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텡지.jpg

 

 

아시아에서 되살아나는 신학 망령

 

 

아래의 글은 마닐라에서 사역하는 어느 한국인 선교사의 2015년 5월 1일 자 선교편지의 일부이다. 오랜 역사를 가진 현지의 신학교(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구약신학을 가르치는 분이다. 유럽교회를 황폐화 시킨 신학적 망령이 아시아에서 되살아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아시아권 교회들의 황폐화를 걱정한다. 

 

이 글은 "20세기 복음주의와 장로교 개혁파 전통을 대변하던 캐나다의 리젠트칼리지(Regent College)와 미국 달라스신학교(Dallas Theological Seminary), 심지어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출신 교수들이 오히려 성경에 대한 비평학적 해석을 옹호하는 점이다"라고 한다. 리젠트칼리지, 달라스신학교, 웨스트민스터신학교, 복음적인 아시아신학연맹 회원 신학교들도 자유주의화 물결에 휩쓸려 있고, 신뢰할 수 없다고 한다.

 

복음적이고 정통적인 신학을 표방하는 신학교를 졸업한 자라고 하여 신학적으로 안전하거나 신뢰할만하다고 볼 수 없다. 이 말은 자유주의 신학을 지향하는 학교 출신이라고 하여 정통적일 수 없다고 단정할 수 없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웨스트민스터신학교는 한국 장로교계에 익숙한 학교이다. 이곳에서 수학한 한국인 목사들과 교수들이 한국교회 안에서는 신학적으로 신뢰할만하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근년에 이르러 졸업생들 가운데는 자유주의 신학을 가르치는 신학자도 있고, WCC 운동에 적극적인 목사들도 있고 , 신학적 포용주의 또는 신앙무차별주의 신학 태도를 보이는 자들도 있다. 이들이 수학한 학교가 변질되었다는 의미도 담고 있지만, 어쨌든 그들이 수학한 신학교의 명성만을 가지고 졸업생 사역자들의 신학 입장을 판단할 때가 아님을 의미한다.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힐 수 있다. 유럽이나 미국에서 신학을 공부한 신학교수들을 무조건 신뢰하고 구성원으로 받아들이기 전에 거쳐야 할 단계가 있다. 신학검증이다. 성경관, 성경비평학, 개혁신학 구원론에 대한 확실한 확인이 필요하다. 선교 현장에서 신학의 변화를 진지하게 걱정하는  아래의 글은 왜 이러한 과정이 필요한가를 말해 준다.

 

***

 

제가 가르치는 신학교(신학대학원대학교)는 마닐라에 있으며, 교수진은 초교파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경의 권위 인정 아래 성경연구를 강조하는 학교로 알려져 왔습니다. 그것이 장점이고, 그러한 이유로 성경전공 교수들이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학문 중심의 신학교인지라, 신학 입장과 연구방법에 있어 종종 다른 견해가 존재하는 건 당연하지만, 자신의 기반인 정통신학을 경시하고 부정하는 단계에 까지 이르는 상황에선 큰 문제로 다가옵니다. 말씀을 다루는 신학은 결국 신앙고백의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신학교육 상황을 더욱 난처하게 만드는 것은, 20세기 복음주의와 장로교 개혁파 전통을 대변하던 캐나다의 리젠트칼리지(Regent College)와 미국 달라스신학교(Dallas Theological Seminary), 심지어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출신 교수들이 오히려 성경에 대한 비평학적 해석을 옹호하는 점입니다. 방법이 마치 가장 합리적이며, 객관적이고, 최고 수준의 학술적 실적인 것처럼 호도합니다.

 

이분들의 공통적 특징은 기도와 성령님 등 영적 세계에 대해선 관심이 전무한 점입니다. 반면에 자칭 이성적인 실증주의적 사고로 성경을 다룹니다. 공산주의 무신론 체제하에서 생활하다 대학에서 복음을 듣고 신학을 결심한 학생들에게는, 일부이기는 하지만, 아주 합리적이고 수준 있게 보여 집니다. 우리가 그토록 경계하는 공산당 삼자신학에 비견해도 그다지 차이가 없는 시각으로 성경연구와 해석을 하는데도 말입니다.

 

심지어 석사와 박사 수업을 진행하는 아시아신학대학원(AGST: Asia Graduate School of Theology)에서도 성경의 정경론과 영감론은 아예 제껴졌습니다. 이 학교의 교수진은 예측한 대로 대부분 유럽과 미주 출신이거나 그 지역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공부한 한 분들입니다. 보수적이라고 하는 아시아신학연맹(ATA: Asia Theological Association) 산하의 아시아신학대학원(AGST)이 이러하니, 보수적이지 않은 학교들의 상태는 어떠하겠습니까. 아시아권 신생 교회들의 미래가 심히 걱정이 됩니다.

