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라이브러리

77777777777777775444.jpg




THE ROOTS OF THE PRESBYTERIAN CONFLICTS IN KOREA, 1910-1950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DOUG CHOI


EMORY UNIVERSITY, 1992

 

 

PREFACE

    

In the 1920s, Dr. George L. Paik published his Yale dissertation, The History of the Protestant Mission in Korea 1832-1910,1 which has provided important historical resources for the period up to 1910. We examine the history of the Korean Christianity 1910-1960, focusing on conflicting Presbyterianism from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In this period, Korea experienced serious national and ecclesiastical controversies, and the character and direction of the Korean Christianity were molded.


A crucial question raised in the study of the contemporary Korean Christianity is why 'fundamentalistic' beliefs have come to predominate, especially in the Presbyterian circle. It is known that Korean Presbyterians in general are conservative, some of them are very conservative, and some others are extremely conservative. They are conservative to Reformed faith and tradition.


While the great majority of Presbyterian churches in most parts of the world has been gradually accommodated to modern developments and no longer hold the convictions of earlier decades, the great majority of Korean Presbyterians can still be characterized as 'orthodox' or stern Calvinists. This work presents cultural and historical reasons for the loss of authority and credibility of those who, in the Korean context, championed modern developments and for the continuing domination in Presbyterianism by the orthodox/conservative wing.


Cultural superiority of the Western perspectives has led some historians to see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principally as a 'history of mission.' Under the influence of this view, for example, the miraculous church growth in Korea has been attributed to the Nevius Mission Method, which emphasized the Bible, and the strong conservative tendency is interpreted as the fruit of the missionaries who planted and molded the faith of the church during its early period. In a similar tone, other historians have simplified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to that of theological thought: liberalism and conservatism.


The nationalistic approach is an alternative accentuating the role of the Koreans. The Minjung approach, similarly, weights the peoples' role in church history. Both approaches emphasize the particularity of Korean Christianity but fail to examine the universality of the church in its catholic and confessional nature and tend to be tied to a subjective and chauvinistic interpretation of history. All of these approaches, eventually, arrived at partial or superficial answers to the questions raised in the Korean church.


The Church of Jesus Christ exists in this world in a particular context that must be examined for its historical, cultural, national, institutional, political, regional, and sometimes psychological setting. The church exists in the world but is not of the world. The confessional and spiritual reality of the church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particularity. It is a universal and confessional community based upon faith in God the Father, the Son, the Holy Spirit, and Scripture and, accordingly, needs theological and biblical consideration.


To provide a balanced interpret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principles, power, and operating spirit flowing behind the history, I attempted an integrated approach; esteemed th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f the church; and focused on the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aspects. I endeavored to see how the Church and Christians responded to what God wanted according to the principal teachings of Scripture: what the human being is to believe concerning God and what duty God requires of the human being.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appreciation to the faculty members who have shaped my knowledge, academic insight, and critical thinking. Grateful acknowledgment is due to the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Yale University, and Emory University, which have offered scholarships and stipends during my academic years. Library staffs of many institutions have answered my queries and made available important resources. My father and mother, my wife, Paul Pyunghwa, G-Heh Esther, and Hankook Moses, deserve special appreciation.


For the book titles quoted in Korean and other oriental languages, I have used the English equivalents. The bibliography includes the titles in their original languages.

 

Doug Choi

Korea Theological Seminary, Kosin University

Chonan, Korea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 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카파도키아 신학자들과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하기아 아이린 교회당(현 이스탄불, 스탄티노플 공의회가 열린 장소, 화재 후 원형대로 복구한 건물)   카파도키아 신학자들과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원제: 카파도키아 삼 교부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1.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와 카파도키아 신학세계...
    Date2025.08.25 Reply0 Views77 file
    Read More
  2.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통합과 분열의 갈림길···역사적 배경 해설   교리적 분열을 극복하고 통합을 이룬 상징적 사건     1. 삼위일체 교리형성에 미친 니케아 신경의 영향     AD 325년 니케아 공의회는 예수 그리...
    Date2025.08.25 Reply0 Views73 file
    Read More
  3. 바른 교리가 교회를 살린다

        바른 교리가 교회를 살린다   "신학함"의 목적에 대하여     신학자는 책상에 앉아 학문을 즐기는 연구자가 아니다. 신학교는 지식을 파는 교육기관이 아니다. 이들은 교회의 생존과 복음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세워진 최전방 진지다. 교회가 위기에 처...
    Date2025.08.13 Reply0 Views101 file
    Read More
  4. 김재준의 예언자 사명과 교회 정치화

      김재준의 예언자 사명과 교회 정치화   원제: 김재준 신학의 내재적 모순과 기장·NCCK의 정치신학     한국 기독교사에서 자유주의 신학의 대표적 인물로 평가받는 김재준(1901-1987)의 신학 사상은 흥미로운 이중성을 보인다. 그는 정교분리 원칙을 명확히...
    Date2025.08.12 Reply0 Views96 file
    Read More
  5. WCC의 JPIC 신학과 사회주의

