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예일법대 봄.jpg 

예일대학교 , 봄  풍경

 

대학이 사라진다

 

대학이 사라지고 있다. 대학교육산업이 소멸하고 있다소멸 이유는 인구감소와 학령인구의 축소 뿐만이 아니다. 주 요인은 정보전달과 교육방식의 혁신적인 변화 때문이다

 

교육개혁이 쓰나미처럼 다가온다. 컴퓨터인터넷모바일글로벌브레인, Ubi, CBI 등 대학 대체 신기술이 등장했다.  MOOC, 위키피디어글로벌브레인구글안경, Ubi(음성검색기), CBI (컴퓨터뇌 인터페이스), iThink(애플 지식뇌 업로드기술등 교육개혁이 쓰나미처럼 다가온다.

 

인터넷으로 배우는 학생이 폭발적으로 많아지고 있다교육은 교육을 받을 당사자인 신세대들에게 편리한 방향으로 바뀌게 마련이다.  젊은이들은 교실 칠판 앞에서 배우기를 거부한다현재의 인터넷 인구는 20억 명이지만 2020년이면 40억 명으로 늘어난다.

 

성인이 교육방식을 결정하는 시대는 지나갔다. 많은 학생들이 인터넷을 수단으로 하여 필요한 것들을 배우려 한다. 기존 방식으로 교육하는 학교에서 배우려 하지 않는다.

 

기술발전은 메트릭스 영화에서처럼 뇌에 신경망을 꽃아 지식을 다운받는 형태를 선호하게 한다급변하는 수요에 따라 수많은 글로벌기업들이 새로운 전략을 세우고 있다대규모 기업체인 구글은 글로벌 브레인을 만들고 있다

 

구글에 들어가면 모든 지식과 정보를 무료로 꺼내볼 수 있다. 전 세계 1위 기업인 애플은 아이씽크(iThink)라는 뇌에 꽂는 신경망을 만들어 지식을 다운로드 받게 하려 하고 한다사원을 채용하는 기업은 독자적인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직접 교육시키고 채용한다.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는 무료로 다양한 지식이나 정보를 얻고 배울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자격증까지 주는 1년 과정의 나노 학위가 나왔다기술의 급격한 변화로 말미암아 4년제 대학 과정의 1학년 때 배운 것이 2학년 때는 무용지물이 된다

 

미국에서는 3-6개월 동안 공부하는 ‘마이크로 칼리지가 성행한다고 한다기존 대학교들이 아무리 반발하고 거부하고 불평을 토로해도대학교의 소멸은 필연적이다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라는 2030년에 지구촌 대학교의 절반이 소멸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급속한 변화의 이유 가운데 하나는 인간 수명의 연장이다종래에는 60세가 평균 수명이었다젊을 때 교육을 받고 걷어치운다는 개념이었다

 

그러나 기술변화는 인간의 평균수명을 130세 시대로 진입시켰다이 과정에서 평생교육의 개념이 도입되었다여기에 무료 MOOC나 글로벌브레인 등 지식 정보를 무상 제공하는 창구가 늘어났다

 

대학교육산업은 인터넷 온라인교육 글로벌브레인 등 신기술 때문에 소멸 수순을 밟고 있다. 많은 수의 대학 교수가 필요하지 않은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대한민국 교육부는 2014년에 ‘대학구조개혁 추진계획’(2014.1.28.) 발표했다. 2023년까지 대학의 정원을 16만 명으로 줄이겠다고 선언했다

 

교육부가 발표한 대학구조개혁의 주요 골자는 대학정원 감축이다대학평가를 통해 대학을 등급화 하고등급별로 정원을 차등 감축하게 한다. 일부 대학교는 폐교시킬 방침이다

 

교육부는 여러 차례의 공청회 후 2014 12 23일에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을 최종 발표했다대학구조개혁 평가지표를 확정했다.

 

교육부는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구조조정을 본격화해 왔다상반기 동안 대학별 경쟁력 평가를 완료하고 등급에 따라 구조개혁에 들어갔다전체 대학교들을 대상으로 자체 평가와 현장 평가를 실시해 왔다

 

교육부는 대학 평가 등급에 따라 정원을 감축을 시키고사회 수요에 맞게 기존학과를 특성화된 학과로 개편하도록 하고 있다최하위 그룹 대학교는 소멸시킨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등을 통해 운영되는 학점은행제 수요를 대학 안으로 흡수하여 ‘성인 단과대학’(학부)’를 만들려고 한다현재 학점은행제평생교육제도의 수요는 약 8만 명 정도이다평생교육 수요를 대학 안으로 끌어들이면 대학 구조조정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대학은 학령인구 감소로 어차피 정원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교육부의 대학 정원 감축을 유도하기 위한 포석은 산업수요 중심 정원조정 선도대학'이나 '성인학부신설 계획이다. 대학 구조개혁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축소한다는 것이다.

