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차별철폐교육의 재앙/ 바이어하우스


<크리스천투데이>(2015.1.19.) 보도문


럽의 젠더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항 (1) 

                    

▲피터 바이어하우스 교수. ⓒ크리스천투데이 DB


젠더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항(WIDERSTEHT DER GENDER-IDEOLOGIE!):

세 주요 교단 기독교인들의 공동성명(2014년 12월 15일을 기점으로)


서론


하나님은 인간을 자신의 지혜 안에서, 남자와 여자라는 상반성을 가지며 서로 보충·보완 역할을 할 수 있는 만물의 영장으로 창조하셨다(창 1:26-27; 2:21-24). 인간을 남자와 여자라는 상반성 가운데 창조하셨다는 사실은, 삼위일체이신 하나님 자신 안에 있는 사랑의 공동체를 반영하고 있다. 즉 성령으로 결합된 성부와 성자 사이에 존속하는 사랑의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성경은 남녀 간의 혼인관계와 그로 인해 형성되는 가족관계 속에서 인류 존속의 기초를 놓고, 시대 종말까지 존재하는 창조 질서를 세웠다. 또 십계명 가운데 4, 6, 10번째 등 세 계명을 통해 남녀 간의 혼인관계와 가정이 붕괴되는 것을 막으셨다.


예수 그리스도는 부부를 분리할 수 없는 독특한 공동체로 선언하시고 거룩하게 하셨으며(마 19:6), 어린아이들에 대해 특별한 보호와 애정을 가지시고 대하셨다: “누구든지 나를 믿는 이 소자 중 하나를 실족케 하면 차라리 연자맷돌을 그 목에 달리우고 깊은 바다에 빠뜨리우는 것이 나으니라”(마 18:6).


사도들은 부모들과 그들의 자녀들에게 우선적으로 윤리적인 교훈을 가르쳤으며(엡 5:21-6:4; 벧전 3:1-7), 바울은 남편과 아내 간의 관계를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에 비유하여 묘사하였다(엡 5:23; 고전 11:3).


교회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전체 교회사 속에서, 그리고 모든 교단 안에서, 이러한 관점을 견고하게 유지하였다. 부부와 가정의 기초인 창조 질서를 해체시키려는 오늘날의 모든 동향들에 대항하여, 부부와 가정을 보호하는 것이 그들의 숭고한 의무이다.  


우리를 경악하게 하는 사례들


오늘날 가정들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파괴·해체되고 있는지에 대해, 기독교인들만 주목하고 경악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심지어 결혼제도와 남녀 각각의 사명과 역할까지, 현대 이데올로기(유사 종교)에 의해 전반적으로 의문시되고 있다. 한 남자와 한 여자가 연합하는 일부일처제라는 결혼 제도에 대항하여, 동성애적·레스비적·성전환적·혼음적 형태가 ‘성적 다양성’이라는 표현과 명목 아래 동등한 가치를 가진 생활 공동체로 왜곡되게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러한 형태들을 반박하는 사람들은 ‘동성연애 혐오자’로 취급받고 비난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성(Bipolarität)의 ‘성’(Geschlecht) 개념이 다양한 뜻을 가진, 원래 영문법 단어였던 ‘젠더’(gender)에 의해 구축되고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다.


1. ‘성차별교육 철폐론(Gender Mainstreaming)’의 개념

정의


정의를 파악하기 매우 어려운 외국어 ‘Gender Mainstreaming(성차별교육 철폐론, GM)’ 속에는 이데올로기적 프로그램이 숨어 있다. 그 프로그램의 목적은 남자와 여자라는 양성 사이에 존재하는 창조의 상반성과 한 가정 안에서 부모로서 갖는 위치를 완전히 폐지·무효화시키려는 것이다.


