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2016.10.23 07:55

학회를 다녀와서

조회 수 10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생명녹색.jpg


학회를 다녀와서

 

12일의 학회 일정을 마치고, 집에 돌아왔다. 육신적 피곤함과 함께 정신적 자괴감이 몰려온다. 나 자신의 초라함을 경험하고 돌아왔기 때문이다. 신학자들이 모인 학회에 참석할 때마다 느끼는 것은 학벌 좋은 사람들끼리 모여, 누가 누가 잘 하나, 자랑하는 시간 같아서 늘 소외감이 들었다.

 

나는 저곳에 왜 간 거지? 어떻게 해서 저분들은 저토록 공부를 많이 했으며, 저 많은 사람들이  금()수저로 가득 차 있을까? 놀라운 것은 왜 저토록 놀라운 금수저들이 가난을 말하고, 고난을 말하며, 사회의 문제들을 짚어내는 것일까? 왜 저들의 많은 고민들 중에는 나 같은 사람의 실질적 문제들가 없으며 다루지 않는 것일까?

 

예수는 교육을 받지 못한 자라고 주장한 안병무 선생께서는 서울대 출신이다. 그 시대의 기준으로 하면, 고급 승용차를 타셨다고 들었다. 해방신학자 구티에르즈는 국립의과대학 출신이며, 좋은 학교들을 몇 군데씩이나 다녔던 것 같다. 농노를 말하며, 혁명이라든가, 민중이라고 하는 주제의 문학의 세계로 알려진 레오 톨스토이는 어마어마한 저택에서 살았던 러시아의 귀족이었다. 타자를 위한 신학을 주장한 디트리히 본훼퍼는 대학 교수의 아들이었다. 가진 재산을 팔아 의미 있는 곳에 써버린 비트겐슈타인은 재벌의 아들이었다. 그리고 아프리카로 간 알버트 쉬바이처는 박사학위만 무려 4개를 가졌다고 한다. 아마 성 프랜시스코도 원래는 부잣집 아들이었지?

 

어제 학회의 주 강연에서 헬조선을 말하며, 금수저니, 흙수저니, 똥수저이니 말했던 그 학회의 주() 강사도 서울대 출신이다.

 

민중신학은 부유하고 많이 배운 분, 그 시대에 이미 독일 유학까지 갔다온 분의 신학일 뿐만 아니라 가난하고 배고픈 시절에 미국 유학까지 했던 분의 신학이었다. 가난한 민중은 있어도 가난하고 못 배운 민중신학자는 없는 것일까?

 

실질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은 누구일까? 배움의 기회들을 갖지 못한 자, 교회에서 쫓겨나는 자, 신학교에 등록금을 내느라 혼줄 나는 자, 아무 것도 보장되어 있지 않지만 오로지 지도교수 한분을 바라보며 졸졸 따라다니며 그래도 시간강사라도 하나 얻을 수 있을까 기대하는 대학원 학생들 등등 일 듯하다.

 

어느 목사님은 여기저기로 임지를 옮겨 다니다가 은퇴하셨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 목사님의 사모님이 돌아가셨다. 사모의 죽음은 과연 자연사()일까? 내 생각에는 산업재해 같다. 그러나 의학적 판단은 산업재해로 판명해주지 않을 것이다. 그 목사님은 민중신학자도 아니고, 유명하신 분은 더 더욱 아니며, 서울대를 다닌 것도 아닐 것이다. 그냥 이 교회, 저 교회로 돌아다니시다가 은퇴하셨다.

 

참기 어려운 고통을 겪으면서도 고함도 못치고, 신음 소리도 내기 힘든 분들을 학회에 모셔서 그분들의 실질적 소리를 들을 수는 없을까? 학회는 “종교개혁과 후마니타스: 헬조선 시대에 교회는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주제로 모였는데, 그 주() 강사는 옥스퍼드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신 분이다. 한국 사람들 기죽이고 싶어 오셨을까?

 

이런 식이면 시골목회지나 작은 교회의 목회직을 서울대 출신들이나 해외 유학파들이 장악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렇게 해야 그 충분한 의의(意義)를 실감할 수 있지 않겠는가?

