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1220 추천 수 1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영성있는 선교사를 기대한다. 



가끔 선교사들이 귀국하여 선교보고를 한다. 솔직히 나는 선교사들이 얼마나 큰일을 하고 있으며, 얼마나 큰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는지 듣고 싶지 않다. 그들이 선교 현장에서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을 깊이 묵상하고 실천하는지, 그들이 그 선교 현장에서 어떻게 영성을 키워갔는지를 알고 싶다. 


선교현장은 영적 싸움터이다. 선교현장은 선교사 홀로 모든 상황을 대처해 나가야 한다. 혼자 판단하고, 혼자 결단하고, 혼자 실행해 나가야 한다. 그곳에는 시어머니 노릇 하는 사람도 없고 오직 선교사 혼자 모든 일을 감당해야 한다. 무수히 많은 일거리가 있지만, 자신의 영혼을 위하여 돌아볼 시간도 충분하다. 그러나 많은 프로젝트와 큰일에 휩싸이다 보면 자신의 영혼을 돌아볼 시간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선교사는 하나님의 종이다. 종이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인 태도는 욕심이 아니라 순종이다. 그런데 어떤 종들은 자기 욕심, 자기 비전에 함몰되는 경우를 종종 본다. 이왕이면 보다 큰일을 하고 싶고, 더욱 크게 쓰임 받고 싶어 하는 것은 누구나 가진 공통의 마음이다. 그러나 주인이신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선교사 개인의 욕심과 야망과 비전을 이루어가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의 비전이다. 흔히들 나의 비전을 하나님의 비전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면 하나님의 비전은 무엇일까? 후원 교회에 자신이 얼마나 크고 놀라운 일을 하는지를 보고하려는 생각보다는 선교지에서 살아가는 형제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것이 최우선이 아닐까? 한국 교회에서도 대형교회의 폐해가 적지 않거늘, 선교지에서 엄청난 공사를 하고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폐해 또한 적지 않다. 오히려 하나님의 종 답게 말씀을 깊이 묵상하고 영성있는 지도자가 될 수는 없는가? 인도의 레슬리 뉴비긴 같은 선교사처럼 한국에 돌아와 세속에 쪄들고 매너리즘에 빠져있는 교회를 질타하는 영적 지도자는 없는가? 어떻게 하면 후원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을까? 온갖 궁리를 하는 모습을 보는 것은 정말 가슴 아프다. 인간적으로 보면 굉장히 훌륭한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겉껍데기 사역인 것이 금방 드러난다.  


난 정말 말씀에 깊이가 있는, 사역 현장에서 하나님의 뜻을 온전히 깨달아 실천하는 참으로 귀한 하나님의 종을 보고 싶다. 크고 놀라운 일을 진행하는 선교사는 자주 본다. 그러나 말씀의 깊은 깨달음과 영성을 갖춘 선교사는 참 보기 힘들다. 


선교 사역 현장이든, 목회 사역 현장이든 하나님의 말씀 앞에 겸손하게 무릎 꿇는 종이 가장 훌륭한 종이다. 얼마나 큰 교회 목회를 하느냐, 얼마나 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선교사냐 하는 것은 정말 아무것도 아닌 것 같다. 그것은 결코 하나님의 평가 대상이 아닌듯하다. "그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을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할지어다"(마25:23)


1385740_222514567908196_71845274_n.jpg

?
  • ?
    dschoiword 2016.10.20 15:47
    나는 선교사들이 학교 병원 구호기관을 세우고 거대한 선교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는 이야기보다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을 실천했는지, 영성을 키우고 영향을 미쳤는지, 몇 사람을 생명의 빵이신 예수 그리스도에게 인도했는지, 예수 믿게 했는지, 그 이야기를 듣고 싶다.
  • ?
    harlaban 2016.11.04 20:25
    선교사의 한사람으로 부끄럽습니다. 하지만 이글을 작성하신분은 선교사의 영성을 위해 얼마나 애를 쓰셨느지요? 돈 몇푼쥐어주고 보고서 보내라고 독촉 한적 없으신지, 글구 목회 현장에서도 영성 깊은 목회를 하시고 계시는지 감히 묻고싶습니다.

  1. 영어와 디지털의 만남

        영어와 디지털의 만남   정보통신의 발달로 우리의 삶은 너무 나도 빠르게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스템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누구나 간단한 휴대폰 클릭 하나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물건을 살 수 있고, 돈을 보낼 수 있으며, 각종 예약을 하...
    Date2021.05.22 Byreformanda Reply0 Views561 file
    Read More
  2. 교회론 신학자 한스 큉 별세

        교회론 신학자 한스 큉 별세   로마가톨릭교회 신학자 한스 큉 박사(Hans Kung, 1928-2021)가 4월 6일 독일 튀빙겐 자택에서 향년 93세로 별세했다. 스위스인 큉은 활발한 저술활동을  해 온 로마가톨릭교회의 비판적 신학자이다.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
    Date2021.04.09 Byreformanda Reply0 Views805 file
    Read More
  3. 성공한 구테타는 처벌할 수 없다

      미얀마 시민/ 사진 An SueYe     성공한 구테타는 처벌할 수 없다    미얀마의 군부가 쿠테타로 정권을 잡았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에게 군경은 실탄을 발포하여 많은 사상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이 지금은 쿠테타 세력으로 불리지만 법개정을 통...
    Date2021.03.03 Byreformanda Reply0 Views620 file
    Read More
  4. 지독한 사랑, 팬데믹 시대에 생각해 본다

