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U_EU.jpg


유럽연합기 (12별 왕관)


왜 유럽연합 깃발의 별은 12개인가?

유럽연합의 회원국 수는 현재 27개국이다. 유럽연합 깃발(flag)에 그려진 별은 12개이다. 12개의 별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말하는 12개의 범주, 예수의 12명의 제자, 12라는 숫자가 갖는 완벽성, 12개의 별자리, 시계의 12시간, 한해의 12달, 그리스 신화의 올림피아 12신, 로마법 12조를 뜻하는가?

유럽연합(EU) 깃발은 마리아를 앞세운 로마가톨릭교회의 세계통치 이념을 표상화 한 것이다. 12별 왕관은 ‘하늘의 여왕’ 곧 국가와 종교와 세상의 통합을 상징하는 성모 마리아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다. 로마가톨릭교회는 요한계시록 12장 1절에 나오는 열두 별 달린 왕관을 쓴 여인을 마리아로 해석한다.

유럽연합 깃발 초안에는 기독교를 상징하는 십자가가 그려져 있었다. 초안이 거절되자, 유럽위원회 문화성 수장 폴 레비(Paul Levi)가 현재의 것을 만들어 승인을 받았다. 레비는 유태교에서 로마가톨릭으로 개종했다. 어느 날, 마리아 상에 비치는 햇빛에 반사된 푸른 하늘에 나타난 장엄한 황금 왕관에서 유럽연합 깃발 모양의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유럽연합이 ‘하나님의 어머니,’ ‘하늘의 여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그녀를 지극히 공경함을 상징한다(참고: Enrich Brüning, Hans-Werner Deppe, Lothar Gassmann, Projekt EINHEIT: Rom, Okumene und die Evangelikalen, Oerlinghausen: Betanien Verlag, 2004, p. 43.)

에베소공의회(431)가 마리아에게 ‘하나님의 어머니’라는 타이틀을 부여하자마다, 열성적인 이교 출신 기독교 신자들 곧 진정으로 회심을 하거나 개종을 한 것이 아니며 그리스도를 만나는 체험을 한 바 없이 정치적으로 또는 형식적으로 기독교로 전향한 자들은 당장 “위대한 하나님의 어머니, 찬송 받을 지어다”(Praise be the Theotokos)라고 하는 송영을 올렸다.

이것은 에베소의 여신 아르테미스(Artemis of Ephesus)에 대한 칭송 구호와 똑 같다. 이스다롯(Ishtar, Ishtarot), 규벨레(Cybele), 아르테미스(Artimis) 여신 숭배 개념과 이교 여신숭배 신앙 행습은 곧장 ‘하나님의 어머니’(마리아)에게 적용되었다.

로마가톨릭교회의 마리아 숭배 신앙은 근본적으로 이교 신앙의 텃밭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신학자 칼 바르트(Karl Barth)는 “마리아 교리나 마리아 숭배는 로마가톨릭교회가 주장하는 여타의 것들이 얼마나 이단적인지를 단적으로 웅변하는 표본이다”라고 말한다. 일부 로마가톨릭교회 신학자들은 로마가 마리아를 ‘하늘의 여왕’(Regina coeli), ‘공동 구속자’(Coredemtrix), ‘은총의 중재자’(Mediatrix gratiarum)와 같은 칭호들로 치장한 것을 지나치고 그릇된 신앙심의 결과이며 궤도를 이탈한 무절제한 주장이라고 본다.


참고: 위 글은 <리포르만다> (Old Reformanda)에 실린 것으로 29,043명이 접속했다. 최덕성, <신학충돌: 기독교와 세계교회협의회>(서울: 현장과본문사이, 2012), 245, 각주 74에서도 소개한다. 로마가톨릭교회와 마리아론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다.


최덕성





  • ?
    늘새롬 2014.07.12 20:33
    총체적 이단 카톨릭 신학을 다시 배우겠습니다.
    바른 지식의 판단이 우리 기독교의 정통신앙을 굳게해나가는데 큰 힘이 될 줄 믿습니다.
  • ?
    dzezy 2014.07.22 01:57
    매우 감사합니다

  1.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과 고신신학의 좌표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과 고신신학의 좌표 박종칠 목사 (전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구약신학) 고신교단 총회 신학부 실행위원으로 목사후보생 강도사 사정 임무를 가지고 고려신학대학원(천안, 2003.1.)에 갔을 때 최덕성 교수가 “하기오그래피와 역사관...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175 file
    Read More
  2. 정당한 전쟁론, 양심적 병역의무

    뉴욕 유엔본부 정당한 전쟁론, 양심적 병역의무 대한민국은 ‘여호와증인’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단 그룹의 젊은이들의 이른바 “양심적 병역 거부”를 용인하는 방향을 나아가고 있다. 프로테스탄트 교회들과 로마가톨릭교회는 병역 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372 file
    Read More
  3. 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원제: 기독교와 자유주의, 상이한 표현인가, 다른 종교인가? 영국국교회 사제 존 셀비 스퐁은 다원주의 시대를 맞아 급속하게 변모하는 21세기의 기독교를 ‘새로운 기독교’(A New Christianity)라 부른다. 신약신학...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5970 file
    Read More
  4. 튜립(TULIP)