 

이번 주에 학회가 두 곳에서 있었고, 두 곳 모두 다녀왔다. 한 곳에서는 한나절동안 진행했는데, 학회의 발제자 네 명 중, 세 명이 서울대 출신이었다.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겠는데, 참으로 놀랍다. 그 학회는 보수적인 학회였다. 그리고 다른 학회, 즉 한국기독교학회는 진보적인 모양이던데, 세 명의 주 강사 가운데 두 분은 미국에서 교수를 하는 분들이다.

 

이러지 말고, 목사 하다가 트럭 운전하는 목사 모셔서, 현장은 어떤지 직접 들으면 안 될까?

목사(牧師)가 무엇일까? 내가 아버지한테 듣기로 목사는 빌어먹는 사람이다.

 

신명기 2419-21절을 따르면 다음과 같다: “네가 밭에서 곡식을 벨 때에 그 한 뭇을 밭에 잊어버렸거든 다시 가서 취하지 말고,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버려 두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손으로 하는 범사에 복을 내리시리라. 네가 감람나무를 떤 후에 그 가지를 살피지 말고, 그 남은 것은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버려두며, 네가 네 포도원의 포도를 딴 후에 그 남은 것을 다시 따지 말고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버려두라.”

 

다시 말하면, 부스러기를 다 거두어 가지 말고, 없는 자들을 위하여 남겨 두라는 말씀이다. 그래야 불쌍한 자들이 굶어죽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 시대의 재산 없는 계층 중, 한 족속은 레위인들이었다. 제사장 지파에게는 별 다른 분깃 없이 십일조를 받아 생활하도록 했다. 그래서 다른 지파로부터 빌어먹어야 했다.

 

엘리야가 방황하여 배고플 때에 그를 먹여 살린 생물은 까마귀였다. 이는 하나님께서 먹여 살리신 것이다. 까마귀로도 먹여 살리는데 하물며 사람으로 못하실까? 어릴 때의 일이라 다 기억은 못하지만, 아버지의 고백은 대략 다음과 같다:

 

예배당 건물은 8평이고, 지붕은 함석(양철)이었다. 비가 새며, 교회당의 기둥은 비에 젖어 썩어 있었다. 황토로 된 벽은 비를 맞아 흙이 떨어져 속이 보였다. 지붕 위에는 동네 아이들이 던진 크고 작은 돌무더기가 되어 있었다. 교회의 마당은 동네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어 분탕 치며 살았다. 화장실이 있기는 했는데, 용변을 보기 힘든 곳이었다. 비가 오면 비를 맞아야 했다.


그래서 교회당보다 화장실 건축이 더 급했다. 교인들은 온전하게 다 믿으며 교회를 출석하는 가정은 한 집도 없었다. 믿다가 낙심한 사람들, 병들어 주저앉은 사람들, 흩어진 교인들 등 주인 없는 집 같았다. 그 당시에는 학원에 가는 아이들이 없었다. 그래서 어른들은 들에 나가고 아이들은 학교 다녀오면, 교회의 마당으로 와서 분탕 친다. 아버지는 동네의 아이들을 위한 목회를 구상했다.(중략)

 

어머니는 아무리 돈이 없어 어려워도 외상으로는 쌀이나 생필품을 가져오지 않았다. 없으면 없는 대로, 굶게 될 상황이면 굶고, “하나님께서 안 주시는 것 어찌합니까?”라는 믿음으로 나갔다. 아이들과 함께 일주일간을 쌀 한 톨, 국수 한단이 없어, /배추만 먹고 지냈다. 둘째 아들 은배(어릴 때 하늘나라로 간 내 동생)는 배탈이 났다. “아버지가 먹으라고 해서 먹었는데 배가 아프다는 것이었다. 배 아픈 것이 아버지 때문이란 말이다.


러던 어느 날, 교회에 다니지 않는 어느 분이 국수공장에 다니는데, 그 불신자 아저씨가 국수 한 궤짝을 가져왔다. 너무 고마웠다. 어느 날 우리 집에 국수를 갖다 준 분은 교회 다니지 않는 분이셨다.

