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인문학페친권영민사진.jpg


페친 김영민 사진                



신학도와 인문학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과와 연합신학대학원이 한국 개신교 신도 감소와 사회적 비판 등 많은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종교철학> 전공(아마도 석사와 박사 과정)을 신설하여 2014학년도 2학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하기로 했단다. "신학이 교회 밖과 소통해야 한다"는 동기였다고 한다.<에큐메니안>(2014.4.23. 보도).


대다수의 한국교회 목사후보생들은 인문학 공부를 충분히 하지 않은 채로 신학을 공부한다. 일면 안타까운 부분이다. 신학교(신학대학원, 신학전문대학원)이 대학과정 교육 이수자를 입학시키는 까닭이 있다. 복음전도, 진리변증, 말씀선포를 성공적으로 하려면 철학과 인문학의 기본 그리고 글쓰기(비평적 사고) 능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신학도와 전도자에게 인문학 수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연세대가 개설할 과목들을 보니 부러움이 생긴다. 그러나 과연 설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자유주의 신학을 기본 패러다임으로 가진 교수들로부터 배우는 인문지식은 교회의 생명력 상실에 이바지해 왔을 뿐이다. 도움을 주지 않았다. 


유럽, 북미, 대양주의 주류 교회들이 침몰한 까닭을 생각해 보라. 히틀러를 추종하던 당대 독일의 저명한 신학자, 철학자, 지성인, 신학교수, 목사들... 그들에게 인문적 소양이 부족했던가? 인문지식은 살인자를 추앙하고 교회로 하여금 우상숭배를 하도록 도왔다. 동경제국대학교 철학과 출신 채필근 목사(교회사敎悔師 양성소인 평양신학교 교장)의 경우를 보라.


위 교과목이 한국교회의 퇴락을 막는데 일조하려면, 길은 있어 보인다. 바울처럼 배운 것들을 배설물로 여기고 역사적 기독교와 신학충돌을 일으키는 자유주의 신학 또는 현대주의 사고의 패러다임을 버리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이지만, 가르치는 자들이 진정 하나님의 특별계시인 성경으로 돌아가고 성령으로 거듭난 사람들이고, 배우는 사람들도 그러한 경우에만, 새 과정을 신설하는 학교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연세대교과목.jpg


연세대 종교철학 전공 (석사 박사과정 커리큐럼)


목사후보생에게 신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서양철학사를 포함한 인문학을 가능한 많이 공부하라고 권하고 싶다. 고등학교 졸업자와 대학과정 졸업자를 위한 2년 과정 정도의 신학예비-인문학 교육, 비평적 사고능력 훈련, 글쓰기(비평적 사고) 훈련 과정을 만들어 봄직하다.


철학사는 인간 이성의 오류의 역사(history of philosophy is the history of errors of human reasons)이다. 철학 사 중심의 인문학은 영원히 변치 않는 진리를 탐색하고 가르치고 전하는 전도자에 꼭 필요한 도구를 제공한다. 하나님은 가말리엘 문하에서 학문방법을 잘 배운 바울을 사용하셨다. 바울이 배설물로 여긴 것은 그가 배운 헬라철학의 내용이지 학문 방법 또는 도구가 아니었다.


목사는 기본적으로 학자여야 한다. 한 손에 성경을 들고 다른 한 손에 신문을 들고 강단에 선 학자이다. 인문학 기반 없이 성경 관점으로 신문을 읽고 해석하기 어렵다. 인문학의 초보는 비평적 사고 훈련이다. 사유하는 힘을 가진 목사가 성경을 바르게 가르칠 수 있다. 아래에 게시한 "사유하는 힘을 가진 그대 '생각박사'"를 읽어보라.


대학과정에서 인문학만 배우면 노벨상 받을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클 수 있다. 대학과정에서 고전 100권의 핵심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타인에게 요점적으로 10분, 20분, 30분 동안 들려 줄 수 있는 실력을 갖추고 신학대학원에 입학한 사람이면 틀림 없이 '명설교자'라고 평가받을 것이다.


대학 4년 과정  동안 고전 100권을 읽게 하는 인문학 교육으로 유명한 대학이 있다.  아래와 같다.

