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한상동주기철333.jpg

 

한상동 목사(왼편)와 주기철 목사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 총회가 후원하고 고신 부산노회가 주관하는 '한상동 목사 서가 40주년 기념행사'가 2016년 1월 6일 오후 1시에 고신대학교 대강당(영도)에서 열렸다. 필자가 발표한 "한상동과 주기철의 교회론"은 신사참배거부운동과 이 운동을 주도한 한상동 목사를 분리주의자 또는 분리주의 성향을 가진 자로 보는 교회사가들의 주장의 근거없음과 친일파의 당파적 시각에서 나온 역사왜곡임을 증명한다. 아래는 머리말이다.

 

한상동과 주기철의 교회론 

 

최덕성  (현 브니엘신학교 총장, 고려신학대학원-고신대학교 교수, 1989-2009)

 

 

신사참배거부운동의 동력(動力) 한상동 목사와 순교자 주기철 목사의 교회론이 달랐는가? 이 질문은 일제말기의 한상동이 분리주의자이며, 신사참배거부운동이 초대교회의 도나투스주의와 같은 분리주의 교회운동이었다는 주장과 직결되어 있다. 민경배 교수(전 연세대학교, 한국교회사)는 한상동과 주기철이 당시의 한국교회에 대한 각각 다른 인식을 가졌다고 본다. 상이한 교회론을 지녔다고 한다. 전자는 분리주의 교회관을 가졌고, 후자는 정통 교회론을 가졌다고 본다. 한상동은 분리주의자이고 신사참배거부운동은 고대교회의 도나투스주의와 같은 분리주의 운동인 반면에 주기철은 역사적 정통 교회론에 충실했다고 한다.

 

민경배 주장의 근거는 두 가지이다. 한상동과 전국의 여러 동지들과 함께 신사참배를 거부하는 교회장로회(통칭 노회)를 조직하여 배교하는 한국교회에 적극적으로 대항하고자 평양에서 모였을 때 주기철이 시기상조(時機尙早)의 감()이 있다고 말했다. 신사참배거부운동의 신념체계와 역사를 기록한 평양지방법원의 “21명 예심종결서가 주기철을 신사참배거부항쟁자 군()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민경배는 주기철이 당시 우상숭배를 행하던 그룹과 자신을 동일시했고, 반면에 한상동은 대립각을 세우고 항거하면서 분리주의 성향의 신사참배거부운동을 이끌었다고 한다. 한상동과 신사참배거부운동자들이 우상숭배를 행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강요하며 백귀난행(百鬼亂行)을 저지르는 당시의 한국교회를 파괴하려고 시도한 것은 정통 교회론에 부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당하지 않다고 본다. 한국교회는 상처받는 교회였으며, 비록 순결을 잃어가고 있었지만 교회의 역사적 전통을 수호했다고 한다.

 

한상동과 주기철의 교회론이 달랐다는 주장은 관점, 의견, 해석의 차이에 해당하는 사안이 아니다. 양시쌍비적 이견이 아니다. 교회가 무엇인가를 무시한 당파성과 힘의 논리로 이해한 그릇된 판단이다. 민경배의 오류 판단을 통제한 것은 성경적 관점이나 진리성이 아니다. 기독교사상사나 신앙고백 시각에 근거한 판단도 아니다. 우상숭배 전력(前歷)을 가진 친일파의 당파적 시각이다. 다수 집단의 자파 옹호적, 자기 변호적, 기만적 판단이다. 근거가 될 수 없는 것들을 근거로 삼은 논점일탈의 오류(Red Herring)이기도 하다.

 

한상동과 주기철의 교회론이 달랐다는 주장은 일제말기에 배교하는 교회에 항거하여 새로운 교회조직을 가지려고 시도한 신사참배거부운동을 분리주의 운동으로 간주하고 그 신앙의 맥을 계승한 예장 고신을 분리주의파로 몰아붙이는 시각의 출발점이다. 기존의 교회가 우상숭배를 하고 백귀난행을 저지르며 이단의 정도를 훨씬 뛰어넘는 상태였음에도 그것을 무너뜨리려 하거나 새로운 교회조직을 가지려고 시도한 한상동과 신사참배거부운동의 노력은 인간의 보편적 의와 양심과 합리성에 부합할뿐 아니라 개혁교회론에 충실하다.