 

자랑하고 싶어 하는 고백이 아니다. 우리 주변에는 좋은 경험들을 가진 분들이 있을 듯하다. 눈물 젖은 밥을 먹으며, 피 눈물을 흘리며 교회에 애정(愛情)을 가진 분들이 있을 것이다. 왜 학회는 이와 같은 분들의 의견들을 듣지 않는가? 서울대 졸업생이 아니기 때문인가? 해외 유학 필증이 없기 때문인가? 아니면 비트겐슈타인처럼 철강재벌의 아들이 아니어서 인가?

 

영국 유학이나 옥스퍼드로의 유학 경험이 없어서인가? 독일에서 귄터 보른캄에게 배운 학자가 아니어서 부르지 않는 것인가? 국립 의대를 다닌 신학자가 아니기 때문인가? 대학교 교수의 아들이 아니어서 인가? 타자를 위한 신학을 수준 높게 설명한 신학자가 아니어서 인가? 서울대나 이화여대를 다닌 학자가 아니어서 부르지 않는 것인가? 왜 부르지 않는 것인가?

 

공현배

페이스북 담벼락 글



?

  1. 영어와 디지털의 만남

        영어와 디지털의 만남   정보통신의 발달로 우리의 삶은 너무 나도 빠르게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스템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누구나 간단한 휴대폰 클릭 하나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물건을 살 수 있고, 돈을 보낼 수 있으며, 각종 예약을 하...
    Date2021.05.22 Byreformanda Reply0 Views561 file
    Read More
  2. 교회론 신학자 한스 큉 별세

        교회론 신학자 한스 큉 별세   로마가톨릭교회 신학자 한스 큉 박사(Hans Kung, 1928-2021)가 4월 6일 독일 튀빙겐 자택에서 향년 93세로 별세했다. 스위스인 큉은 활발한 저술활동을  해 온 로마가톨릭교회의 비판적 신학자이다.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
    Date2021.04.09 Byreformanda Reply0 Views805 file
    Read More
  3. 성공한 구테타는 처벌할 수 없다

      미얀마 시민/ 사진 An SueYe     성공한 구테타는 처벌할 수 없다    미얀마의 군부가 쿠테타로 정권을 잡았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에게 군경은 실탄을 발포하여 많은 사상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이 지금은 쿠테타 세력으로 불리지만 법개정을 통...
    Date2021.03.03 Byreformanda Reply0 Views620 file
    Read More
  4. 지독한 사랑, 팬데믹 시대에 생각해 본다

        지독한 사랑, 팬데믹 시대에 생각해 본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말미암아 일 년째 전 세계가 멈춰버린 느낌이다. 정부가 교회의 대면 예배를 규제하고 있다. 예배에 참석을 하려면 눈치를 봐야하는 상태이다. 아스라엘과 터기 여행은커녕 기독인들이 자기 ...
    Date2021.01.29 Byreformanda Reply0 Views630 file
    Read More
  5. 서양 8음계의 기원

    Harpsicod, BREAD CHAPEL   서양 8음계의 기원   우리의 조상들은 5음계를 사용하여 궁 상 각 치 우로 표기하였다. 오늘날 세계인이 사용하는 서양 8음계는 기독교의 유산이다. 10세기 말, 이탈리아의 기독교 성직자이며 음악가인 귀도 다레쵸(Guido d’Arezzo...
    Date2021.01.28 Byreformanda Reply0 Views1721 file
    Read More
  6. 큐알코드와 기독인의 시대분별

      큐알코드와 기독인의 시대분별   핀란드의 헬싱키 공항에 '코로나 19 탐지견'이 등장했다고 한다. 이 탐지견은 코로나 19 양성 환자의 확진 여부를 10초 안에 찾아내는 게 가능하고 특히 무증상 환자까지 찾아내는 능력을 가져 현재 시범 근무 중이라고 한...
    Date2021.01.14 Byreformanda Reply0 Views671 file
    Read More
  7. 박창환 목사의 고별사

