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엔한야.jpg

 

 엔한야(Ein Hanya) 연못/ 김용규 페북 사진

 

빌립이 이곳에서 세례를 베풀었는가?

 

최근 어느 신문에서 “빌립 집사가 에디오피아 내시를 침례한 EIN HANYA ”이라는 제목의 글을 읽었다. 위 사진과 함께 실려 있었다. 인터넷 카페에 실린 글과 사진도 보았다. 김용규 목사(데이비드 김, 해피성지연구소, 크리스찬해피투어)가 쓴 글이다. 글의 요지는 위 사진의 장소가 빌립이 에디오피아 내시에게 '침례'를 준 곳(행 8:38)이라는 것이었다.

 

나는 1980년대 초에 집사 빌립이 에디오피아 내시에게 세례를 준 곳(행 8:38)에 대한 지리학적, 고고학적 탐색을 했다. 당시, 미국 예일대학교 학생 신분으로, 현지 대학교의 고고학 교수들의 조언을 받아 연구했다. 연구결과를 '세례양식'에 관한 주제로 쓴 한 권의 책에 담아 컬러 사진과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현지의 전문가 학자들의 조언을 받고, 그곳 마을 사람들이 알고 있는 구전(口傳) 정보, 현지 조사 결과를 종합한 내용이다.

 

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빌립이 에디오피아 내시에게 세례를 베푼 곳은 위 사진과 전혀 다르다. 그곳은 예루레헴에서 가자로 가는 도로 곁에 있다. 2000년 전에 사람들과 마차가 통행하던 사막지대 큰 도로 아래에 있다. 길에 차를 세우고 열두 계단을 내려가면 로마지배 초기에 만든 것으로 알려지는 물 저장고가 있다. 아랫부분의 구멍을 열어제치면 물이 나옷다. 빌립이 그 물을 떠서 내시의 머리에 붓고 온 몸을 씻는 형식으로 세례를 베푼 것이 거의 확실하다.

 

주장을 정당화하려면 타당한 근거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주장과 근거의 일치 또는 논지와 논거의 일치가 정확성, 호소력, 학문성을 보장한다. 김용규 목사는 빌립이 엔하야(Ein Hanya) 못에서 이디오피아 내시에게 침례를 주었다고 한다. 아주 단호하게 "이곳이 그곳이다"라는 식으로 말한다. 그러나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다. 역사적, 지리학적, 고고학적 근거를 언급하지 않는다.

 

김용규 목사가 곁들어 실은 사진에는 연못 옆에 비잔틴 수도원 폐허가 보인다. 옛 수도원 터를 빌립이 세례를 베푼 곳이라는 증거로 삼으려는 것일까? 수도원 폐허는 위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없다. 위 사진의 못의 용도는, 베들레헴 부근에 있는 솔로몬의 저수지처럼, 물을 모아 식수로 사용할 목적으로, 또는 저장된 물이 수로를 거쳐 베들레헴이나 예루살렘렘 또는 다른 저수지로 흘러가게 하려고 샘 곁에 인공적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사막지대인 유대광야에는 물이 아주 귀하다. 침례를 시행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다.  물은 곧 생명이다. 예루살렘과 주변의 주민들은 빗물을 모아 1년 내내 사용한다. 만약 위 사진이 보여주는 못에 사람들이 들어가 '침례'를 받고 또 베풀었다면 동네사람들의 몽둥이에 맞아 죽을 가능성이 크다. 예루살렘과 그 주변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유대인 '미끄베'는 침례탕이 아니라 세례용 물 저장고라고 봄이 옳다.

 

빌립이 에디오피아 내시에게 세례를 주었다는 곳이라고 주장하려면 아래의 12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그 장소는 (1) 예루살렘에서 가자로 내려가는 길목에 있다. (2) 두 사람 이상 또는 여러 사람이 탄 수레바퀴 마차가 통행하는 도로 곁에 있다. (3) 지친 여행객들에게 물을 공급하는 곳이다. (4) 외국인 여행객이나 방문자들에게도 잘 알려진 곳이다. (5) 마차를 멈추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접근성이 좋은 곳이다. (6) 광야-사막성 지대에 있다. (7) 두 사람이 도로에서 함께  물 있로 내려가고, 함께 물에서 올라오는 구조이다. (8)  길에서 마차를 세우고 내려가는 형태이다. (9) 마을 사람들에게 이곳이 그곳이다” 라고 구전(口傳)되는 곳이다. (10) 고고학 연구가들이 바로 그 장소라고 증명, 추정하는 곳이다. (11) 사도행전은 못, 연못이라고 하지 않고 "물 있는 곳"이라고만 한다. 많은 물보다 적은 샘물이 있는 곳일 가능성이 크다. (12) 일반인의 접근이 가능하고  '침례'가 허락된 곳이다. (13) 엔한야 못이 만들어진 연도가 빌립의 세례 이전이다.

