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나는 이중예정론자다!

그것도 많은 기독 지성인들이 혐오하는 이중예정론자다.
그래서 하나님의 선택을 믿되 한 사람이 선택 받을 때 다른 한 사람은 버림 받는 다는 것을 믿는다.
...
이런 믿음은 예수님의 종말론적인 가르침과도 부합하는 것이라 용감하게 주장하고 싶다. 왜냐하면 우리 주님께서도 이렇게 가르치셨기 때문이다. 인자가 세상에 다시 오시는 날에는 남자든 여자든 "한 사람은 데려가고 한 사람은 버려둠을 당할 것이니라."

물론 성경학자들은 이 본문이 예정관는 무관한 것이라고 말할지 모른다. 그러나 성경 전체의 가르침을 감안하여 곰곰히 생각해보면 모종의 관계를 지을 수 있다고 본다. 어떤 사람은 데려가시고 어떤 사람은 내버려두실지 성경은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는다. 다만 "깨어 있으라!"라고말 권면할 뿐이다.

나는 예수님의 예언에 나타난 하나님과 인자의 행위를 '불공평'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나의 믿음이 내게 성경을 통해 '하나님보다 더 공평한 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르치기 때문이다.

나는 합리를 추구하는 우리의 이성도 죄에 물들어 있음을 믿는다. 그래서 우리가 어느 정도 합리적일 수는 있지만 궁극적으로, 절대적으로 합리적일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이성은 마치 100% 정확하지 않은, 아주 근소한 오차를 가진 기계와 같다. 이 기계가 작은 단위를 측정할 때는 유용하겠지만 매우 정밀한 것을 측정하거나 엄청나게 큰 단위를 측정할 때는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없다. 나는 합리를 추구하는 우리의 이성이 그렇다고 생각한다. 하나님의 위대한 구원의 사역을 모조리 설명한다거나, 그분의 선하신 뜻에 의해 이루어진 그분의 작정을 인간의 이성으로 측정하고 이해하려는 것 자체가 무모하고 황당한 시도라 생각한다.

나는 또한 우리의 이성적 이해와 합리성을 선거 때의 여론조사나 출구조사와 유사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론조사는 매우 합리적이고 뭔가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는 있겠지만 그것으로 뭔가의 결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우리의 이성이 가진 이해의 한계를 인정해야 하고 그것으로 하나님의 구원의 위대하심을 모조리(?) 측정하겠다는 생각이 얼마나 무례하고 황당한 것인지 알아야 한다.

이런 점에서 나는 Barth에 동의하지 않는다. 물론 그도 하나님의 선택은 인정한다. 하지만 그는 하나님의 버리심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 성경에 나오는 모든 선택은 그 반대인 버림을 늘 동반하고 있음을 바르트는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유기'에 대한 그의 부정은 '버림'의 행위 자체가 사랑의 하나님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정말 인간적이고 합리적인 이유 때문이다.

나는 이중예정론을 믿는다.

하지만 누군가는 이것을 믿지 않을 자유도 있고 그런 자신의 믿음에 대한 합당한 이유도 제시할 수 있다. 나는 그런 사람과 함께 진지한 토론과 고민을 나눌 용의가 있다. 오직 상대방을 비난할 무기로만 완전무장한 사람이 아니라면!

칼빈은 이중예정론자였다면 그의 절친이었던 멜랑흐톤은 이중예정론자가 아니었다. 칼빈은 멜랑흐톤이 이중예정론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에 대해 비판하면서 자신의 소신을 굽하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의절할 정도로 미워하지는 않았다. 둘 사이에 이견으로 인한 긴장이 없지 않았지만 그들은 끝까지 좋은 친구로 남아 서로를 정말 아끼고 존중했다. 물론 그렇다고 칼빈이 어거스틴 시대의 이단인 펠라기우스의 사상을 가진 사람들까지 교제권에 넣을 만큼 관용적인 인물은 아니었다. 이런 불관용은 단지 칼빈에게서만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종교개혁가들에게서 발견되는 공통점이다. 이것은 공통점은 초대교회의 교부들에게서도 발견되는 공통점이기도 하다.