 

학령인구 감소로 어차피 정원을 줄여야 하는 마당에 학점 은행제 수요를 대학 안으로 흡수한다는 것이다. 정원을 줄이면서도 남는 교수나 시설을 활용하여 성인학부로 개편함으로 생기는 충격을 줄이고 평생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한다.

 

교육부는 대학들을 통폐합시킬 예정이다. 인문 사회 등 기초학문 학과의 통폐합이 우선 대상이다경영이 부실한 대학들은 새 주인에게 학교를 넘겨주지 않을 수 없다. '대학 줍기'가 가능한 시절이 도래했다.

 

이렇게 하여 서서히 대학은 사라진다교육받을 인구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대학교육 산업은 인터넷교육산업으로 바뀌고거의 무료화 된다이 변화는 피할 수 없다대학을 건물로 이해하는 시대는 지나갔다

 

신학교육도 마찬가지이다. 정원미달 신학대학원이 대폭 증가되고 있다소프트웨어 파워(software power)의 중요성을 인지하는 학교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명성을 지닌 소수 학교들과 직접 교육이 불가피한 의학, 간호학 등 몇몇 전공 분야의 학업은 예외일 것이지만 말이다.

 

최덕성

 

최덕성은 지형변화를 겪고 있는 현대 기독교의 급격한 퇴락을 바라보면서구원의 복음을 대량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전할 방안 마련에 동참할 협력자를 찾고 있다.  현재 브니엘신학교 총장(2013-)이며, 교의학 석좌교수이다고신대학교-고려신학대학원 교수(1989-2009),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1997-1998)였다.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 <빛나는 논지 신나는 논문쓰기>, <에큐메니칼 운동과 다원주의>, <정통신학과 경건>, <신학충돌>, <교황신드롬>, <KOREAN CHRISTIANITY> , <위대한 이단자들> 등 약 20권을 저술했다미국 예일대학교(STM), 에모리대학교(Ph.D.)를 졸업했다. 한국복음주의신학회로부터 '신학자대상'(2001)을 수상했다.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어거스틴 은총론과 칼빈주의 구원론

        어거스틴 은총론과 칼빈주의 구원론   브니엘신학교의 총장 최덕성 교수의 ‘구원론’ 강의(2020 가을)는 시종 ‘어거스틴의 은총론’과 관련되면서 진행되었다. 어거스틴의 은총론과 칼빈주의 구원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강의의 초점은 인간의 원죄, 하나...
    Date2021.01.25 Byreformanda Reply0 Views2597 file
    Read More
  2.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의 충격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의 충격     나는 브니엘신학교가 2020년 가을 학기에 개설한 신학대학원 과정의 교회론(최덕성 교수)과 한국교회사(황대우 교수)를 수강했다. 교회사를 교회론의 관점으로, 한국교회사를 성경과 개혁신학을 기준삼아 평가하는, 교회...
    Date2021.01.16 Byreformanda Reply0 Views956 file
    Read More
  3. 현대 교회에도 권징이 필요한가?

        현대 교회에도 권징이 필요한가?   브니엘신학교 신학대학원의 교의학 교회론 강의(2020 가을)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유익하게 마무리되었다. 최덕성 교수는 교회론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역사적 신학적 교회론적 사실들을 일목요연하게 ...
    Date2021.01.13 Byreformanda Reply0 Views933 file
    Read More
  4. 여성목사 장립의 근거,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파)

        여성목사 장립의 근거,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파)   예장 고신교단의 자매 교회인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파, 속칭 31조파)는 여성 목사, 여성장로, 여성 집사 안수 제도를 도입했다. 이 교회의 여성안수 곧 여성 목사 장립에 대한 2011년 보고서는 그들...
    Date2020.09.11 Byreformanda Reply1 Views2856 file
    Read More
  5. 교회론과 예배론을 재정립하라

      釋迦,Cherry Moya (사진 Esther Lee )   교회론과 예배론을 재정립하라   예장 고신 총회 지도부가 개회 예배를 드리면서 온라인 성찬을 하기로 했다고 하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   총회가 성찬을 하는 것이 옳은가 하는 지적은 신학교가 '교회'이며 따라서...
    Date2020.09.08 Byreformanda Reply0 Views1028 file
    Read More
  6. 자살하면 지옥 가는가?