    튜립(TULIP) 튤립(TULIP)은 유럽의 자그마한 나라 네덜란드의 국화다. 이 지역 도시 도르트에서 1600-1600)모인 기독교 총회는 정통신앙으로, 이에 반하는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이단으로 정죄했다. 다섯 가지 요점의 영어 단어 첫 글자를 모으면 튜립이라는 글...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182 file
    Read More
  5. 정통신앙과 찰스 피니

    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1878) 정통신앙과 찰스 피니 장로교 신앙에서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웨민신고는 장로교 신앙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장 권위있게 사용되고 있는 신앙문서이다. 미국의 개혁신학자들은 웨스트민터...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825 file
    Read More
  6. 복음주의와 한국복음주의

    복음주의와 한국복음주의 한국 복음주의는 ‘복음주의’인가? '베빙턴 테제’와 복음주의에 대한 성찰 최종원, <복음과상황> (2018.04.27.) 1. ‘복음주의’라는 불편한(?) 용어 언제부터인지 정확하지 않지만 어느 순간 한국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267 file
    Read More
  7. 성경이 '표준'이라는 생각에 담긴 오류

    성경이 '표준'이라는 생각에 담긴 오류 로마가톨교회는 교회이나 공의회가 성경의 권위를 승인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개신교는 성령께서 성경의 권위를 성경 자체에 내적으로 부여한다고 본다. 이를 성경의 “자증”(Autopistia)이라고 한...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150 file
    Read More
  8. 한국복음주의 개신교의 기원과 특징

    한국복음주의 개신교의 기원과 특징 유대영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의 가장 중요한 현상 가운데 하나는 바로 교파와 크기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교회들이 자신을 “복음주의자”로 규정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단순히 자신들의 신학적 보수성에서 복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390 file
    Read More
  9. 구약시대 백성들은 어떻게 구원을 받았나요?

    구약시대 백성들은 어떻게 구원을 받았나요? 저는 오직 예수님을 통해서만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기독교의 진리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직 그리스도가 오시지 않았던 구약 시대에는 어떻게 구원을 받았는지 궁금합니다. 어떤 분은 그리스도의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5084 file
    Read More
  10. 톰 라이트와 김세윤의 신학은 같지 않다

    톰 라이트와 김세윤의 신학은 같지 않다 김세윤 박사(풀러신학교 교수)의 신학 내용에 대해 뜻있는 몇 명의 목사들이 모여 비평적 독서와 연구를 진행했다. 협업으로 <현대 칭의론 논쟁,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 고찰>(CLC, 2017)를 출판했다. 김세윤의 신학보...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648 file
    Read More
  11. 예수는 신화가 아니다

    예수는 신화가 아니다 책명: <예수는 반신화다> 저자: 정일권 (새물결플러스, 2017, 376쪽) 이 책은 오강남 교수의 <예수는 신화다>와 같은 영지주의적 관점과 니체를 필두로 한 로고스(이성)에서 뮈토스(신화)에로의 근대 후기 사상과 문화적 흐름을 직시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143 file
    Read More
  12. 교회사가와 역동적 사고

    사진: 이규왕    교회사가와 역동적 사고   저명한 교회사가 필립 샤프(Philip Schaff, 1819-1893)는 자기 시대의 프로테스탄트 교회사를 “로마가톨릭교회와 일치 과정의 역사”라고 말했다. 스위스 출신 신학자로, 튀빙겐, 할레, 베르린 대학에서 공부했다.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443 file
    Read More
  13. 종교개혁 500주년 과제, 개신교와 가톨릭의 재결합

    종교개혁 500주년 과제, 개신교와 가톨릭의 재결합 가톨릭 비판해 온 최덕성 박사, ‘교회론 대화’ 논문 발표 <크리스천투데이> (2017.10.23.) 보도문, 이대웅 기자의 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20~21일 열린 7개 신학회 공동학술대회에서 80여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1239 file
    Read More
  14. 아직도 종교다원주의를 지향하십니까?

    아직도 종교다원주의를 지향하십니까? 김요환/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학생 역사비평학 문제와 자유주의 신학의 결함 그리고 개혁신학을 빙자한 이단사냥꾼들의 편협함 등이 사회통신망( SNS)에서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정중하게 학문적인 근거를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1311 file
    Read More
  15. 북한 지명을 가진 남한 노회들

    북한 지명을 가진 남한 노회들 예장 고신 총회가 행정구역에 따른 노회구역 조정과 노회명칭 변경 안을 통과(2017.9.21.)시켰다. 최근 가입한 80여개 교회들만 잠정적 예외로 두고, 노회 구성을 전면 재조정 개편하기로 결의했다. 새 노회구역 명칭을 아날로...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47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