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재검증 이의 제기한 집단들 모두 ‘반한기총 세력’
한기총, 재검증 대응따라 정체성 위기에 처할 수도


 한기총 이단문제 재검증에 이의를 제기한 집단들


 한기총이 지난해 11월 한국교계가 제기해온 이단문제에 대해 재검증을 하겠다고 선언한 후 이의제기를 한 교단 및 단체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개혁총회(총회장 한상운목사)와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총회장 함동근목사)와 월간 현대종교(발행인 탁지원)와 한기총에 의해 피소되었던 172인 교수대책위원회와 기독교대한감리회(위원장 전재용 감독회장)와 한국교회연합(대표회장 양병희목사)과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통합측 총회장 정영택목사) 등 7개 단체이다.


이 가운데 예장개혁총회는 “한기총 결의 이단규정자 및 해제자에 대한 재검증 이의제기”를 요청했고,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는 “이단 관련 논쟁에 대한 이의제기 및 재검증”을 요청했으며, 월간 현대종교는 “한국교회 연합과 발전을 위한 제안의 건”으로, 또 한기총에 의해 피소된 172인 대책위원회는 “한기총 이단 해제 원인 무효 및 이단 관련자 및 옹호자 척결”을 요청했으며, 기독교대한감리회는 “이단 해제에 대한 이의”를 제기했고,  또 한기총에서 분열해 나간 한국교회연합은 “한기총 제2014-115호에 대한 본회 회신”이란 이름으로 이의를 제기를 했다. 그리고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통합측 총회장 정영택목사)는 “제안에 대한 회신”이란 이름으로 이의를 제기했다.


이 중에 한기총 소속 회원교단은 예장개혁총회 하나뿐이다. 예장개혁총회 역시 이번 기회에 한기총이 최삼경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모두 한기총에서 이단으로 규정된 최삼경과 연관


 이렇게 보면 이번에 한기총 이단 해제에 대한 이의를 제기한 집단들은 하나같이 모두 한국교회 주변에서 이단감별사로 활동하다가, 그리스도의 마리아 월경잉태론으로 한기총에 의해 이단이 된 최삼경과 어떤 모양으로든 연관이 있는 집단들이다.


그런데 이들이 한기총의 결의에 대해 어떤 내용에 이의를 제기했는지는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과연 한기총이 2년전에 이단사이비특별대책전문위원회를 구성하여 검증을 한 내용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예장개혁총회를 제외하고, 모두 그간 한기총의 운영에 불만을 가진 외부 집단들이라는 점이다. 특히 한기총에 의해 피소되었던 교수들과 한기총에서 갈라져 나간 한교연 그리고 예장통합측은 한기총의 분열에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한 집단들이다. 이들은 류광수목사와 박윤식목사를 이단으로 규정해 놓고 무조건 비난한 사람들이기도 하다.


그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는 지난 총회에서 박윤식목사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박윤식목사측으로부터 고소를 당하자 보복 차원에서 이의 제기를 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객관적 관점에서 정당한 이단 시비를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라기 보다, 일단 공문을 접수해 놓고 보자는 의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동안 한기총은 이단 해제의 공정성 역설


 한기총은 그동안 류광수목사와 박윤식목사에 대한 이단 해제의 공정성을 역설해 왔다. 한기총은 1014년 2월 6일자 ‘이단 해제와 관련된 신학자들의 입장과 고언’이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한기총의 이단 해제 과정은 이렇게 진행되었다. 일부 이단 시비 대상자들이 소위 이단감별사들에 의해 억울하게 이단으로 규정을 받았다며, 한기총에 탄원이 쇄도하자, 이에 한기총은 2012년 12월 21일자 국민일보에 ‘최삼경에 의해 억울하게 이단으로 정죄된 교단이나 단체 혹은 개인은 재심을 신청하라’고 공고하였고, 류광수, 박윤식목사는 소속한 교단에서 재심을 요청해 왔다.


이에 한기총은 특별이대위를 통해 이들 재심요청자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연구 조사를 위해 학자들에게 연구를 의뢰해 왔다. 본 학자들은 국내 신학대학원 전, 현직 총장이나 대학원장, 교수들로 구성된 한국교계 중진과 원로 신학자들이다. 본인들은 이들 이단 시비 대상자들에 대한 공정하고 철저한 연구 조사 결과, 그리고 학자들이 본인들에게 문제된 수많은 질문을 하고 답을 들은 결과 ‘이단 아님’으로 최종 연구 보고하였고, 이대위, 임원회, 실행위원회, 그리고 총회를 거쳐 이단 해제가 결의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때도 한교연과 또 한기총에 의해 피소된 교수들을 비롯, 최삼경과 연대를 가졌던 세력들은 한기총의 이단 해제를 인정하지 않았다. 심지어 그들은 “연합체에 불과한 한기총에서 교단들이 이단으로 규정한 대상을 해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한기총은 정관상 사업목적에 이단사이비 규정이 들어 있다(한기총 정관 제4조 5항, 이단사이비 규정 제13조 1, 2항, 제14조)며 “이는 업무방해”라고 맞받았다. 그러므로 한기총이 이들이 요청한 재검증을 어떻게 대응할지가 주목된다.


왜냐하면 그동안 한기총은 스스로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이단 검증을 했다고 주장해 왔다. 따라서 류광수목사와 박윤식목사에 대한 이단성 가운데 한기총 특별이대위가 살펴보지 못한 증거가 새로 제시되기 전에는 이들에 대한 한기총의 판단에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하기가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만에하나 이미 한기총이 살펴본 문제에 이단성이 드러난다면, 거기에 참여한 신학자들은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고, 한기총이 ‘진짜 이단’을 감싼 것이 되므로 한기총의 존폐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는 것이다.         


