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박 군의 심정


박군의 심정.jpg


(위 전도책자나 동영상 그림을 제공하실 분을 찾습니다)


사람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곳은 마음입니다.

그러나 사람이 사람의 마음을 다 헤아릴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 속담에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의 마음은 모른다는 말이 있습니다.

의사들은 청진기로 심장의 박동소리도 듣고,

X-ray나, MRI나 초음파로 뇌파 활동과 심장의 박동소리를 모니터에

떠오르는 그라프로 보고 듣기도 합니다.

그러나 과학과 의학이 아무리 발달을 해도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그려내는 기계는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그려 내는 기계가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성경입니다.


표지 그림을 봅시다.

여기 한 사람의 마음이 보입니다.

마음에 여러 가지 동물로 들어있습니다.

이것이 인간의 심령을 형상화한 성경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오른편 위쪽에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살펴봅시다.

 

첫째, 개구리입니다.

옛날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종살이할 때 내린 재앙 중에 개구리 재앙이 있었습니다.

이는 더러운 영을 비유한 재앙입니다(계16:13).

 

둘째, 뱀입니다.

에덴동산에 나타나서 인류의 시조 아담을 유혹한미혹의 영입니다(창3:3).

 

셋째, 사자입니다.

사자는 맹수의 왕이라고 불리 울 만큼 사나운 짐승입니다.

그러므로 물어뜯고 찢는 핍박의 영입니다(시22:13).

 

다음은 제일 밑에 있는 네 번째 거북이입니다.

거북이는 손만 되면 움추려 들고 움직이지를 않습니다.

이는 더디하는 나태한 게으름의 영입니다.

 

왼편에 다섯 번째는 돼지입니다.

성민에게 돼지는 저주받은 가증한 짐승입니다(마8:32).

이는 곧 탐욕의 영입니다.

 

여섯 번째, 염소입니다.

염소는 절대로 가만히 있지를 못합니다.

뿔로 남을 지어 박고 해하는 심술 굳은 짐승입니다.
가만히 서 있어도 꼭 높은 곳에 서는 교만한 영입니다(마25:45).

 

여덟 번째 공작새입니다.
공작새는 평상시에는 가만히 있다가

사람만 다가가면 깃털을 새우고 날개를 펴서 자랑하는
잘 난 척 하고 싶어 하는 허영의 영입니다.


그런데 그 위에 보면 예리한 눈이 하나 있습니다.

이 눈이 우리가 생각하고 행하는 모든 행위를 다 지켜보고 있습니다.

우리가 불의를 행할 때마다 우리를 정죄하는 우리의 마음에 하나님이 파견한 파수꾼입니다.


이것을 우리는 양심이라고 합니다.

이 양심이 우리가죄를 지으면 마음이 아프고 하나님을 무서워하게 합니다.

그런데 사단이 자기의 왕국을 건설하여

그 사람의 마음을 완전히 황폐하게 하여 그 양심이 파수꾼의 사명을 감당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그래서 이런 깨끗한 양심이 죄로 오염이 되어

더러워지고 화인을 맞아 양심의 기능을 마비시키게 합니다(딤1:15, 딤전4:2).

그러므로 우리는 이 양심이 파수꾼의 사명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양심이 제 기능을 발휘할 때 가정이나 사회나 국가가 참 평화를 누리게 됩니다.
누구든지 사람들은 다 착하게 살고 싶어 합니다.


그런데 그게 자기 힘으로 안 됩니다.
왜냐하면 이 짐승들을 다스리는 괴물이 사람의 마음 중심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괴물은 창을 들고 자기의 명령을 거부하면

그 사람의 가정과 산업을 파괴하려고 위협해 옵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안 되는 줄 알면서도 그의 종살이를 하게 됩니다.

성경은 이를 마귀요 사단이라고 합니다.


이 사단을 물리치기 전에는 이런 짐승들을 좇을 수가 없습니다.

이것은 총이나 칼로 제압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약을 먹여 줄일 수도 없습니다.
이 사단은 세상에 그 어떤 것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마귀가 두려워하는 것이 딱 한 분이있는데 그분이 바로 예수님입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을 내 인생 주인으로 모시면

마귀는 저절로 도망을 가게 됩니다 (막5:7-8).


갈릴리 바다 동편 거라사라고 하는 지역에 군대 귀신
이 들린 자가 예수를 구주로 영접한 이후에 새사람이 되었습니다.



?

  1. No Image

    개혁교회와 장로교회의 차이점

    개혁교회와 장로교회의 차이점 김영환 교수 들어가는 말 루터에 의해 종교개혁이 시작된 이후 스위스 제네바는 프랑스 사람 존 칼빈에 의해 참된 교회 건설의 전초기지가 되었다. 유럽의 수많은 개혁 지도자들은 이 곳 제네바 교회와 그 교회의 지도자 칼빈으...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726
    Read More
  2. No Image

    인터콥(선교단체)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연구보고서

    인터콥(선교단체)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연구보고서 고신선교위원회에서는 이미 인터콥이 선교에 유해하다는 판정을 한 바가 있다. 고신 선교위원회와 여러 교단과 선교단체의 지적을 받은 인터콥은 한국세계선교협의회 신학지도위원회의 자문을 받...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04
    Read More
  3. No Image

