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13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lent-symbols.jpg 사순절 특별새벽기도회 미

 

[아래의 글은 BREADTV 방영물 최덕성 박사의 "사순절과 사육제"와 "사순절, 지켜야 하는가?"를 시청한 장수연 님의 글입니다. 예장 통합 소속 신자로 자신이 사순절에 겪은 일화를 소개합니다. 선명한 메시지를 가진 유익한 글입니다.]


누군가에겐 생소하게 들릴 수 있는 기도회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교회에 오랜 기간 동안 소속되어 있던 나에겐 매년 주어지는 미션이 하나 있었다. 40일간의 사순절 특별 새벽기도회 동안 출석부에 40개의 도장을 받는 것이었다. 그 특별 새벽기도회를 마치고 나면 40개의 도장을 받은 사람들에겐 예배시간 사람들 앞에 나아가 꽤나 컸던 상품과 함께 모든 이들이 우러러 바라보는 것 같은 영광을 받을 수 있었다.

그 상품을 받기 위해서든, 남들에게 40일간의 특별 새벽기도회를 완료한 믿음의 사람이라는 인정을 받기 위함이든, 하나님 앞에 특별히 새벽의 시간 경건하게 기도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읽으며 보내기 위함이든 이 기도회는 거의 전교인 행사 수준의 기도회 기간이다.

첫 일주일간은 모두가 들뜬 마음으로 새벽 발걸음을 교회로 옮긴다. 그 후 한주가 지나면 처음 인원의 사분의 일 이상이 나오지 않기 시작한다. 그 후 또 한주가 지나면 새벽기도회에 참석했던 많은 사람들이 줄어든다. 그 당시 교회에서 나름 ‘믿음이 좋은 자매’로 인정을 받고 있던 나는 단 하루라도 새벽 기도회를 빠짐으로 인해 출석 도장을 받지 못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하지 않았으며 열심히 나갔다.

그 당시 옆에 있던 두 청년이 나눴던 대화가 기억이 난다. “도대체 이 출석도장은 왜 찍어주는 건지 모르겠어. 목사님들한테 눈도장 찍으러 오는 것도 아니고, 상품을 받으려고 오는 것도 아니고 하나님 앞에 기도하러 오는 거 아니야?” 다른 청년이 대답했다. “아니 뭘 그렇게 억울해 해? 그럼 너는 기도회는 나오되 출석도장은 안 받으면 되잖아?” 다른 청년은 대답이 없었다.

그 두 청년의 말을 듣고 난 다음날부터 나는 그 특별 새벽기도회에 나가지 않았다. 마치 내 안에 숨은 동기가 들켜버린 듯한 느낌이었다. 나의 첫 마음은 하나님을 진심으로 사랑했고 하나님께 그 특별 새벽기도회 기간 동안에 더 열심을 내어 기도하며 간구하고 싶었다. 하나님과의 은밀한 새벽 시간을 누리고 싶었다. 하지만 어느 샌가 출석 도장에 연연하며 단 하루도 빠지면 안 된다는 강박관념과 함께, 누가 이 특별 새벽기도회로부터 낙오되었고, 누가 여전히 잘 나오고 있는지 주위를 둘러보는 너무나도 바리새인과 같던 내 자신의 모습이 보였다. 또한 출석 도장이 하나하나 채워져 갈 때 느꼈던 그 뿌듯함조차 너무 수치스러웠다. 이왕이면 하나님 앞에서 기도도 하고 출석도장 40개를 다 받아서 사람들에게 믿음이 좋은 자로 인정을 받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그 당시 예수님께서 기도와 금식에 대해 말씀하신 것이 생각났다. 마태복음 6장 16절, 17절, 18절 “금식할 때에 너희는 외식하는 자들과 같이 슬픈 기색을 보이지 말라 그들은 금식하는 것을 사람에게 보이려고 얼굴을 흉하게 하느니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그들은 자기 상을 이미 받았느니라.” “너는 금식할 때에 머리에 기름을 바르고 얼굴을 씻으라.” “이는 금식하는 자로 사람에게 보이지 않고 오직 은밀한 중에 계신 네 아버지께 보이게 하려 함이라. 은밀한 중에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갚으시리라.”