‘Gender’라는 단어는 생물학적 성별과는 전혀 상관 없이, 사람에 의해 교육되고 숙련된 사회적인 역할만을 묘사한다. 이 용어의 도입은 뉴질랜드의 심리학자인 존 머니(John Money, 1921-2008)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매우 위험한 실험을 하였는데, 그 결과를 토대로 성별 역할을 특정짓는 결정적인 것은 생물학적 천성이 아니라 양육과 교육이라 주장했다. 프랑스 철학자인 시몬느 드 보봐르(Simone de Beauvoir, 1908-1986)의 주장도 그와 일치한다: “여자로서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역사적 전개와 발전


이 ‘성차별교육 철폐론’은 19세기부터 앞서 일어난 여권운동의 지속적인 발전선상에서 시작됐다. 이 운동 초기에는 단순히 여성과 남성의 동등권을 요구했지만, 1990년 초 이래 ‘제3의 물결’인 페미니즘에서는 그 차원을 넘어 사회적·기능적 모든 삶의 영역에서 여성들의 동등한 위치를 요구했다. 그러나 이제는 각각의 성별에 상관 없이, 심지어 모든 사람의 동일성을 주장하게 됐다.


GM의 개념은 1985년 나이로비에서 개최된 제3차 유엔 세계여성대회 때 처음 논의됐고, 1995년 베이징에서 개최된 제4차 유엔 세계여성대회에서 진전됐다. 베이징 결의서는 국제연합(UN) 결의서로 채택됐고, 4년 후 유럽연합(EU)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확정됐다. EU는 이미 1997년 ‘GM’을 회원국들의 의무로 선포하고, 1999년 5월 1일부터 법적 구속력을 갖고 실행했다. 이에 따라 독일 정부를 포함하여 EU 모든 정부들도 GM을 자신들의 법적 준칙 속으로 정착시켰다. 이는 공적 삶의 모든 영역에서 남성과 여성이라는 양성을 취급할 때, 어떤 차별도 해서는 안 된다는 법적 원칙을 의미한다. 이후로 많은 유럽 대학에서 ‘젠더학’(Gender-Studien)을 새로운 학과로 도입했고, 그로 인해 대학생들은 남녀의 성 정체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배워야 했다.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의 교수였던 여성철학자 쥬디트 버틀러(Judith Butler, 1956- )는 ‘젠더 이데올로기’의 선구자로 알려졌는데, 자신을 레즈비언으로 밝히고 있다. 그녀는 1990년 출간된 저서 ‘Gender Trouble–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의 독일어 제목을 ‘성의 불쾌감’(Das Unbehagen der Geschlechter)이라 붙이면서, 제목부터 이미 남성과 여성으로서의 정체성 전복과 파괴에 관해 다루고 있다. 그녀의 주장에 따르면 남자와 여자, 부부와 가족,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본래 생물학적 성별에 따른 천성적인 의무가 없다고 한다. 나아가 그녀는 생물학적 성별에 기초한 모든 의무들은 남성 우월주의에 근거했다는 전제 하에, 성에 기초한 모든 구별을 근절시키고자 했다.


그러한 주장의 불합리성과 무모함이 확인된 가운데서도, 그녀는 ‘중성적 언어’ 도입을 시도했다. 그녀의 본질적 의도는 남성적·여성적인 것의 모든 구별을 폐기시키는 데 있었다. 모든 인격적인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양성적 형태(남학생과 여학생들; Schüler und Schülerinnen)를 함께 사용하든, 아니면 여성과 남성에 관련된 포괄적 단어의 형태, 예를 들어 ‘남학생’ 대신 ‘학생들’의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스위스의 많은 초·중·고교에서는 실제로 지금 ‘부모1’ ‘부모 2’로 호칭함으로써,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양성적 역할의 차이에 대한 언급조차 회피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스웨덴에서는 선생님들이 학급 교실에서 남학생·여학생이라 부르는 것이 금지돼 있고, 학생들을 부를 때 공통적으로 ‘친구(Vänner)’라는 호칭어를 사용해야 한다.


젠더 이데올로기를 추종하는 사람들은 이런 방식으로 새로운 세계관을 도입하려 하며, 그 속에서 동성애를 포함해 젠더의 다양성을 위한 공간이 만들어지기를 추구한다. 거대한 호칭의 일률성 안에서 양성의 모든 차이들을 없애려 시도하면서, 그들의 새로운 세계관에 기초한 사회로 바꾸고자 한다. 심지어 ‘새로운 사람’을 창조하기 위한 선구자적 도구로, ‘중성적 언어’를 만들고자 한다.