 

신사참배거부운동은 일제에 항거한 정치운동인 동시에 배교한 한국교회에 항거한 신앙운동, 교회운동이었다. 신사참배거부운동 공동체는 그 자체로 사도성과 공교회성보편성을 지닌 그리스도의 신부이며, 완전한 교회였다. 역사적 기독교 신앙을 계승, 고백하면서 유일신론과 십자가의 구속 사건에 대한 감격과 신앙 정조를 가지고 있었다. 우상숭배를 하고 배교하는 교회에서 축출, 면직, 제명을 당한 교역자들은 신도주의(神道主義)화 된 한국교회에 대항하여 기독교 보편적 신앙과 장로교회 본래의 신앙고백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 운동이 새로운 교회조직을 가지려고 한 것은 16세기 종교개혁운동의 교회론에 부합했다. 나치치하에서 새로운 교회조직을 가진 독일고백교회운동과 일치한다.

 

민경배의 사실호도는 개혁신학과 교회론을 거부하는 극단적인 역사왜곡이다. 민경배 식의 당파적 역사이해와 친일파적 시각은 한국교회사학계에 마치 정사(正史)처럼 인식되고 있다. 왜곡된 역사는 성공적인 미래를 향한 길라잡이가 될 수 없다. 민경배 아류 교회사가들이 일제말기의 한상동과 신사참배거부운동을 도나투스주의와 같은 분리주의 또는 분리주의 성향을 가진 인물과 운동으로 봄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하나님의 나라 확장한국교회와 세계교회 건설의 매우 불행한 장애물이다.

 

[이 글은 2016년에 출간될 책의 일부이다.]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공유해 주십시오.

 

  • ?
    dschoiword 2016.01.06 09:02
    한상뎅이, 친근감 있는 이름이기도 하지만, 고신교단 상당수 신학교수들이 한상동 목사를 폄하하면서 부르는 이름입니다. 주기철은 자식들이 챙겨 위대한 이단자-순교자로 높임을 받고 있지만, 한상동은 자식이 없기에, 고신대 산하 신학교수들조차 그를 조롱, 폄하해 왔습니다. '한상뎅이 나쁜 놈'이라고 해야 학문성을 갖춘 학자로 존경을 받는 풍토였습니다. 미국 에반겔리아대학교에서도 한상동 기념 세미나를 한다고 합니다. 글, 책, 자료집을 남겨야 역사가 됩니다. 한 권 챙겨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
    늘새롬 2016.01.07 19:18
    요한복음 9:41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가 맹인이 되었더라면 죄가 없으려니와 본다고 하니 너희 죄가 그대로 있느니라' 고 하신 말씀처럼 반성이 제대로 안된 사람은 결국 거룩한 역사에 대한 해석- 고백이 자기변호감으로 불어내는 것을 봅니다. 못나도 역사의 정통성은 제대로 고백해야지 민경배는 자기 양심 때문에 지난 역사마저 분간이 안된다는 걸 봅니다.

  1. 어거스틴 은총론과 칼빈주의 구원론

        어거스틴 은총론과 칼빈주의 구원론   브니엘신학교의 총장 최덕성 교수의 ‘구원론’ 강의(2020 가을)는 시종 ‘어거스틴의 은총론’과 관련되면서 진행되었다. 어거스틴의 은총론과 칼빈주의 구원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강의의 초점은 인간의 원죄, 하나...
    Date2021.01.25 Byreformanda Reply0 Views2596 file
    Read More
  2.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의 충격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의 충격     나는 브니엘신학교가 2020년 가을 학기에 개설한 신학대학원 과정의 교회론(최덕성 교수)과 한국교회사(황대우 교수)를 수강했다. 교회사를 교회론의 관점으로, 한국교회사를 성경과 개혁신학을 기준삼아 평가하는, 교회...
    Date2021.01.16 Byreformanda Reply0 Views955 file
    Read More
  3. 현대 교회에도 권징이 필요한가?

        현대 교회에도 권징이 필요한가?   브니엘신학교 신학대학원의 교의학 교회론 강의(2020 가을)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유익하게 마무리되었다. 최덕성 교수는 교회론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역사적 신학적 교회론적 사실들을 일목요연하게 ...
    Date2021.01.13 Byreformanda Reply0 Views932 file
    Read More
  4. 여성목사 장립의 근거,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파)

        여성목사 장립의 근거,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파)   예장 고신교단의 자매 교회인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파, 속칭 31조파)는 여성 목사, 여성장로, 여성 집사 안수 제도를 도입했다. 이 교회의 여성안수 곧 여성 목사 장립에 대한 2011년 보고서는 그들...
    Date2020.09.11 Byreformanda Reply1 Views2855 file
    Read More
  5. 교회론과 예배론을 재정립하라

      釋迦,Cherry Moya (사진 Esther Lee )   교회론과 예배론을 재정립하라   예장 고신 총회 지도부가 개회 예배를 드리면서 온라인 성찬을 하기로 했다고 하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   총회가 성찬을 하는 것이 옳은가 하는 지적은 신학교가 '교회'이며 따라서...
    Date2020.09.08 Byreformanda Reply0 Views1028 file
    Read More
  6. 자살하면 지옥 가는가?