특별 새벽기도회를 나가지 않는 기간 동안 나는, 사순절 절기를 제대로 지키지 못한 것(사순절 특별 새벽기도회를 완주하지 못한 것)에 있어서 믿음이 작은 자가 된 것 같은 마음과 함께 하나님 앞에 이것 하나도 해내지 못했다는 패배감, 반면에 나의 기도와 금식은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함이 아닌 하나님께 은밀히 보이기 위함이며, 나의 믿음은 새벽기도회를 몇 번이나 나왔는지를 나타내는 도장의 개수, 사람들의 평가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거룩하신 말씀 앞에 평가된다는 이 두 마음이 내 안에서 얼마나 나를 괴롭히며 싸웠는지 모른다.

교회 전통에 따라 이 사순절을 절기로 명명하여 특별하게 이 기간을 기념하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가르치신 말씀을 따르는 것인지 진심으로 의문스럽다. 교회가 이 절기를 지킨다는 미명하에 예수님께서 특별히 은밀하게 하라고 가르치신 구제함, 기도, 금식과 같은 것들을 공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것이 오히려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따르기 위해 이러한 것들을 은밀하게 행할 수 있는 기회를 가로채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우리는 절기를 지킴으로써가 아닌 하나님의 거룩하신 말씀을 지킴으로 성화되어 간다. 절기를 지키지는 않지만, 영상에서 나온 물음과 같이 나는 매일 매일의 십자가의 빛 아래서 살아가고 있는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깊이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는지 내 자신에게 되묻게 된다. 절기에만 하나님 앞에 반짝 거룩하며 반짝 동행하는 삶이 아닌, 에녹과 같이 평생을 하나님과 동행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빛 아래 살아가고 싶다.

 

장수연

 

 

?

  1. 대통령의 귀환을 고대하는 사람들

      대통령의 귀환를 고대하는 사람들   아래의 글은 <기독일보>에 게재된 김민호 목사(회복의 교회, 예장 대신)의 글을 옮겨 실은 것이다. 한국의 현 사태에 대한 한 기독인의 관점을 담은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다수 목사들의 지지 이유로 보인다...
    Date2025.01.18 Byreformanda Reply0 Views920 file
    Read More
  2. 윤석열 대통령의 “국민께 드리는 글”

        윤석열 대통령의 “국민께 드리는 글”    (2025.01.14.)   (현대한국사 자료)     국민께 드리는 글     국민 여러분, 새해 좋은 꿈 많이 꾸셨습니까? 을사년 새해에는 정말 기쁜 일 많으시길 바랍니다. 저는 작년 12월 14일 탄핵소추되고 나서 혼자 생각...
    Date2025.01.15 Byreformanda Reply0 Views689 file
    Read More
  3. 성소수자 혐오집회, 개탄스럽다/ 경향신문

        ‘성소수자 혐오·차별’ 대규모 도심 광장 집회, 개탄스럽다   경향신문 사설 2024.10.27   기독교 단체들의 대규모 차별금지법 반대 집회가 27일 서울 도심에서 열렸다. 개신교 임의단체인 ‘한국교회 200만 연합예배 및 큰 기도회 조직위원회’는 이날 오후...
    Date2024.10.28 Byreformanda Reply0 Views1016 file
    Read More
  4. 현대판 보쌈문화, 키르기즈스탄 납치혼

      현대판 보쌈문화, 키르기즈스탄 납치혼   선시대의 ‘보쌈’은 여성을 강제로 납치해 아내로 삼는 악습 문화이다. 이와 비슷한 ‘납치혼’ 폐습이 미미하나마 아직도 남아 있는 나라들이 있다.  이 인권 유린의 문화를 연구한 논문들도 있다. 키르기즈스탄과 카...
    Date2024.09.07 Byreformanda Reply0 Views1115 file
    Read More
  5. 한국인은 어느 나라 국민이었는가?

        한국인은 어느 나라 국민이었는가?     김문수의 근대 한국사관은 옳은가? 2024년 8월 26일,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에 대한 국회 청문화가 파행하다가 산회했다. 김문수는 “일제통치 시기의 한국인의 국가는 일본이었다...
    Date2024.08.27 Byreformanda Reply0 Views1314 file
    Read More
  6. 태국 태권도 선수 파니팍 옹파타나키트

    태국선수 웅파타나키트가 태권도 여자 49kg급 결승전에서 금메달을 확정지은 뒤 최영석 감독을 향해 무릎 꿇고 인사하는 모습이다.   태국 태권도 선수 파니팍 옹파타나키트    파리 올림픽 보도 사진  가운데는 사람의 마음을 숙연하게 하는 정경(情景)을 담...
    Date2024.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1233 file
    Read More
  7. 검찰총장과 대법원장, 국회의원 출마 금지법

        대법원장과 검찰총장, 국회의원 출마 금지법     현직 검찰총장과 대법원장은 정치권력자의 힘이고 보호자이기도 하다. 자신들을 임명한 권력자 편에 유리한 이념적이고 편향적인 사법 행정을 할 수 밖에 없는 자리을 맡고 있다. 그리고 몇 해 동안의 직...
    Date2024.07.23 Byreformanda Reply0 Views2893 file
    Read More
  8. 솔로몬의 재판은 정말 지혜로웠는가?