강춘오목사/발행인 <교회연합신문>(2015.1.10.)에서 옮김



?

  1. No Image

    청년들을 향한 호소/ 이병태

    청년들을 향한 호소/ 이병태 KAIST 교수 "스타벅스,·배낭여행,·컴퓨터 게임, 지금 여러분이 누리고 있는 모든 것 중 청년 세대가 이룬 것 뭐 있나, 천국 있다는 거짓말 믿지 마라, 응석부리고 빈정거릴 시간에 공부하고 너른 세상 보라, 헬조선...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09
    Read More
  2. No Image

    이혼과 목회

    이혼과 목회 (페이스북에 실린 글입니다. 누구의 글인지 확인할 수 없습니다. 리포르만다의 견해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참고삼아 저장해 둡니다.) 5. 이혼한 사람이 목회자가 될 수 있는가? 원칙적으로 목회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목회자가 되려고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81
    Read More
  3. No Image

    고신영성

    고신영성의 특징과 개혁주의 신학적 조명과 평가 감순성 교수 (2016.11.7, 코람데오닷컴 게재문) I. 들어가는 글 금년은 고려신학대학원 개교 7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8.15 해방직후 1946년 개교된 고려신학교 설립은 한국 교회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20
    Read More
  4. No Image

    사탄과 마귀

    사탄과 마귀 성경에서 사탄이라는 말하고 마귀라는 말은 동의어로 나타납니다. 요한계시록에 옛 뱀이오. 사탄이오. 마귀라 이렇게 얘기하는 것이지요. 이 존재는 타락한 천사들 가운데 가장 우두머리인 존재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천사들이 언...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58
    Read More
  5. No Image

    미합중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한국국회 연설문

    미합중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한국국회 연설문 2017.10.08. Assembly Speaker Chung, distinguished members of this Assembly, ladies and gentlemen: Thank you for the extraordinary privilege to speak in this great chamber and to address your pe...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23
    Read More
  6. No Image

    방언

    방언 중지/폐지론자 가운데 "자신이 방언을 했었다"는 사람이 꽤 된다. 목사도 있다. 엄청난 건 줄 알았는데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 사람은 안 하면 된다. 그 사람에게는 울리는 꽹과리(ἢ κύμβαλον ἀλ&...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08
    Read More
  7. No Image

    우리는 무엇을 팔고있는가? 권수경 목사

    우리는 무엇을 팔고있는가? 권수경 목사 500년 전의 면죄부 마르틴 루터가 1517년 10월 31일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대학 채플 정문에 써 붙인 게 종교개혁의 시발점이라고 많이들 알고 있으나 루터가 반박문을 써 붙인 적이 없다는 사실이 오래 전에 밝...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53
    Read More
  8. No Image

    동성애, 성경 그리고 기독교

    동성애, 성경 그리고 기독교 신원하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I. 들어가면서 1960년대 서구 사회에서 일어난 성 혁명의 물결은 서구 사회에 동성애에 대해서도 전향적으로 나아가는 문을 열어 주었다. 사회학자 기든스(Anthony Giddens) 교수는 이 시대의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31
    Read More
  9. No Image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 2017.10.30.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은 성경에서 칭의의 복음을 재발견하고, 이 복음의 진리로 중세 교회와 사회를 개혁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빈...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836
    Read More
  10. No Image

    인터콥에 대한 연구보고서

    인터콥에 대한 연구보고서 (저자미상, 신뢰도 확인되지 않은 글) 2012년 12월 현재 인터콥(최바울)은 예장통합에서 교류금지(2011.9), 예장고신에서 지도기간 중에 참여자제(2011.9), 세이연(세계한인기독교이단대책연합회)에서 이단성/교류금지/예의주시(201...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1349
    Read More
  11. No Image

    근본주의적 삶의 양식을 회개한다

    근본주의적 삶의 양식을 회개한다 서충원 목사 (총신대 신대원, 숭실대 대학원) 아래의 글은 대부분 참고할만하지만 진보신학의 영향을 받은 위험한 발상으로 보인다(편집자 주) 신앙을 이성과 대립되는 것으로 보고 이성을 억압하고 이성적인 비판을 부정한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792
    Read More
  12. No Image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현재 일본의 기독교인 수는 약 105만 명이다. 이는 일본의 총인구 약 1억2천만 명 가운데 대략 1%에 해당하는 숫자다. 약 150년 동안 열심히, 그리고 성실하게 전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지금도 결정적으로 소수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791
    Read More
  13.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총대, 그리고 교회 (신재형, 페이스북 글, 2017.10.11.) 최근 고신 교단 총회에 김세윤 교수가 포함된 이신칭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와 신학교수들의 입장에 대한 질의가 상정되었다. 신학위원회는 이에 대해 논의를 했...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56 file
    Read More
  14. 문 닫는 교회 스타일 15가지

    문 닫는 교회 스티일 15가지 <기독일보> 20170506 1. 전도 하지 않는 '불임(不姙)교회' 흔히 전도지만 돌리는 형식적으로 전도로는 생명을 잉태시킬 수 없습니다. 입으로 발로 뛰면서 세상 사람들의 삶속에 뛰어들어야 합니다. 한 생명을 천하보다 더...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955 file
    Read More
  15.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My Response I just read a disturbing, I mean for me personally, earth-shatteringly disturbing essay by Christiane Tietz about Karl Barth entitled: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As most of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486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