        자살하면 지옥 가는가?   자살하면 지옥가는가? 이 질문은 하나님의 견인(堅忍)의 은혜 안에 있는 자는 자살하지 않는가 하는 질문과 자살하면 은혜로 받은 칭의(稱義)가 취소되는가 하는 의문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글은 자살을 신학 주제로 다루는 분들의...
    Date2020.08.17 Byreformanda Reply0 Views3776 file
    Read More
  7. 성경은 방언(glossolalia)을 지지하는가?

        성경은 방언(glossolalia)을 지지하는가?  편집 중이나 옮기지 마십시오.     첫번째 글: 사도행전의 방언   1. 한국교회에 성행하는 방언(glossolalia)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하버드대학교 인류학자 니콜라스 하크네스 교수는 최근 여의도순복음...
    Date2020.07.19 Byreformanda Reply0 Views1895 file
    Read More
  8.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규칙(1943)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1943 출범)은 한국 기독교의 배교 전력의 한 단면이다. 이 교회 조직의 규정은 일제말기의 한국교회를 훼절, 변절했다고 하는 따위의 용어로  설명하고 규정함이 타당하...
    Date2020.06.30 Byreformanda Reply1 Views1719 file
    Read More
  9. 한국교회는 훼절이 아니라 배교했다

    한국교회는 훼절이 아니라 배교했다 원제: 신사참배거부운동의 교회관   한국의 일부 교회사가들은 예장 고신 교회를 완전주의 교회관과 관련시킨다. '고신파'가 분리주의를 연상시키며, 그 시원(始原)을 신사참배거부운동이 기성교회에 항거하여 독자적인 교...
    Date2020.06.10 Byreformanda Reply0 Views1745 file
    Read More
  10. 총신대학교의 바벨론 포로 시대

     총신대학교 교정 (사당동) 총신대학교의 바벨론 포로 시대      1. 해임 결정을 즉각 취소하라   최근 총신대학교의 이사회(관선임시이사회)는 신학대학원에서 교의학-윤리학을 가르치는 이상원 교수를 해임시켰다. 징계위원회가 결의한 것을 받아 확정하고 ...
    Date2020.06.04 Byreformanda Reply0 Views1843 file
    Read More
  11. 교회의 국가지배 저항사

    사랑의교회, 서울 교회의 국가지배 저항사   1. 장로교 언약도 '교회의 바벨론 포로 시대'는 로마교회의 교황청이 1309년부터 1376년까지 프랑스 아비뇽에 머물렀던 73년 동안 세속 권력의 꼭두각시 역할을 한 시기를 일컫는다. 교회가 프랑스 왕권에 굴복한 ...
    Date2020.05.31 Byreformanda Reply0 Views937 file
    Read More
  12. 교회의 바벨론 포로 시대

    로마교회의 교황청(프랑스 아비뇽, 감옥형태의 건물) 교회의 바벨론 포로 시대     1. 중세교회의 구습, 변화하는 세상   구약시대 북조 이스라엘은 앗수르에 의해 멸망당하고 남왕조 유다는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했다. 전체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서...
    Date2020.05.28 Byreformanda Reply0 Views1567 file
    Read More
  13. 예수는 헬라어로 가르친 적이 있는가?

    예수는 헬라어로 가르친 적이 있는가?   예수는 갈릴리 출신이다. 모국어는 아람어였다. 예수와 요셉과 마리아는 아람어를 사용했다. 제자들도 아람어를 사용했다.오늘날 예루살렘 성 안에 사는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람어로 예배를 드린다. 고대 아람어 방언으...
    Date2020.05.14 Byreformanda Reply0 Views2399 file
    Read More
  14. 유비쿼터스 방언, 코로나 플랫폼

    유비쿼터스 방언, 코로나 채널 1. 개종한 이방인, 입교한 유대인 위경 <유디스>(Judith, BC 100경 추정)는 암몬인이 유대인으로 신분을 바꾼 이야기를 소개한다. 암몬 족속 장수 아키오르가 할례를 받고 유대인이 되었다(유디스 14:10). 미모의 유대인 여인 ...
    Date2020.05.03 Byreformanda Reply0 Views1144 file
    Read More
  15. 최덕성 교수와 한국교회의 칭의론 논쟁

    최덕성 교수와 한국교회의 칭의론 논쟁 고경태 박사 (총신대학교 교수) 1. 들어가는 말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교회당 정문에 게시한 95개 반박문(1517)은 교회와 세계 역사를 바꾸었다. 루터는 이신칭의 교리를 교회의 서고 넘어짐의 조항(articulus sta...
    Date2020.04.12 Byreformanda Reply0 Views171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