교 2020 봄 학기 수업은 코로나19의 위협으로 불편한 조건에서도 은혜롭...
    Date2020.07.05 Byreformanda Reply0 Views1305 file
    Read More
  5. 온라인 예배, 세례, 성찬

    온라인 예배, 세례, 성찬      코로나 19와 더불어 온라인교회가 출범했다. 온라인 목사, 온라인 사도가 등장하고 있다. 온라인 예배, 온라인 성찬, 온라인 세례가 가능할뿐 아니라 필요한 시대에 진입했다. 온라인 교회는 온라인을 거쳐 사람들에게 복음을 ...
    Date2020.06.22 Byreformanda Reply0 Views987 file
    Read More
  6. 뉴 노멀 온라인교회 시대 열리다

        브레드채플 동영상 캡쳐     뉴 노멀 온라인교회  시대 열리다   1. 온라인교회의 등장   온라인교회, 네트워크교회 시대가 예상보다 빨리 찾아왔다. 이 교회는 유비쿼터스(Ubiouitious) 기술과 세계적인 대점염병이 가져온 새로운 일상(new normal)의 만...
    Date2020.06.12 Byreformanda Reply0 Views702 file
    Read More
  7. 미모의 여인 유디스의 선의의 거짓말

    안젤리아 왕 (중국계 예술단 션원 무용수)   미모의 여인 유디스의 선의의 거짓말 악성 코비드19 '덕분'에 로마가톨릭교회가 성경에 포함시키는 위경 <유디스>(Judith, BC 100경 추정)를 정독했다. 왜 신학자가 위경을 읽느냐고 따질 독자가 있을 법하다. 나...
    Date2020.05.03 Byreformanda Reply0 Views1160 file
    Read More
  8. 마사다(Masada)를 아시나요?

    마사다(Masada)를 아시나요?   예루살렘 동남쪽 100㎞ 지점의 마사다(Masada). 형태가 기묘하다. 사해(死海) 부근의 사막 한가운데 우뚝 솟았어도 정상 부분은 평평한 바위산. 탈무드, 선민의식과 더불어 이스라엘을 지탱하는 정신적 지주의 하나다. 마사다가...
    Date2020.04.20 Byreformanda Reply0 Views1146 file
    Read More
  9. 성찬 물질론

    성찬 물질론 오늘날 성찬 시 '떡과 잔'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대한 오해가 많은 것 같다. 성찬에 관한 신학자들의 글에도 그런 경향이 묻어난. 최근 사이버공간에 인터넷 성찬을 반대하는 글을 기고한 어느 신학자는 "성찬 요소[재료]가 남을 경우" 어떻게 해...
    Date2020.04.15 Byreformanda Reply0 Views878 file
    Read More
  10. 나그네에게도 100만 원을 주라

                  이 땅의 나그네에게도 100만 원을 주라     나그네(strangers)는 자신이 태어난 고향이나 삶의 터전이나 나라를 떠나 사는 사람이다. 객(客), 타국인, 외국인, 이방인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 체류 나그네 노동자들은 약 250만 명이다. 대전염...
    Date2020.04.09 Byreformanda Reply0 Views664 file
    Read More
  11. 평화나무, 설교자를 고발하다

    평화나무 유튜브영상 캡쳐      평화나무, 설교자를 고발하다 유튜브 시사평론 방송을 하는 평화나무(이사장 김용민)는 설교자 선거법위반 감별사를 자처한다. 설교 중에 정치발언을 하거나 특정 정당을 지지 반대한 12명의 대형교회 목사들을 사법에 고소할 ...
    Date2020.04.04 Byreformanda Reply0 Views865 file
    Read More
  12. 코비드19에 희생당한 목사와 장로

    코비드19에 희생당한 목사와 장로   미국 기독교계에는 코비드19 대전염병과 관련하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목사와 장로가 사망하고, 건강하고 젊은 주일학교 교사가 세상을 떠닜다. 정부의 다중 집회 금지 명령을 무시하고 주일 두 차례에 걸쳐 대규...
    Date2020.04.01 Byreformanda Reply0 Views812 file
    Read More
  13. 정오 2분 기도운동에 동참합시다

    코로나바이러스의 퇴치를 기도하는 베트남 젊은 여성(2020.2.26., 하노이)., CNS photo, Kham, Reuters   정오 2분 기도운동에 동참합시다 '리포르만다'를 운영하는 선교단체 유유미션(University Ubiquitous Mission, 대표 최덕성)은 세계적인 대역병 ‘코비...
    Date2020.03.26 Byreformanda Reply0 Views493 file
    Read More
  14. 국무총리의 불상 배례

    이낙연 국무총리, 사진: BTVnews        국무총리의 불상 배례 전 국무총리 이낙연 씨의 종교는 개신교이다. 영광중앙교회(전남, 예장통합 김칠수 목사)에서 2003년 경 세례를 받았고, 서리 집사로 봉사했단다. 서울에서는 신반포중앙교회(서울, 예장 대신, ...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1 Views7985 file
    Read More
  15. 폐렴 걱정 나라 걱정, 부질없는가?

    폐렴 걱정 나라 걱정, 부질없는가? 1 우한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중국을 강타하고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죽음의 바이러스에 오염되지 않으려고 온갖 수단을 동원한다. 외출 때는 마스크를 쓰고 물안경을 쓰고 장갑을 낀다. 엘리베이터 버턴을 ...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63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