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단식투쟁과 금식기도를 구분하라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협의회 성명서

 

진실 규명을 통한 감신 정상화를 제안한다

 

1. 사법부의 판단을 겸허하게 기다리자

 

2015년도 감신대 고소·고발 사건은 교수평의회 교수들 중 4인이 전임 이사장을 업무방해, 배임, 횡령, 불법 도청 등의 혐의가 있다고 시작한 것이다. 이들이 고발한 내용은 이들이 주장하는 인사 비리, 재정 비리, 불법 도청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사법부의 판단이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서, 피고소인들에 의한 맞고소·고발을 취하하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것은 진실 규명을 불가능하게 만들며, 이번 학내 분규의 아픔을 발전의 밑거름으로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 그리고 먼저 고소·고발사건을 시작한 사람들이 지금 와서 자신들의 고소·고발은 취하할 생각은 전혀 없으면서, 자신들에게 정황이 불리하게 돌아가는 듯하니, 맞고소한 당사자에게 고소·고발을 취하하라고 선동하는 것은 그 자체가 비윤리적이며 비진실한 행위이다. 이와 관련된 대화와 소통은 사법부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판단을 확인한 후에도 늦지 않다. 민주주의와 진실은 선동과 구호, 점거와 폭력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2. 학원 정상화는 교수평의회 교수들의 권력투쟁적인 학원 정상화 주장을 포기할 때 가능하다
 

교수평의회 교수들은 2013년부터 K 교수의 승진 문제로 세력화하면서 거의 2년 동안 학교를 분규의 장으로 만들고 있다. 만일 K 교수의 승진에 불의한 점이 있다면 공적인 기구에 소청이나 행정소송을 통해서 해결해야만 했다. 이들이 주장하는 바는 "5학기째 부당하게 승진이 보류되고 있는 K 교수는 무조건 승진되어야 한다" "부당하게 전임교수로 전환 임용된 B 교수는, (중략) C 교수는 원위치로 돌아가야 한다" (감신정상화를위한공동대책위원회, 2015.10.27. 대자보) 등이다. 합법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권리를 찾기보다는 즉각적인 폭력과 선동으로 자신의 권리를 찾겠다는 이들의 발상 자체가 비상식적이며 비이성적이다. 다원화를 주장하며, 타 종교와도 대화와 소통을 강조하는 교수들이 자신들의 주장만 절대적으로 옳고, 다른 주장은 다 틀리다고 주장하는 것은 모순에 해당한다. 선동·선전으로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려는 것은 학원 정상화에 역행된다.

 

3. 교수직이 정치적 선동용이 되어서는 안 된다

 

2014년 봄에 D 교수와 E 교수는 명예 사직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후에 어떤 영문으로 사직을 철회하였다. 그리고 2015.10.27.에는 만약 학교가 이번 학기에 정상화되지 않으면, 다시 사직을 하겠노라고 선언하였다. 교직이 정치적 이념에 의해서 일회용품처럼 되어서는 안 된다. 자신들의 주장이 관철되지 않아 교직을 사직한다면, 이것은 교직을 도구로 삼은 협박이기도 하다. 이러한 사직 선언은 사직을 했을 경우에 자신의 삶이 송두리째 날아가는 사람들에게 실존적 투쟁의 도구가 될 수 있지만, 재정적으로 풍요로운 사람들이 이러한 선언을 하는 것은 사치에 불과하다.

 

4. 거룩한 은총의 수단을 망령되게 하지 말자

 

거룩한 은총의 수단을 자신들의 정치적 이념에 따라서 마구잡이로 사용하는 것은 신학자와 신학생이 해서는 안 된다. 성경적으로 금식은 아무도 모르게 골방에서 하는 것이 옳다. 그리고 단식투쟁이 과연 성경적인가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종교적인 상징들을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에 사용하는 것은 감리교회 전체를 먹칠하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 학교에서 가장 오랫동안 재직하고 가장 높은 봉급을 받고 있는 E교수가 감신이 복음을 팔아먹는 ‘매춘의 소굴’이라고 비난한다면(2015.10.20. 감신대 촛불집회), 적어도 본인이 주장하는 매춘의 소굴에서 받은 봉급을 반환한 다음에 이러한 주장을 해야 옳다. 매춘의 소굴에서 받은 돈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 돈인지 묻고 싶다. 이처럼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모든 것을 수단화하는 것은 반신앙적이다. 적어도 자신들이 기독교인이라고 한다면, 거룩한 은총의 수단을 망령되이 하는 것은 금해야 한다.

 

5. 총장은 법과 규정에 의해서 학교 행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총장은 최측근 교수와 더불어 주로 총장 재선을 위해서 학교 행정을 운영해 왔다. 현 학내 분규에 대한 책임의 1차적인 원인은 총장과 그의 최측근이 진행해 온 비상식적 행정에 있다. 총장은 최측근 교수와 더불어 이제 재임을 위한 행정을 중단하고, 학내 분규를 임기응변과 꼼수에 의해서가 아니라, 원칙과 규정에 입각하여서 풀어내고, 정관과 사립학교법에 규정된 총장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길 바란다.

 

2015.11.01.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협의회

 

 

?

  1. No Image

    미네르바 스쿨

    조선일보 입력 2019.01.18 03:25 [질주하는 세계 - 대학] 교육의 틀 바꾼 美 '미네르바 스쿨'"세계는 넓다, 학문도 넓게 배워라" 재학생 600명 중 한국인은 7명 미네르바스쿨 학생들은 한 학기가 끝나면 짐을 싸 다음 도시로 향한다. 이들은 4년간 미국 샌프란...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012
    Read More
  2. No Image

    예수 그리스도가 여호와 하나님이신가?