 

김용규 목사가 제시하는 위 사진을 보면, 못이 있는 곳이 협곡의 윗 부분이다. 연못 아래 쪽에 협곡 도로가 있다. 수레바퀴가 달린 마차가 이 지역을 통행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지형은 두 사람이 길에 마차를 세우고 "함께  물 있는 곳으로 올라 가고" 또 예식을 마치고 나서 마차 있는 곳으로 내려가야 하는 형세이다. 성경은 두 사람이 "물로 내려가"(행 8:38)라고 기록한다. 빌립가 내시가 여행객들에게 잘 알려진 물 있는 곳에 이르자 마차를 세우고 함께 물 있는 곳으로 내려갔고, 예식을 마치고 함께 물 있는 곳에서 올라왔다고 한다.

 

하늘 아래에 완전한 것이 어디 있으랴. 김용규 목사의 주장이 옳을 수 있다. 그의 주장이 옳으면  내가 현지에서 공들여  연구한 것은 무용지물이다. 그럴지라도 사실을 알게 되어 반갑기 그지없다.


엔한야(EIN HANYA) 못에 대한 현지 대학교 고고학 연구팀이나 이스라엘 정부 관련 기관이 연구를 하여 문서로 기록하여 둔 보고서가 있을 수 있다. 내가 연구한 이래, 지난 30년 동안 빌립이 세례를 베푼 장소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와 학술 발표가 없었는지 궁금하다. 고고학이나 성경지리 탐색 작업을 지속하지 않은 탓으로 나는 성경 관련 고고학 분야의 풍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김용규 목사는 자신이 이 사진을 직접 찍었다고 한다. 주장이 호소력을 가지려면 근거가 필요하다. 김용규 목사께  결례를 무릎쓰고 물어보고 싶다. 위 주장을 뒷받침하는 '객관적' 근거가 무엇인가? 위 사진의 장소가 빌립이 세례를 베푼 그곳인지 어떻게 알았는가? 답글, 댓글을 부탁한다.

 

최덕성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코로나19와 교회의 혁명적 변화

      일식 코로나   코로나19와 교회의 혁명적 변화   코로나 바이러스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이러스들 중에서 최강의 바이러스로 밝혀졌다. 바늘로 100번을 찔러도,90도 이상의 열을 10분 이상을 가해도, 파괴되거나 찌그러지지 않고 원상을 유지하는 괴력을 보...
    Date2020.09.21 Byreformanda Reply0 Views698 file
    Read More
  2. 개혁교회는 어떻게 예배당을 확보하는가?

        개혁교회들은 어떻게 예배당 건물을 확보하는가?   신원균 교수(대신총회신학연구원, 조직신학)   장로교회의 교회법 원리에서는 교회 건물을 사용하는 순서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재정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나 어려움을 전제로 소개합니다.   1. 목사님 ...
    Date2020.08.07 Byreformanda Reply0 Views575 file
    Read More
  3.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WCC 부산총회(2013) 개회식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레슬리 뉴비긴이 기독교에 기여한 점과 해악을 끼친 점, 오판과 자기비판, 복음적 노선과 에큐메니칼 사상의 이중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비평적 논의가 필요하다. 아래의 글은 '선교적 ...
    Date2020.07.30 Byreformanda Reply0 Views1368 file
    Read More
  4. 최덕성 교수의 성령론―방언 강의를 듣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성채와 성령교회당 (하이델베르크신앙문답과 관련된 장소)   최덕성 교수의 성령론―방언 강의를 듣고   박재의 (브니엘신학교 신학대학원 2학년)   브니엘신학교 2020 봄 학기 수업은 코로나19의 위협으로 불편한 조건에서도 은혜롭...
    Date2020.07.05 Byreformanda Reply0 Views1305 file
    Read More
  5. 온라인 예배, 세례, 성찬

    온라인 예배, 세례, 성찬      코로나 19와 더불어 온라인교회가 출범했다. 온라인 목사, 온라인 사도가 등장하고 있다. 온라인 예배, 온라인 성찬, 온라인 세례가 가능할뿐 아니라 필요한 시대에 진입했다. 온라인 교회는 온라인을 거쳐 사람들에게 복음을 ...
    Date2020.06.22 Byreformanda Reply0 Views987 file
    Read More
  6. 뉴 노멀 온라인교회 시대 열리다