 

St. John's College, Maryland, USA

Reading list[edit]

Although it varies from year to year and differs slightly between campuses, the Great Books reading list is the basis of the school's curriculum. The 2013-2014 list is as follows:

Freshman year[edit]

Sophomore year[edit]

Junior year[edit]

Senior year[edit]







  • ?
    늘새롬 2014.04.28 11:05

    진리를 위한 도구로서, 지성을 위해 책읽기를 지속해야 할 줄 생각합니다.구약의 모세, 신약의 바울이 됨은 준비(믿음과 지성)된 사람이었다는 것... 신학과정에도 인문분야 독서량도 채택되면 좋겠습니다.

  • ?
    dzezy 2015.02.04 02:33

    - 철학사는 인간 이성의 오류의 역사(history of philosophy is the history of errors of human reasons)이다. 철학 사 중심의 인문학은 영원히 변치 않는 진리를 탐색하고 가르치고 전하는 전도자에 꼭 필요한 도구를 제공한다. 하나님은 가말리엘 문하에서 학문방법을 잘 배운 바울을 사용하셨다. 바울이 배설물로 여긴 것은 그가 배운 헬라철학의 내용이지 학문 방법 또는 도구가 아니었다. -

    옳습니다 !!

  • ?
    생명의강 2015.04.27 03:04
    인문학을 단순히 사람 사는 이야기로만 이해 하면 곤란! 사람사는 방법에 하나님과 대화하는 방법으로 사람들의 소리에서 자신의 성품을 발견하고 하나님께 그 성품으로 제물삼아 바치라는 영적 예배를 실천하는 신앙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인간관계의 법을 알면서 성품이 어두움을 벗어나 빛된 착한 행실을 낼 수 있기까지 변화되어가는 과정에 관한 삶의 방법 역시 ㅇ니문학에 속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1. 레바논의 참극과 코라비아 로맨스

    레바논의 참극과 코라비아 로맨스: 인도주의 앞세운 순진한 다문화주의, 썩은 동아줄 1. 기윤실의 성명 주일예배를 마치고 하버드대학 스퀘어까지 택시를 탔다. 택시운전사는 내전을 피해 미국으로 온 레바논 사람이었다. 운전사에게 “한국인들 상당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2 Views1367 file
    Read More
  2. 한반도기(韓半島旗), 석연치 않다

    한반도기(韓半島旗), 석연치 않다 한반도기(韓半島旗, Korean Unification Flag)를 보면 석연(釋然)치 않다는 생각이 든다. 흰색 바탕에 하늘 색 지도가 새겨진 이 깃발은 올림픽 등 국제 행사에서 남·북한을 상징할 목적으로 두 국가가 합의하여 만든...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3043 file
    Read More
  3. 성장하는 미국교회도 있다

    YWAM 집회 청년들 (한국일보 사진) 성장하는 미국교회도 있다 기독교는 가난과 박해, 타락과 모순 속에서 끈질긴 생명력을 키워왔다. 소멸할 것 같은 순간에도 신앙은 예기치 못한 형태로 새롭게 꽃을 피워 왔다. 기독교가 자유주의 신학에 영향을 받아 절대...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384 file
    Read More
  4. 직통계시파 목사부부

      그림: 연합뉴스, 조혜인의 합성 사진그림            직통계시파 목사부부   의정부지방법원 형사합의13부(부장판사 이영환)는 2018.6.8., 자살교사 혐의자 임 모 씨(64·여)에게 징역 5년의 형을 선고했다. 부모에 대한 자살방조범인 딸 이 모 씨(44)에게는...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602 file
    Read More
  5. 설교폭력

    설교폭력 (원제: 설교언어의 폭력성) 1. 설교자로 살아가면서 설교에서 상처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 고통스럽다. 프란시스코 페레(Ferrer Guardia, Francisco)는 "꽃으로도 아이를 때리지 마라"고 했는데 설교로 위로와 치유, 회복은커녕 회중에게 상처를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16 file
    Read More
  6. 포스트모더니즘의 너그러움