 

자유주의 신학은 지난 3세기동안 유럽교회를 와해시키고 미국교회를 혼돈케 만들었습니다. 20세기 중반에 들어서서 고고학의 발견으로 말미암아 고등비평학이 백기투항을 했고, 상당한 자이비판의 시간을 가졌음에도, 생뚱맞게 복음주의권 신학교들에서는 교회를 황폐화 시킨 그 신학적 망령이 광명의 천사로 둔갑하여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시아 권 교회들과 신학교들은 종교개혁500주년 기념행사로 분주합니다. 그러나 정작 당사자인 유럽의 교회들과 신학교들은 아예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유럽교회는 16세기 루터와 칼빈, 존 낙스라는 인물의 이름을 역사적 유산으로 가지고 있을 뿐, 400년이 지난 지금에 이르러 그들의 신앙과 신학은 무의미합니다.

 

유럽 교회가 황폐하게 된 원인은 다름 아닌 자유주의 신학에 의해 루터와 칼빈이 회복했던 성경의 권위와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역사와 교회의 사명이 철저하게 난도질당한 것입니다. 이것이 유럽교회의 몰락을 초래했습니다. 오늘날 유럽에서 루터와 칼빈은 한 시대의 역사적 인물들로만 치부되고 있습니다.

 

우리 학교에는 전공 과목이 정해져 있는지라, 전체 학생들에게 이 사실을 설득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정통신앙과 개혁 신학의 유산을 올곧게 지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말씀을 맡은 자로서의 책임을 다시금 통감하며, 부패한 인간의 이성적 사고를 뛰어넘는 성령님의 감동과 긍휼하심을 더욱 간절히 사모합니다.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
    주말씀 2016.10.03 03:08
    거짓신학은 저주이다!!! 왜 알려고 하지 않는가????
    전 세계의 신학은 마귀의 역사였다.
    2000년을 거짓말에 놀아난 교회....
    원죄론, 사단창조론, 부활론, 구원론, 율법과 계명의 신학이 거짓말이었다.
    그런데 왜 신학자들과 목사들이 거짓신학을 말하지 않는가?
    거짓신학을 알지 못하기 때문인가?
    자신들이 거짓말에 놀아난 것이 부끄럽기 때문인가?
    거짓신학을 배웠다고 말하면 교회에서 쫓겨나고, 노회, 총회에서 쫓겨나기
    때문인가?
    그것이 불 못에 가는 것보다 더 무서운가?
    http://blog.naver.com/junek43 /http:// cafe.naver.com/junek43

  1. 어거스틴 은총론과 칼빈주의 구원론

        어거스틴 은총론과 칼빈주의 구원론   브니엘신학교의 총장 최덕성 교수의 ‘구원론’ 강의(2020 가을)는 시종 ‘어거스틴의 은총론’과 관련되면서 진행되었다. 어거스틴의 은총론과 칼빈주의 구원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강의의 초점은 인간의 원죄, 하나...
    Date2021.01.25 Byreformanda Reply0 Views2504 file
    Read More
  2.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의 충격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의 충격     나는 브니엘신학교가 2020년 가을 학기에 개설한 신학대학원 과정의 교회론(최덕성 교수)과 한국교회사(황대우 교수)를 수강했다. 교회사를 교회론의 관점으로, 한국교회사를 성경과 개혁신학을 기준삼아 평가하는, 교회...
    Date2021.01.16 Byreformanda Reply0 Views909 file
    Read More
  3. 현대 교회에도 권징이 필요한가?

        현대 교회에도 권징이 필요한가?   브니엘신학교 신학대학원의 교의학 교회론 강의(2020 가을)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유익하게 마무리되었다. 최덕성 교수는 교회론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역사적 신학적 교회론적 사실들을 일목요연하게 ...
    Date2021.01.13 Byreformanda Reply0 Views896 file
    Read More
  4. 여성목사 장립의 근거,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파)

        여성목사 장립의 근거,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파)   예장 고신교단의 자매 교회인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파, 속칭 31조파)는 여성 목사, 여성장로, 여성 집사 안수 제도를 도입했다. 이 교회의 여성안수 곧 여성 목사 장립에 대한 2011년 보고서는 그들...
    Date2020.09.11 Byreformanda Reply1 Views2800 file
    Read More
  5. 교회론과 예배론을 재정립하라

      釋迦,Cherry Moya (사진 Esther Lee )   교회론과 예배론을 재정립하라   예장 고신 총회 지도부가 개회 예배를 드리면서 온라인 성찬을 하기로 했다고 하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   총회가 성찬을 하는 것이 옳은가 하는 지적은 신학교가 '교회'이며 따라서...
    Date2020.09.08 Byreformanda Reply0 Views975 file
    Read More
  6. 자살하면 지옥 가는가?