    예수 그리스도가 여호와 하나님이신가? ‘여호와’를 성부 하나님에게만 적용할 수 있다는 주장은 맞는 걸까? 그리고 그 주장을 근거로, 예수 그리스도를 ‘여호와’라고 하면 양태론적 삼위일체라며 이단몰이를 하는 건 적절한 걸까? <미주 세이연>(대표회장 김순...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159
    Read More
  3. No Image

    박형룡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박형룡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이상웅 교수 / 대신대학교 조직신학 (2010.4) (개혁신학회 학술대회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재조명’ 발표논문) 1. 들어가는 말 1643년에 회집된 웨스트민스터회의에서 만들어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604
    Read More
  4. No Image

    김영한의 민중신학 비판

    김영한의 민중신학 비판 베리타스 기사 국내 대표적인 복음주의 신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김영한 교수(숭실대 기독교학과, 전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회장)가 민중신학을 비판하고 나섰다. 김 교수는 24일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열린 한국교회법연구원 제 5기 아...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035
    Read More
  5. No Image

    윤치호의 자살

    윤치호의 자살 양현혜(이화여대) 교수는 저서 <윤치호와 김교신>(서울: 한울, 1994)에서 윤치호가 해방 직후 자살했다고 기록한다. 15년 뒤 개정판은 자살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고 소개한다. 아래의 글은 윤치호의 자살을 기정사실화 한다. 좌옹 윤치호...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4157
    Read More
  6. No Image

    교인 집을 방문하면 먼저 기도하는 습관

    교인 집을 방문하면 먼저 기도하는 습관 한국교회 신자들은 남의 집을 심방 때 방문한그 집에서 먼저 잠시 기도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기도를 하지 않으면 신앙이 낮은 사람으로 취급받을 정도의 분위기이다. 히브리인들은 초청받은 남의 집에 들어갈 때 "...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3475
    Read More
  7. No Image

    종교고유 영역을 지켜주는 품격

    종교고유 영역을 지켜주는 품격 / 전광식 교수, 고신대) 일전에 나온 사랑의교회 담임목사에 대한 법원의 판결은 우리 모두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번 판결을 내린 이들은 결정안의 타당성을 강변할지 몰라도, 같은 사안에 대한 앞선 두 번의 판결이 당...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594
    Read More
  8. No Image

    방언기도의 중독성/ 이창모

    방언기도의 중독성/ 이창모 목사 바른믿음에 게재된 글 방언기도는 강한 중독성이 있다 피방언자(방언의 은사를 받으려고 하는 자)가 처음 방언을 했을 때, 방언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은 상상하기 어려운 황홀경을 경험하게 된다. 이 황홀경이 피방언자가 방...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1 Views2101
    Read More
  9. No Image

    성령의 13가지 특징들

    성령의 13가지 특징들 최근 리바이벌 포커스 미니스트리 존 반 겔더랜(John Van Gelderen) 목사는 '리바이벌 포커스' 웹사이트에 '성령님의 13가지 특성'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다. 다음은 주요 내용이다. 1. 진리의 영이시다(요 14:17 ; 1...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782
    Read More
  10. No Image

    야곱의 눈물겨운 노력을 보면서

    야곱의 눈물겨운 노력을 보면서 결자해지(結者解之)라는 말이 있습니다.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인데 어떤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말로 쓰입니다. 이 말은 무책임한 사람이 많은 시대에 꼭 필요한 말이고 좋은 말입니다. 그런데 ...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759
    Read More
  11. No Image

    우울증과 싸워 이긴 성경의 인물들

    우울증과 싸워 이긴 성경의 인물들 데비 맥대니얼(Debbie McDaniel) 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우리도 우울증과 싸울 때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1. 다윗은 괴로워했고 깊은 좌절과 싸웠다. 많은 시편에서 그는 자신의 번민, 외로움, 원수들에 대한...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327
    Read More
  12. No Image

    고려고등성경학교

    고려고등성경학교: 게세마네 기도회 고려고등성경학교는 성경을 전문으로 가르치는 학교였습니다. 수준 높은 신학 사상에 대한 연구나, 비판 과목은 없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바로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을 제시함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성경에 친근하...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196
    Read More
  13. No Image

    언론과 교회/ 공헌배

    제목: 언론과 교회/ 공헌배(페북 글) 뉴스는 만들어집니다. 또한 뉴스들은 기획됩니다! 과거의 뉴스들과는 달리, 오늘날의 뉴스들은 단순히 사실 그 자체만을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지 않고, 특별히 자신들이 부각하고 싶은 대목들을 반복적으로, 확대/재생산 ...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014
    Read More
  14. 반민특위에 소환된 자 명단

    반민특위 피의자 (목사 여러 명 포함) 1. 강낙석(姜洛錫) 2. 강낙원(姜樂遠) 밀정, 비밀결사 대한애국부인회 밀고, 오현주(吳玄州)의 남편 광복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청년부장 3.강낙중(姜洛中) 진주 고등계 형사 4. 강보형(姜寶馨) 전북 순사교습소장, 진주...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4456
    Read More
  15. No Image

    석기현 목사의 애국설교

    석기현 목사의 애국설교 얼마 전에 저는 충격적인 기사를 하나 보게 되었습니다.올해 서울대학교 입학생들을 상대로 '북한을 어떻게 보느냐?'는 설문조사를 했는데, 놀랍게도 응답자의 69퍼센트가 북한을 '우리가 협력해야 할 대상' 혹은 '...
    Date2019.12.06 Bydschoiword Reply0 Views101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