    포스트모더니즘의 너그러움 포스트모더니즘은 절대적 진리란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상대적이고 주관적이라는 신념을 깔고 있다. 교회마다 주일학교가 줄어들고, 청년층도 눈에 띄게 줄었다. 가장 큰 이유는 사상적인 변화다. 젊은이들이 깊이 포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139 file
    Read More
  7. 도르트신조문 (Canons of Dort)

    도르트총회(1618-1619) 상상도 도르트신조문 (Canons of Dort) 아래는 개혁신학 전통 신조 가운데 중 하나인 도르트신조문 전문이다. 아르미니우스주의를 거부하고 칼빈주의가 정당함을 천명한다. 튜립(TULIP)으로 언급되는 칼빈주의 5대 교리를 담고 있다.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2 Views1555 file
    Read More
  8. No Image

    예수께서 교리를 설파했는가?

    예수께서 교리를 설파했는가? 성경공부에만 매진하고 교리 공부를 소홀히 하면 위험할 수 있다. 인간의 한계 때문이다. 성경공부와 성경적 교리공부는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르다. 성경은 인간의 마음에 새겨 주려는 목적이 분명한 진리 곧 교리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153
    Read More
  9. 총신대, 품위 있고 질서 있게

    총신대, 품위 있고 질서 있게 총신대 사태를 생각하면 안타깝고 곤혹스럽다. 특정 교단 내부 갈등은 한국교회 전체의 복음전도를 방해하고 신인도 향상을 저해한다. 현대 정보통신 기술은 기독인과 교회의 허물을 확대 재생산하여 기독교의 이미지를 손상시킨...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177 file
    Read More
  10. 부흥을 사모하라

    부흥을 사모하라 마틴 로이드존스 부흥을 사모하라. 전심으로 부흥을 사모하라. 부흥을 사모하면서, 나는 우리 시대의 목회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마틴 로이드존스 목사의 저서 <부흥(생명의말씀사)>을 요약한 글을 소개한다. 인터넷 공간에 떠도는 것을 붙...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445 file
    Read More
  11. 여자, 화로(火爐) 같이 대하라

    여자, 화로(火爐) 같이 대하라 여자는 멀리할 대상이 아니다. 아내와 남편 사이에서는 개체가 아니고 오직 하나의 동체(同體)다. 즉 떨어지면 아니 되는 자신의 신체(身體)의 일부분과 같은 존재이다. 성경에 남자와 여자가 결혼하면 둘이 아니고 하나라고 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59 file
    Read More
  12.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설교 - 팀 겔러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설교 - 팀 겔러 2018 센터처치 콘퍼런스 ‘복음, 도시, 운동’ …첫째 날 강의 주요 내용 뉴욕에서 ‘도시복음 운동’을 펼쳐온 팀 켈러 목사가 한국의 목회자들과 만났다. ‘시티 투 시티 코리아(CTCK...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66 file
    Read More
  13. 빌리 그래함과 플로리다성경학교

    빌리 그래함과 플로리다성경학교 저명한 미국인 복음전도자 빌리 그래함 목사(Billy Braham, 1918-2018)가 향년 99세로 세상을 떠났다. 2월 21일 별세했다. 노스캐롤라이나 몬트리트(애쉬빌 부근)에 있는 자택에서 숨졌다.. 빌리 그래함은 1940년에 플로리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7065 file
    Read More
  14. 일터신학: 목사의 이중직

    일터신학: 목사의 이중직 미주뉴스인조이 보도 기사 절벽 끝에 선 목회자, 대안은 있는가? 명성교회 사태로 한국교회는 끝 모를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혹자는 이번 사태의 최대 수혜자는 김삼환 목사 부자이며, 최대 피해자는 한국교회 전체라고 말한다. 교...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377 file
    Read More
  15. 트럼프와 예루살렘 제3 성전

    트럼프와 예루살렘 제3 성전 트럼프의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수도” 보다 더 중요한 것 이영진 교수 (호서대, 미문교회, 2017.12.17.) 지난 12월 6일 도널드 트럼프 미 합중국 대통령은 현재 이스라엘 텔 아비브에 위치한 ‘미국 대사관을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2 Views274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