쥬디트 버틀러(Judith Butler)는 새로운 이론으로 사회적 인정을 받게 됐다. 특히 2012년 9월 프랑크푸르트 시에서 테오도르 W. 아도르노 상을 수상한 후, 20년 만에 그녀의 이론은 많은 대학에서 ‘젠더학’(Gender-Studies)이라는 이름 하에 정규 학과목으로 채택됐다.


2. ‘성 차별 교육 철폐론’의 영향과 결과


젠더 이데올로기를 옹호·주장하는 자들은 모든 분야에서 ‘성’의 절대 동일성을 요구하고, 그것을 관철시키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하고 있다. 나아가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가지 성 외에도 다양한 성들이 있음과, 모든 성적 성향들이 동등한 가치로 인정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각자가 고유의 성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자유도 존중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동시에 옛부터 전승된 덕성, 도덕, 그리고 정절 같은 숭고한 가치 개념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새로운 젠더 이데올로기들로 문화를 채우기 위해 지금까지의 고유 중심개념들을 무가치하게 만들고 있다. 예를 들어, 진리와 책임의 기능을 동시에 가진 ‘자유’의 개념을 “당신이 하고 싶은 대로 하라!”는 개념으로 파기하거나, 역기능화시킨다. 이로 인해 동성애주의에 대한 가치 평가와 양성주의(Heterosexualität)와의 동등성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심지어 사회나 언론에게서 동성애에 대한 두려움이나 미움 때문이라는 ‘호모포비아’(동성애 혐오자)로 지탄받거나 정신 이상자로 취급받고 있다.


3. 생물학적 또는 인류학적인 혁명


GM은 생물학적 혁명의 결과이다. 두 번에 걸쳐 선행된 거대한 혁명들, 즉 프랑스 대혁명(1789)과 볼셰비키 혁명(1917) 이후 세 번째 세계사적 혁명으로 간주되고 있다. 두 거대한 혁명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제도에 대항하여, 즉 정치적 신분제와 경제적 계급사회에 대항했다면, 세 번째 혁명은 하나님의 창조 질서와 하나님 주권에 대항하여 일어나고 있다.


젠더주의(Genderismus)는 무신론적이며 반신론적일 뿐 아니라, 교황 프란치스코가 강조했듯 사단적 근원들을 갖고 있다. 2012년 12월 21일 추기경단 전체 모임에서,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젠더 이데올로기 안에 깊이 숨겨진 비진리성과 그 근간을 이루는 ‘인류학적 혁명’을 경고했다. 그는 이렇게 선포하였다. “가정을 유지하기 위한 투쟁은 인간 자신, 스스로를 위한 것이다. 하나님이 부인되는 그곳에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도 무너져 버린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계속>


/피터 바이어하우스(Peter Beyerhaus)
신학박사, 독일 튀빙겐대학교 신학교수 은퇴
번역: 피터 장(Peter Chang)
(약학박사, 현 유럽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 명예대표)


?

  1. No Image

    고신영성

    고신영성의 특징과 개혁주의 신학적 조명과 평가 감순성 교수 (2016.11.7, 코람데오닷컴 게재문) I. 들어가는 글 금년은 고려신학대학원 개교 7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8.15 해방직후 1946년 개교된 고려신학교 설립은 한국 교회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41
    Read More
  2. No Image

    사탄과 마귀

    사탄과 마귀 성경에서 사탄이라는 말하고 마귀라는 말은 동의어로 나타납니다. 요한계시록에 옛 뱀이오. 사탄이오. 마귀라 이렇게 얘기하는 것이지요. 이 존재는 타락한 천사들 가운데 가장 우두머리인 존재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천사들이 언...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57
    Read More
  3. No Image

    미합중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한국국회 연설문

    미합중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한국국회 연설문 2017.10.08. Assembly Speaker Chung, distinguished members of this Assembly, ladies and gentlemen: Thank you for the extraordinary privilege to speak in this great chamber and to address your pe...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99
    Read More
  4. No Image

    방언

    방언 중지/폐지론자 가운데 "자신이 방언을 했었다"는 사람이 꽤 된다. 목사도 있다. 엄청난 건 줄 알았는데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 사람은 안 하면 된다. 그 사람에게는 울리는 꽹과리(ἢ κύμβαλον ἀλ&...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848
    Read More
  5. No Image