      WCC의 JPIC 신학과 사회주의     [WCC] JPIC 신학은 기독교와 사회주의 가운데 어느 쪽에 더 가까울까?     기독교와 사회주의는 겉으로 보기에는 가난한 자에 대한 관심, 평등한 사회의 이상, 공동체적 삶이라는 공통된 가치를 지닌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Date2025.08.06 Reply0 Views88 file
    Read More
  6. 카이퍼는 리츌을 닮았다

        카이퍼는 리츌을  닮았다   리츨과 신칼빈주의: 서로 다른 출발, 같은 도착   알브레히트 리츨은 독일의 자유주의 신학자였고, 아브라함 카이퍼는 개혁주의 전통을 따랐던 네덜란드의 보수 신학자였다. 그런데 이 둘이 19세기 유럽의 세속화에 대답하는 ...
    Date2025.08.01 Reply0 Views167 file
    Read More
  7. 통전적 선교는 사회복음의 현대적 변형

          통전적 선교는 사회복음의 현대적 변형   케이프타운 로잔대회 분석:     아래의 글은 김요셉 님이 페이스북에 개시한 글이다. <기독교한국>에 게시한 글인 것 같으며 글쓴이는 누구인지 확실치 않으나, 김요셉 님인 것 같다.     케이프타운 서약(The ...
    Date2025.05.31 Reply0 Views372 file
    Read More
  8. 동물신학, 동물장례식

        동물신학, 동물장럐식     예장 고신 교단 74회 총회가 받아들인 동물신학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보고서   ‘동물 장례에 대한 질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보고서     신학위원회/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1. 총회 질의     경남김해노회장 이...
    Date2024.09.29 Reply0 Views523 file
    Read More
  9. 제4차 로잔대회 ‘서울선언문’

        제4차 로잔대회 ‘서울선언문’   (2024.09.22.)     서문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린 제4차 로잔대회는 세계 선교에 헌신한 놀라운 운동의 5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이다. 1974년 제1차 로잔대회에는 150여 개국에서 2,700명의 교회 지도자이 함께 모여 온 ...
    Date2024.09.23 Reply1 Views554 file
    Read More
  10. 기후환경을 바라보는 신학적 입장

          기후환경을 바라보는 신학적 입장   기후 환경위원회 보고서/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기후환경위원회  (총회가 받아들인 위원회 보고서, 2024. 9. )     I. 기후환경을 바라보는 신학적 입장     1. 문제     오늘날 기후 변화 문제는 모두가 날마다 ...
    Date2024.09.12 Reply0 Views363 file
    Read More
  11. WCC 핵심 논점에 대한 신학적 고찰

        WCC 핵심 논점에 대한 신학적 고찰   머리말   그 동안 국내에서 논란되어왔던 역사적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제10차 총회가 2013년 10월 30일 부산 해운대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되었다. 이에 대한 한국 보수주의 교회의 비판의 소리는 높다. ...
    Date2024.09.08 Reply0 Views422 file
    Read More
  12. 신학교의 쓸모

        신학교의 쓸모   1.   오늘날 신학교 교육은 무용한 것인가? 사울의 타락 이후 사무엘은 자신의 고향 ‘라마’로 돌아가 그곳에 ‘나욧’을 세운다. 앞으로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 선지자들을 가르치고 길러내려 했던 것 같다. 지금으로치면 신학교와 유사하다...
    Date2024.09.07 Reply0 Views408 file
    Read More
  13. 폴리갑과 콘스탄틴, 기독인의 삶의 장엄함을 보여주다

      신성로마제국 프레드리히 황관     폴리갑과 콘스탄틴, 기독인의 삶의 장엄함을 보여주다   신학대학원이 가르치는 정경론에는 정경확립의 기준 가운데 ‘성경의 자증적(自證的) 권위’라는 주제 안에 ‘문체의 장엄함’이란 내용이 있다. 하나님의 장엄하심, ...
    Date2024.07.10 Reply0 Views591 file
    Read More
  14. 유비쿼터스와 하브루타 신학수업

        유비쿼터스와 하브루타 신학수업   우리가 2000년대를 시작할 무렵, 유비쿼터스 스쿨, 유비쿼터스 가정, 유비쿼터스 방식 교육 등 미래시대의 모습을 소개하는 글을 읽을 때 꿈을 꾸는 것 같았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유토피아처럼 여겼던 유비쿼터스 시...
    Date2024.01.10 Reply0 Views789 file
    Read More
  15. 방언에 대한 생각 바꾸기

          방언에 대한 생각 바꾸기     최덕성 교수님의 성령론은 여러 면에서 충격이었다. 방언에 대한 신학강의를 처음으로 접하면서 오랫동안 방언 곧 방언 기도를 해 온 나의 신앙 생활을 검토했다. 나는 방언이 하나님의 사랑 받는 자녀들이 받는 영적인 은...
    Date2023.08.15 Reply0 Views134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