나도 그렇게 하고 싶다.

예정론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모든 사람들을, 단지 그 하나의 차이 때문에 적으로 만들고 싶지는 안다. 그들과도 충분히, 그리고 진지하게 신앙의 문제를 나눌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아니 그렇게 하고싶다. 하지만 나의 신학적인 관용도 분명 한계는 있다. 그 한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자유 영혼이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누구와 함께 교제할 수 있고 교제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항상 진중할 필요가 있다.

나는 궁극적으로 예정론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운 구원에 관심이 있다. 그 구원이 하나님의 예정으로 더 풍성하게 수용될 수 있다면 그것을 환영하지 못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이 예정이 얼마나 오해되고 있는지... 참으로 안타깝다.


?

  1. No Image

    목회자의 생계형 이중직/ 조성돈

    목회자의 생계형 이중직/ 조성돈 조성돈 교수 페이스북에서 목회자의 이중직, 특히 생계형 이중직에 대한 조사에 많은 분들이 참여해 주셨습니다. 전체 904명의 목회자들이 유효한 대답을 해 주셔서 설문조사는 아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이 조사가 목회와...
    Date2014.03.28 Bydschoiword Reply0 Views5541
    Read More
  2. No Image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문병호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기독신문 보도문) 문병호(총신대) “기독론 떠난 자의적 종말론 존립할 수 없어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너무 많이 벗어났다” 성경 문자 충실한 해석하려면 먼저 성경이 멈추라는 곳에서 멈춰야 신학부가 주최하는 총회개혁주의 신학대회가 3...
    Date2014.03.27 Bydschoiword Reply2 Views7646
    Read More
  3. No Image

    설교작성 10단계/ 류응렬

    설교작성 10단계/ 류응렬 <10단계 설교작성법에 기초한 설교작성 과정> 류응렬 (총신대) 1. 본문 선택 설교의 시작은 본문의 선택입니다. 제대로 선택된 본문은 설교자와 청중에게 말씀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제공합니다. 때로는 본문을 선택하고 연구하든 중 ...
    Date2014.03.26 Bydschoiword Reply1 Views5742
    Read More
  4. No Image

    인격의 시금석/ 박영돈

    인격의 시금석/ 박영돈 사람의 참된 모습이 어디서 드러날까. 교수와 목사사회에서 오래 일하다보니 많은 교인들과 학생들이 존경하고 따르는 목사나 교수라고해서 그가 참으로 훌륭한 인격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자주 확인하게 된다. 마치 연예인이 자신의 팬...
    Date2014.03.26 Bydschoiword Reply0 Views5752
    Read More
  5. No Image

    생활 영어 100가지

    생활 영어 100가지 아래의 문장들은 "샴페인"이란 분이 정리하여 사이버공간에 올린 것입니다. 리포르만다 운영자가 조금 검토수정보완했습니다. 사도행전 30장 운동 구성원들이 배우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아래 문장, 표현들의 발음 녹음 파일을 조만간 게재...
    Date2014.03.20 Bydschoiword Reply1 Views5044
    Read More
  6. No Image

    침례교회와 신앙고백서/ 피영민

    침례교회와 신앙고백서/ 피영민 목사 I. 서론 침례교 신학 과정을 어느 정도 수학한 사람이라면 “침례교는 오직 성경 뿐이요 침례교를 구속하는 어떤 신조도 없고 신학도 없다”는 유의 암시를 수없이 받아 왔음을 인정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침례교 역사를 ...
    Date2014.03.19 Bydschoiword Reply1 Views6825
    Read More
  7. No Image

    하나님 나라에 대한 신학적 혼동

     하나님 나라에 대한 신학적 혼동 양용의 교수, 이성구 교수 대담 2011.07.05 21:17 닫기 한국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하나님 나라와 관련된 용어에서 나타나는 신학적 혼동은 무엇인가? 교회는 하나님 나라와 어떤 관련 속에서 움직여...
    Date2014.03.19 Bydschoiword Reply1 Views5352
    Read More
  8. 신사도운동, 교회성장의 새 패러다임?/ 김영한