        브레드채플 동영상 캡쳐     뉴 노멀 온라인교회  시대 열리다   1. 온라인교회의 등장   온라인교회, 네트워크교회 시대가 예상보다 빨리 찾아왔다. 이 교회는 유비쿼터스(Ubiouitious) 기술과 세계적인 대점염병이 가져온 새로운 일상(new normal)의 만...
    Date2020.06.12 Byreformanda Reply0 Views702 file
    Read More
  7. 미모의 여인 유디스의 선의의 거짓말

    안젤리아 왕 (중국계 예술단 션원 무용수)   미모의 여인 유디스의 선의의 거짓말 악성 코비드19 '덕분'에 로마가톨릭교회가 성경에 포함시키는 위경 <유디스>(Judith, BC 100경 추정)를 정독했다. 왜 신학자가 위경을 읽느냐고 따질 독자가 있을 법하다. 나...
    Date2020.05.03 Byreformanda Reply0 Views1160 file
    Read More
  8. 마사다(Masada)를 아시나요?

    마사다(Masada)를 아시나요?   예루살렘 동남쪽 100㎞ 지점의 마사다(Masada). 형태가 기묘하다. 사해(死海) 부근의 사막 한가운데 우뚝 솟았어도 정상 부분은 평평한 바위산. 탈무드, 선민의식과 더불어 이스라엘을 지탱하는 정신적 지주의 하나다. 마사다가...
    Date2020.04.20 Byreformanda Reply0 Views1146 file
    Read More
  9. 성찬 물질론

    성찬 물질론 오늘날 성찬 시 '떡과 잔'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대한 오해가 많은 것 같다. 성찬에 관한 신학자들의 글에도 그런 경향이 묻어난. 최근 사이버공간에 인터넷 성찬을 반대하는 글을 기고한 어느 신학자는 "성찬 요소[재료]가 남을 경우" 어떻게 해...
    Date2020.04.15 Byreformanda Reply0 Views878 file
    Read More
  10. 나그네에게도 100만 원을 주라

                  이 땅의 나그네에게도 100만 원을 주라     나그네(strangers)는 자신이 태어난 고향이나 삶의 터전이나 나라를 떠나 사는 사람이다. 객(客), 타국인, 외국인, 이방인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 체류 나그네 노동자들은 약 250만 명이다. 대전염...
    Date2020.04.09 Byreformanda Reply0 Views664 file
    Read More
  11. 평화나무, 설교자를 고발하다

    평화나무 유튜브영상 캡쳐      평화나무, 설교자를 고발하다 유튜브 시사평론 방송을 하는 평화나무(이사장 김용민)는 설교자 선거법위반 감별사를 자처한다. 설교 중에 정치발언을 하거나 특정 정당을 지지 반대한 12명의 대형교회 목사들을 사법에 고소할 ...
    Date2020.04.04 Byreformanda Reply0 Views865 file
    Read More
  12. 코비드19에 희생당한 목사와 장로

    코비드19에 희생당한 목사와 장로   미국 기독교계에는 코비드19 대전염병과 관련하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목사와 장로가 사망하고, 건강하고 젊은 주일학교 교사가 세상을 떠닜다. 정부의 다중 집회 금지 명령을 무시하고 주일 두 차례에 걸쳐 대규...
    Date2020.04.01 Byreformanda Reply0 Views812 file
    Read More
  13. 정오 2분 기도운동에 동참합시다

    코로나바이러스의 퇴치를 기도하는 베트남 젊은 여성(2020.2.26., 하노이)., CNS photo, Kham, Reuters   정오 2분 기도운동에 동참합시다 '리포르만다'를 운영하는 선교단체 유유미션(University Ubiquitous Mission, 대표 최덕성)은 세계적인 대역병 ‘코비...
    Date2020.03.26 Byreformanda Reply0 Views493 file
    Read More
  14. 국무총리의 불상 배례

    이낙연 국무총리, 사진: BTVnews        국무총리의 불상 배례 전 국무총리 이낙연 씨의 종교는 개신교이다. 영광중앙교회(전남, 예장통합 김칠수 목사)에서 2003년 경 세례를 받았고, 서리 집사로 봉사했단다. 서울에서는 신반포중앙교회(서울, 예장 대신, ...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1 Views7985 file
    Read More
  15. 폐렴 걱정 나라 걱정, 부질없는가?

    폐렴 걱정 나라 걱정, 부질없는가? 1 우한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중국을 강타하고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죽음의 바이러스에 오염되지 않으려고 온갖 수단을 동원한다. 외출 때는 마스크를 쓰고 물안경을 쓰고 장갑을 낀다. 엘리베이터 버턴을 ...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63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