    우리는 무엇을 팔고있는가? 권수경 목사

    우리는 무엇을 팔고있는가? 권수경 목사 500년 전의 면죄부 마르틴 루터가 1517년 10월 31일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대학 채플 정문에 써 붙인 게 종교개혁의 시발점이라고 많이들 알고 있으나 루터가 반박문을 써 붙인 적이 없다는 사실이 오래 전에 밝...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08
    Read More
  6. No Image

    동성애, 성경 그리고 기독교

    동성애, 성경 그리고 기독교 신원하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I. 들어가면서 1960년대 서구 사회에서 일어난 성 혁명의 물결은 서구 사회에 동성애에 대해서도 전향적으로 나아가는 문을 열어 주었다. 사회학자 기든스(Anthony Giddens) 교수는 이 시대의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90
    Read More
  7. No Image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 2017.10.30.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은 성경에서 칭의의 복음을 재발견하고, 이 복음의 진리로 중세 교회와 사회를 개혁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빈...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811
    Read More
  8. No Image

    인터콥에 대한 연구보고서

    인터콥에 대한 연구보고서 (저자미상, 신뢰도 확인되지 않은 글) 2012년 12월 현재 인터콥(최바울)은 예장통합에서 교류금지(2011.9), 예장고신에서 지도기간 중에 참여자제(2011.9), 세이연(세계한인기독교이단대책연합회)에서 이단성/교류금지/예의주시(201...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1326
    Read More
  9. No Image

    근본주의적 삶의 양식을 회개한다

    근본주의적 삶의 양식을 회개한다 서충원 목사 (총신대 신대원, 숭실대 대학원) 아래의 글은 대부분 참고할만하지만 진보신학의 영향을 받은 위험한 발상으로 보인다(편집자 주) 신앙을 이성과 대립되는 것으로 보고 이성을 억압하고 이성적인 비판을 부정한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757
    Read More
  10. No Image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현재 일본의 기독교인 수는 약 105만 명이다. 이는 일본의 총인구 약 1억2천만 명 가운데 대략 1%에 해당하는 숫자다. 약 150년 동안 열심히, 그리고 성실하게 전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지금도 결정적으로 소수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744
    Read More
  11.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총대, 그리고 교회 (신재형, 페이스북 글, 2017.10.11.) 최근 고신 교단 총회에 김세윤 교수가 포함된 이신칭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와 신학교수들의 입장에 대한 질의가 상정되었다. 신학위원회는 이에 대해 논의를 했...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37 file
    Read More
  12. 문 닫는 교회 스타일 15가지

    문 닫는 교회 스티일 15가지 <기독일보> 20170506 1. 전도 하지 않는 '불임(不姙)교회' 흔히 전도지만 돌리는 형식적으로 전도로는 생명을 잉태시킬 수 없습니다. 입으로 발로 뛰면서 세상 사람들의 삶속에 뛰어들어야 합니다. 한 생명을 천하보다 더...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917 file
    Read More
  13.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My Response I just read a disturbing, I mean for me personally, earth-shatteringly disturbing essay by Christiane Tietz about Karl Barth entitled: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As most of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3728 file
    Read More
  14. No Image

    박영돈의 칭의론, 고신신학자답지 않다.

    박영돈의 칭의론, 고신신학자답지 않다. 정이철 <바른믿음> (2017.10.05). 박영돈 교수의 칭의에 대한 글에 대해 사람들의 말이 많다. 어떤 분이 박 교수의 “값싼 은혜의 복음은 종교개혁의 가르침을 왜곡한 것”이라는 글을 자신이 페북에 올리면...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92
    Read More
  15. 예장 통합, 천주교 영세 인정 수용

    예장 통합, 천주교 영세 인정 수용 (교회와 신앙 기사) [ 주요 교단들의 정기총회에서 이단 사이비 관련 보고서들이 제출돼 채택되었다. 먼저 예장통합(총회장 최기학 목사) 제102 총회에 보고된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의 연구 및 조사 보고서들을 소개한다. ①...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12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