        박창환 목시의 고별사   박창환 목사(1924-2020)는 장로회신학교(1948)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1989년까지 41년 동안 헬라어와 신약신학 교수로 봉직했다. 1924년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났다. 박경구 목사의 장남이며, 한국장로교회 최초 중국 파견 선교...
    Date2020.12.01 Byreformanda Reply0 Views1709 file
    Read More
  8.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의 개막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의 개막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가 개막했다. 코로나 19 이전에 이미 시작되었다.   <리포르만다>와 BREADTV가 함께 설계 운영하는 BREAD UNIVERSITY는 신학강의 공급선교 플랫폼이다. 동영상 신학강의를 가난한 나라들의 복...
    Date2020.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655 file
    Read More
  9. 수산나 이야기, 미투 사건의 원형

          수산나 이야기, 미투 사건의 원형   미모의 여인 수산나 이야기는 인류의 오래된 '미투 연루 사건’의 주인공이다. 로마가톨릭교회의 구약성경 외경 다니엘서 13장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권력 사회가 모함받은 피해자를 억울하게 하는 패턴의 원형이다.  ...
    Date2020.07.11 Byreformanda Reply0 Views1040 file
    Read More
  10. 연리근(連理根)과 단다(單多)

    연리근(連理根)과 단다(單多) 일식이 있던 시간에 등산을 하다가 우연히 위 그림의 나무들을 보았다. 두 나무의 뿌리가 붙어 있다. 연리근(連理根)이라고 한단다. 해발 약 300미터의 높이의 부산지역 장지산 등산로 기슭에 있다. 이 두 나무는 둘이면서 하나...
    Date2020.06.22 Byreformanda Reply0 Views823 file
    Read More
  11.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

    Photo: "George Floyd protests" in Wikip미국 dia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George Floyd Syndrome)은 2020년 5월 말에 시작하여 6월 초 현재까지 미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파괴적인 저항운동이다. 위조 지폐 사용자...
    Date2020.06.06 Byreformanda Reply0 Views1295 file
    Read More
  12. 어린이는 완전한 사람이다

    어린이는 완전한 사람이다 가정의 달 앙코르 글 1. 덜 자란 어른 텔레비전 프로그램 “경찰청 사람들”은 “덜 자란 어른”이라는 제목으로 실제 사건 하나를 극화하여 방영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6년간 대학과 대학원을 다닌 사람이 귀국하여 편의...
    Date2020.05.25 Byreformanda Reply0 Views770 file
    Read More
  13. 올랍 라첼: 용감하게 싸우는 독일 목사

    올랍 라첼: 용감하게 싸우는 독일교회 목사   소년 시절에 내가 본 드라큘라 영화 가운데 주인공의 의사 할아버지가 칼을 들고 드라큘라와 용감하게 싸우는 장면이 있었다. 매우 감동적이었다. 나도 그런 사람이 되리라 결심했다. 50년 이상이 지났음에도 지...
    Date2020.05.13 Byreformanda Reply0 Views1342 file
    Read More
  14. 왜 동성애는 하나님의 형상됨을 가로막는가?

    왜 동성애는 하나님의 형상됨을 가로막는가?   하나님 형상’이란 말을 ‘있는 모습 그대로’ 혹은 ‘좋은 게 좋은 거’라는 식으로 덕담처럼 쓰는데 잘 알고 써야 한다. 호모, ‘호모’란 말은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게이, 레즈비언 등 모든 유형의 동성애자를 비하...
    Date2020.05.05 Byreformanda Reply0 Views1011 file
    Read More
  15. 희망이라는 축복

    희망이라는 축복 희망은 우리의 영혼 속에 살짝 걸터 앉아 있는 한 마리 새와 같습니다 행복하고 기쁠때는 잊고 살지만 마음이 아플때 절망할 때 어느덧 곁에 와 손을 잡습니다 희망은 우리가 열심히 일하거나 간절히 원해서 생기는게 아닙니다 상처에 새살이...
    Date2020.05.05 By123123 Reply0 Views65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