        지독한 사랑, 팬데믹 시대에 생각해 본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말미암아 일 년째 전 세계가 멈춰버린 느낌이다. 정부가 교회의 대면 예배를 규제하고 있다. 예배에 참석을 하려면 눈치를 봐야하는 상태이다. 아스라엘과 터기 여행은커녕 기독인들이 자기 ...
    Date2021.01.29 Byreformanda Reply0 Views630 file
    Read More
  5. 서양 8음계의 기원

    Harpsicod, BREAD CHAPEL   서양 8음계의 기원   우리의 조상들은 5음계를 사용하여 궁 상 각 치 우로 표기하였다. 오늘날 세계인이 사용하는 서양 8음계는 기독교의 유산이다. 10세기 말, 이탈리아의 기독교 성직자이며 음악가인 귀도 다레쵸(Guido d’Arezzo...
    Date2021.01.28 Byreformanda Reply0 Views1721 file
    Read More
  6. 큐알코드와 기독인의 시대분별

      큐알코드와 기독인의 시대분별   핀란드의 헬싱키 공항에 '코로나 19 탐지견'이 등장했다고 한다. 이 탐지견은 코로나 19 양성 환자의 확진 여부를 10초 안에 찾아내는 게 가능하고 특히 무증상 환자까지 찾아내는 능력을 가져 현재 시범 근무 중이라고 한...
    Date2021.01.14 Byreformanda Reply0 Views671 file
    Read More
  7. 박창환 목사의 고별사

        박창환 목시의 고별사   박창환 목사(1924-2020)는 장로회신학교(1948)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1989년까지 41년 동안 헬라어와 신약신학 교수로 봉직했다. 1924년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났다. 박경구 목사의 장남이며, 한국장로교회 최초 중국 파견 선교...
    Date2020.12.01 Byreformanda Reply0 Views1709 file
    Read More
  8.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의 개막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의 개막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가 개막했다. 코로나 19 이전에 이미 시작되었다.   <리포르만다>와 BREADTV가 함께 설계 운영하는 BREAD UNIVERSITY는 신학강의 공급선교 플랫폼이다. 동영상 신학강의를 가난한 나라들의 복...
    Date2020.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655 file
    Read More
  9. 수산나 이야기, 미투 사건의 원형

          수산나 이야기, 미투 사건의 원형   미모의 여인 수산나 이야기는 인류의 오래된 '미투 연루 사건’의 주인공이다. 로마가톨릭교회의 구약성경 외경 다니엘서 13장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권력 사회가 모함받은 피해자를 억울하게 하는 패턴의 원형이다.  ...
    Date2020.07.11 Byreformanda Reply0 Views1040 file
    Read More
  10. 연리근(連理根)과 단다(單多)

    연리근(連理根)과 단다(單多) 일식이 있던 시간에 등산을 하다가 우연히 위 그림의 나무들을 보았다. 두 나무의 뿌리가 붙어 있다. 연리근(連理根)이라고 한단다. 해발 약 300미터의 높이의 부산지역 장지산 등산로 기슭에 있다. 이 두 나무는 둘이면서 하나...
    Date2020.06.22 Byreformanda Reply0 Views823 file
    Read More
  11.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

    Photo: "George Floyd protests" in Wikip미국 dia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George Floyd Syndrome)은 2020년 5월 말에 시작하여 6월 초 현재까지 미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파괴적인 저항운동이다. 위조 지폐 사용자...
    Date2020.06.06 Byreformanda Reply0 Views1295 file
    Read More
  12. 어린이는 완전한 사람이다

    어린이는 완전한 사람이다 가정의 달 앙코르 글 1. 덜 자란 어른 텔레비전 프로그램 “경찰청 사람들”은 “덜 자란 어른”이라는 제목으로 실제 사건 하나를 극화하여 방영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6년간 대학과 대학원을 다닌 사람이 귀국하여 편의...
    Date2020.05.25 Byreformanda Reply0 Views770 file
    Read More
  13. 올랍 라첼: 용감하게 싸우는 독일 목사

    올랍 라첼: 용감하게 싸우는 독일교회 목사   소년 시절에 내가 본 드라큘라 영화 가운데 주인공의 의사 할아버지가 칼을 들고 드라큘라와 용감하게 싸우는 장면이 있었다. 매우 감동적이었다. 나도 그런 사람이 되리라 결심했다. 50년 이상이 지났음에도 지...
    Date2020.05.13 Byreformanda Reply0 Views1342 file
    Read More
  14. 왜 동성애는 하나님의 형상됨을 가로막는가?

    왜 동성애는 하나님의 형상됨을 가로막는가?   하나님 형상’이란 말을 ‘있는 모습 그대로’ 혹은 ‘좋은 게 좋은 거’라는 식으로 덕담처럼 쓰는데 잘 알고 써야 한다. 호모, ‘호모’란 말은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게이, 레즈비언 등 모든 유형의 동성애자를 비하...
    Date2020.05.05 Byreformanda Reply0 Views1011 file
    Read More
  15. 희망이라는 축복

    희망이라는 축복 희망은 우리의 영혼 속에 살짝 걸터 앉아 있는 한 마리 새와 같습니다 행복하고 기쁠때는 잊고 살지만 마음이 아플때 절망할 때 어느덧 곁에 와 손을 잡습니다 희망은 우리가 열심히 일하거나 간절히 원해서 생기는게 아닙니다 상처에 새살이...
    Date2020.05.05 By123123 Reply0 Views65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