    솔로몬의 반지   솔로몬의 재판은 정말 지혜로웠는가?     솔로몬은 이스라엘 왕국의 제3대 왕( 971-831, BC)이었습니다. 어머니 밧세바와 나단 예언자의 도움으로 왕위에 오른 솔로몬은 부왕 다윗이 준비해둔 땅과 재물을 이용하여 하나님의 성전을 건축합니...
    Date2024.07.02 Byreformanda Reply0 Views2696 file
    Read More
  9. 유럽의회에는 수상한 정당들이 많다

        유럽의회에는 수상한 정당들이 많다     올해 6월 9일에 거행될 유럽 의회 선출 날짜가 다가왔다. 이번에는 우파(우파포퓰리스트, 극우들)의 대거 의회에 입성할 것이 예상된다. 그래서 좌파들이 장악한 독일 언론은 계속 이를 경고했다. 독일에서 정부와...
    Date2024.05.31 Byreformanda Reply0 Views864 file
    Read More
  10. 이승만은 조지 워싱턴보다 훨씬 더 위대했다

        이승만은 조지 워싱턴보다 훨씬 더 위대했다     원제: 왜 한국인은 어리석은가? (뉴스타운의 글)     한국은 20세기 기적의 나라이다. 1990년대 세계학계는 북-중-러의 위협과 자원빈곤이란 최악의 상황에서 건국, 호국, 산업화를 이룩한 한국의 위대한 ...
    Date2024.04.22 Byreformanda Reply0 Views1161 file
    Read More
  11. 김활란(金活蘭)

      김활란(金活蘭) 일제강점기의 교육자, 친일파 (1899–1970)   아래는 위키백과의 김활란에 대한 소개의 글이다.   생애   김활란(1899년 2월 27일~1970년 2월 10일)은 일제강점기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재단이사장, 대한기독교교육협회 회장 등을 역임...
    Date2024.04.05 Byreformanda Reply0 Views894 file
    Read More
  12. 히잡 거부한 용감한 이란 여성

        히잡 거부한 용감한 이란 여성     히잡 착용을 거부한 용감한 이란의 젊은 여성이 74차례 태형 처벌을 받았다.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히잡 착용을 거부한 33세의 젊은 여성이 74대의 태형(笞刑)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2024년...
    Date2024.01.09 Byreformanda Reply0 Views913 file
    Read More
  13. 어느 미얀마 목사의 외침

          어느 미얀마 목사의 외침     미얀마는 군사 쿠데타로 나라를 장악한 군대의 포탄으로 괴로움을 겪고 있다. 과거에는 군대가 시골 지역을 괴롭혔지만, 이제는 시내 지역으로 공공장소에 포탄을 공개로 발사하고 있다. 군사 통제를 받는 언론 매체는 미...
    Date2023.12.26 Byreformanda Reply0 Views731 file
    Read More
  14. 가자 무슬림들 꿈에 예수를 만나다

        가자 무슬림들 예수를 만나다   전쟁과 난리 속에서도 예수를 믿는 무슬림들이 있다. 가자 지구의 무슬림 200여 명이 꿈에서 예수님을 만났고, 예수님을 믿고 따르겠다고 했다고 한다.  미국의 기독교 방송 CBN 뉴스가 최근 "Supernatural Move of God in...
    Date2023.11.26 Byreformanda Reply0 Views851 file
    Read More
  15. 유럽 68혁명과 불륜

          유럽 68혁명과 불륜     유럽의 68혁명은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 냈다. 사람들의 사고구조를 바꾸었다. 배우자, 자녀, 이웃, 국가, 나아가 전 세계 사람의 생각과 삶 그리고 신앙까지 바꾸었다. 1990년대 이후의 사람들의 사고방식은 그 이전의 사고방식...
    Date2023.11.09 Byreformanda Reply0 Views86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