    폐쇄위기의 오프라인 신학교들

    - [취재수첩] 풀러신학교 지역 캠퍼스 매각과 온라인 추세에 대한 우려 뉴스앤조이 (2017.07.31.) [미주뉴스앤조이=양재영 기자] 얼마전 일부 지역 캠퍼스를 폐쇄한다고 발표한 풀러신학교의 발표는 에 우려했던 상황이 현실이 되었다는 자조섞인 목소리가 높...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25
    Read More
  4. No Image

    중년이어서 아름다운 사랑

    중년이어서 아름다운 사랑 배정원 졸혼·황혼이혼으로 가족 울타리 벗어나는 독신중년들의 불타는 로맨스 최근 중년들의 로맨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중년의 로맨스 하면 쉽게 《메디슨카운티의 다리》를 떠올린다. 미국 아이오와주에서 평범하고 한적한,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250
    Read More
  5. 루이스 벌콥과 한국교회의 신학

    루이스 벌콥과 한국교회의 신학 <김영규 목사>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이제라도 한국장로교회는 건전한 개혁주의 신학 사상 회복해야” 한국장로교회에서 루이스 벌콥(Louis Berkhof)의 조직신학이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특히 그의 생애에 있어서 신학...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94 file
    Read More
  6. 사도신경의 한계

        사도신경의 한계   "너희가 하나님의 영을 알지니 곧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요일 4:2).   1. 신조(Creed)는 기독교의 근본 교리를 새롭게 세우려는 목적이 아니라 오히려 방어하기 위한 것이다. 신...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30 file
    Read More
  7. No Image

    네덜란드개혁교회의 여자 직분 문제와 한국교회의 과제

    네덜란드개혁교회의 여자 직분 문제와 한국교회의 과제 <개혁정론> 2017.7.15. 임경근 목사 (다우리교회 담임목사) 임 목사는 네덜란드 개혁교회신학대학원 Kampen(Drs.)과 Apeldoorn(Ph. D.)에서 공부했으며, 그의 박사학위 논문제목은 “Het spoor van de vro...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253
    Read More
  8. No Image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법정 진술 모두 발언 전문>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법정 진술 모두 발언 전문> 저는 대학을 졸업한 뒤 23년간 검사로 근무하였고, 이후 1년의 변호사 생활을 거쳐 2년 6개월간 다시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및 민정비서관으로 근무하였습니다. 학교 졸업 후 제 인생의 대부분의 시간을 공...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989
    Read More
  9. No Image

    청소년 감소 현상과 교회 교육의 대처 방안

    청소년 감소 현상과 교회 교육의 대처 방안 - 2017년 7월호 김성중 교수 (장신대) 청소년 감소 현상과 교회 교육의 대처 방안 - 2017년 7월호 성가족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청소년 통계’에 의하면, 9-24세(청소년 기본법 기준에 따른 청소년 연령)에 해...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88
    Read More
  10. No Image

    김성수 목사에 대한 보고서 (예장합신, 2015)

    김성수 목사에 대한 보고서 (예장합신, 2015)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97
    Read More
  11. No Image

    종교개혁과 교리개혁: 사도신경을 중심으로/ 유해무

    미정리 상태입니다. 조금 후에 정리하겠습니다. 아래의 글은 2017년 6월 19일부터 22일까지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린 하계목회대학원의 강의안입니다. - 편집자 주 개혁정론 2017.06.23 종교개혁과 교리개혁: 사도신경을 중심으로 ? ?유해무 교수/ 고려신학대...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270
    Read More
  12. No Image

    죽음준비 설교

    죽음준비 설교 송영목 페이스북 죽음 준비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하고 2년 지난 1519년, 루터는 죽음의 준비에 대한 설교에서 20가지 방법을 제시했다(루터 전집 42:97-115). 주의할 것은 여러 곳에(4-5, 13, 15-19단계) 가톨릭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1.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306
    Read More
  13. No Image

    동성애에 관한 입장, 예장통합 총회

    예장 통합 총회, 동성애에 관한 입장, 예장통합 총회 동성애에 관한 총회의 입장 총회는 이전 회기에 이미 동성애 문제와 퀴어 문화 축제, 미 장로교회의 동성애 결혼 개정 등에 대해 입장을 발표해 왔으나 생명 존중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다...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900
    Read More
  14. No Image

    소아성애자들의 논리 일곱 가지

    소아성애자들의 논리 일곱 가지 미국의 신학자이자 칼럼니스트인 마이클 브라운 박사가 얼마전 한 기독교매체에 기고한 글에서 동성애 합법화로 인해 이제 소아성애 합법화 가능성까지 커졌다고 우려하면서 소개한 소아성애자들의 논리가 인상적입니다. 브라운...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380
    Read More
  15. No Image

    복음서는 왜 네 권인가?

    복음서는 왜 네 권인가? 조병수.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바른미디어, 2017.5.31. 네 권의 복음서가 있는 것은 초대교회 때부터 고민거리였습니다. 왜 복음서가 네 권이 있어야 하는가? 그래서 초대교회의 어떤 목사님, 어떤 신학자는 복음서가 네 권이 있어야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5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