        자살하면 지옥 가는가?   자살하면 지옥가는가? 이 질문은 하나님의 견인(堅忍)의 은혜 안에 있는 자는 자살하지 않는가 하는 질문과 자살하면 은혜로 받은 칭의(稱義)가 취소되는가 하는 의문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글은 자살을 신학 주제로 다루는 분들의...
    Date2020.08.17 Byreformanda Reply0 Views3723 file
    Read More
  7. 성경은 방언(glossolalia)을 지지하는가?

        성경은 방언(glossolalia)을 지지하는가?  편집 중이나 옮기지 마십시오.     첫번째 글: 사도행전의 방언   1. 한국교회에 성행하는 방언(glossolalia)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하버드대학교 인류학자 니콜라스 하크네스 교수는 최근 여의도순복음...
    Date2020.07.19 Byreformanda Reply0 Views1835 file
    Read More
  8.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규칙(1943)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1943 출범)은 한국 기독교의 배교 전력의 한 단면이다. 이 교회 조직의 규정은 일제말기의 한국교회를 훼절, 변절했다고 하는 따위의 용어로  설명하고 규정함이 타당하...
    Date2020.06.30 Byreformanda Reply1 Views1670 file
    Read More
  9. 한국교회는 훼절이 아니라 배교했다

    한국교회는 훼절이 아니라 배교했다 원제: 신사참배거부운동의 교회관   한국의 일부 교회사가들은 예장 고신 교회를 완전주의 교회관과 관련시킨다. '고신파'가 분리주의를 연상시키며, 그 시원(始原)을 신사참배거부운동이 기성교회에 항거하여 독자적인 교...
    Date2020.06.10 Byreformanda Reply0 Views1698 file
    Read More
  10. 총신대학교의 바벨론 포로 시대

     총신대학교 교정 (사당동) 총신대학교의 바벨론 포로 시대      1. 해임 결정을 즉각 취소하라   최근 총신대학교의 이사회(관선임시이사회)는 신학대학원에서 교의학-윤리학을 가르치는 이상원 교수를 해임시켰다. 징계위원회가 결의한 것을 받아 확정하고 ...
    Date2020.06.04 Byreformanda Reply0 Views1812 file
    Read More
  11. 교회의 국가지배 저항사

    사랑의교회, 서울 교회의 국가지배 저항사   1. 장로교 언약도 '교회의 바벨론 포로 시대'는 로마교회의 교황청이 1309년부터 1376년까지 프랑스 아비뇽에 머물렀던 73년 동안 세속 권력의 꼭두각시 역할을 한 시기를 일컫는다. 교회가 프랑스 왕권에 굴복한 ...
    Date2020.05.31 Byreformanda Reply0 Views881 file
    Read More
  12. 교회의 바벨론 포로 시대

    로마교회의 교황청(프랑스 아비뇽, 감옥형태의 건물) 교회의 바벨론 포로 시대     1. 중세교회의 구습, 변화하는 세상   구약시대 북조 이스라엘은 앗수르에 의해 멸망당하고 남왕조 유다는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했다. 전체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서...
    Date2020.05.28 Byreformanda Reply0 Views1533 file
    Read More
  13. 예수는 헬라어로 가르친 적이 있는가?

    예수는 헬라어로 가르친 적이 있는가?   예수는 갈릴리 출신이다. 모국어는 아람어였다. 예수와 요셉과 마리아는 아람어를 사용했다. 제자들도 아람어를 사용했다.오늘날 예루살렘 성 안에 사는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람어로 예배를 드린다. 고대 아람어 방언으...
    Date2020.05.14 Byreformanda Reply0 Views2345 file
    Read More
  14. 유비쿼터스 방언, 코로나 플랫폼

    유비쿼터스 방언, 코로나 채널 1. 개종한 이방인, 입교한 유대인 위경 <유디스>(Judith, BC 100경 추정)는 암몬인이 유대인으로 신분을 바꾼 이야기를 소개한다. 암몬 족속 장수 아키오르가 할례를 받고 유대인이 되었다(유디스 14:10). 미모의 유대인 여인 ...
    Date2020.05.03 Byreformanda Reply0 Views1100 file
    Read More
  15. 최덕성 교수와 한국교회의 칭의론 논쟁

    최덕성 교수와 한국교회의 칭의론 논쟁 고경태 박사 (총신대학교 교수) 1. 들어가는 말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교회당 정문에 게시한 95개 반박문(1517)은 교회와 세계 역사를 바꾸었다. 루터는 이신칭의 교리를 교회의 서고 넘어짐의 조항(articulus sta...
    Date2020.04.12 Byreformanda Reply0 Views164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