     신사도운동, 교회성장의 새 패러다임?/ 김영한 크리스천투데이, 입력 : 2014.03.17 10:37 ▲김영한(기독교학술원장, 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 설립원장). 머리말 필자가 신사도운동을 교회 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이해할 수 ...
    Date2014.03.17 Bydschoiword Reply0 Views5292
    Read More
  9. 바르트, 계시를 역사적 사건으로 보지 않아

    크리스천투데이 2013. 12. 22. 보도기사 개혁신학회-칼바르트학회, ‘오늘의 위기와 교회의 개혁’ 공동 심포지엄 ▲심포지엄이 진행되고 있다. ⓒ김진영 기자 한국개혁신학회(회장 김영선 박사)와 한국칼바르트학회(회장 김명용 박사)가 21일 서울 새문안...
    Date2014.03.13 Bydschoiword Reply2 Views5255
    Read More
  10. 무질서한 은사주의, 성령모독

    크리스천투데이 기사 (2014. 3. 12.) [이슈&책] 존 맥아더 목사의 ‘문제작’ 「다른 불」 국내 출간 존 맥아더의 다른 불 존 맥아더 | 생명의말씀사 | 392쪽 | 20,000원 지난해 10월 존 맥아더(John MacArthur) 목사가 시무하는 미국 그레이스커뮤니...
    Date2014.03.12 Bydschoiword Reply1 Views5812
    Read More
  11. No Image

    삼위일체적 관점에서 바라본 "휠리오크베" 논쟁/ 신문철

    삼위일체적 관점에서 바라본 "휠리오크베"(Filioque) 논쟁/ 신문철 I. 들어가는 말 20세기가 시작되면서 교의신학에 두 가지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 하나는 전통적 신론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하나님을 삼위일체적으로 이해하기 시작 한 것이고, 다른 ...
    Date2014.03.11 Bydschoiword Reply1 Views6798
    Read More
  12. No Image

    문학작품 번역하기/ 강창구

     문학 번역의 문제* 강 창 구 교수(충남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1. 서론 일반적으로 번역학이 독자적 학문으로 성립된 시기를 20세기 80년대로 본다. 번역의 긴 역사를 생각하면 참으로 늦은 독립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한독문학번역연구소의 설...
    Date2014.03.05 Bydschoiword Reply2 Views10925
    Read More
  13. No Image

    “토론토 블레싱” 운동의 위험성/ 김영한

    “토론토 블레싱” 운동의 위험성/ 김영한 말씀에서 벗어난 감각 위주의 표적주의 신앙 머리말 오늘날 포스트모던 시대는 정통 기독교의 관점에서는 기독교 이후의 시대요 영적 혼미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종교학적으로 21세기는 옛 종교의 도래의 시...
    Date2014.03.03 Bydschoiword Reply0 Views5518
    Read More
  14. No Image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우병훈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우병훈 1. 성경은 큰 흐름을 이해하면서 읽어야 한다. 성경은 단편적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창조와 재창조의 큰 틀에서 성경을 읽어야 한다. 천지를 창조하신 한 분 하나님은 당신이 만드신 피조물에 대해 끝까지 신실하셨다....
    Date2014.03.03 Bydschoiword Reply1 Views7219
    Read More
  15. No Image

    나는 이중예정론을 믿는다/ 황대우

    나는 이중예정론자다! 그것도 많은 기독 지성인들이 혐오하는 이중예정론자다. 그래서 하나님의 선택을 믿되 한 사람이 선택 받을 때 다른 한 사람은 버림 받는 다는 것을 믿는다. ... 이런 믿음은 예수님의 종말론적인 가르침과도 부합하는 것이라 용감하게 ...
    Date2014.03.02 Bydschoiword Reply0 Views653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