        자살하면 지옥 가는가?   자살하면 지옥가는가? 이 질문은 하나님의 견인(堅忍)의 은혜 안에 있는 자는 자살하지 않는가 하는 질문과 자살하면 은혜로 받은 칭의(稱義)가 취소되는가 하는 의문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글은 자살을 신학 주제로 다루는 분들의...
    Date2020.08.17 Byreformanda Reply0 Views3776 file
    Read More
  7. 성경은 방언(glossolalia)을 지지하는가?

        성경은 방언(glossolalia)을 지지하는가?  편집 중이나 옮기지 마십시오.     첫번째 글: 사도행전의 방언   1. 한국교회에 성행하는 방언(glossolalia)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하버드대학교 인류학자 니콜라스 하크네스 교수는 최근 여의도순복음...
    Date2020.07.19 Byreformanda Reply0 Views1891 file
    Read More
  8.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규칙(1943)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1943 출범)은 한국 기독교의 배교 전력의 한 단면이다. 이 교회 조직의 규정은 일제말기의 한국교회를 훼절, 변절했다고 하는 따위의 용어로  설명하고 규정함이 타당하...
    Date2020.06.30 Byreformanda Reply1 Views1718 file
    Read More
  9. 한국교회는 훼절이 아니라 배교했다

    한국교회는 훼절이 아니라 배교했다 원제: 신사참배거부운동의 교회관   한국의 일부 교회사가들은 예장 고신 교회를 완전주의 교회관과 관련시킨다. '고신파'가 분리주의를 연상시키며, 그 시원(始原)을 신사참배거부운동이 기성교회에 항거하여 독자적인 교...
    Date2020.06.10 Byreformanda Reply0 Views1744 file
    Read More
  10. 총신대학교의 바벨론 포로 시대

     총신대학교 교정 (사당동) 총신대학교의 바벨론 포로 시대      1. 해임 결정을 즉각 취소하라   최근 총신대학교의 이사회(관선임시이사회)는 신학대학원에서 교의학-윤리학을 가르치는 이상원 교수를 해임시켰다. 징계위원회가 결의한 것을 받아 확정하고 ...
    Date2020.06.04 Byreformanda Reply0 Views1843 file
    Read More
  11. 교회의 국가지배 저항사

    사랑의교회, 서울 교회의 국가지배 저항사   1. 장로교 언약도 '교회의 바벨론 포로 시대'는 로마교회의 교황청이 1309년부터 1376년까지 프랑스 아비뇽에 머물렀던 73년 동안 세속 권력의 꼭두각시 역할을 한 시기를 일컫는다. 교회가 프랑스 왕권에 굴복한 ...
    Date2020.05.31 Byreformanda Reply0 Views936 file
    Read More
  12. 교회의 바벨론 포로 시대

    로마교회의 교황청(프랑스 아비뇽, 감옥형태의 건물) 교회의 바벨론 포로 시대     1. 중세교회의 구습, 변화하는 세상   구약시대 북조 이스라엘은 앗수르에 의해 멸망당하고 남왕조 유다는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했다. 전체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서...
    Date2020.05.28 Byreformanda Reply0 Views1566 file
    Read More
  13. 예수는 헬라어로 가르친 적이 있는가?

    예수는 헬라어로 가르친 적이 있는가?   예수는 갈릴리 출신이다. 모국어는 아람어였다. 예수와 요셉과 마리아는 아람어를 사용했다. 제자들도 아람어를 사용했다.오늘날 예루살렘 성 안에 사는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람어로 예배를 드린다. 고대 아람어 방언으...
    Date2020.05.14 Byreformanda Reply0 Views2399 file
    Read More
  14. 유비쿼터스 방언, 코로나 플랫폼

    유비쿼터스 방언, 코로나 채널 1. 개종한 이방인, 입교한 유대인 위경 <유디스>(Judith, BC 100경 추정)는 암몬인이 유대인으로 신분을 바꾼 이야기를 소개한다. 암몬 족속 장수 아키오르가 할례를 받고 유대인이 되었다(유디스 14:10). 미모의 유대인 여인 ...
    Date2020.05.03 Byreformanda Reply0 Views1144 file
    Read More
  15. 최덕성 교수와 한국교회의 칭의론 논쟁

    최덕성 교수와 한국교회의 칭의론 논쟁 고경태 박사 (총신대학교 교수) 1. 들어가는 말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교회당 정문에 게시한 95개 반박문(1517)은 교회와 세계 역사를 바꾸었다. 루터는 이신칭의 교리를 교회의 서고 넘어짐의 조항(articulus sta...
    Date2020.04.12 Byreformanda Reply0 Views171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