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칼빈의 그리스도의 지옥 강하(降下)의 교리를 설명함(2.16.8-12)/ 구모영

 (1) “지옥에 내려 가사”(2.16.8) 종래와 달리 지금 우리가 암송하는 사도신경에는 “지옥 강하”라는 말이 없지만, 칼빈은 이 말을 빠트려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이것은 구속을 실현하기 위해서 적지 않게 중요한 일이다. 그럼에도 고대의 사도신경의 어귀에도 이 말이 종종 빠지곤 하지만, 이 말은 매우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귀중하고 유용한 신비가 거기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교부들 가운데는 그리스도의 지옥 강하를 말하지 않은 사람이 한 명도 없고, 다만 해석이 서로 달랐을 뿐이라 칼빈은 말한다.

칼빈에 따르면 지옥 강하라는 이 신조를 제거한다면, 그리스도의 죽음의 혜택은 많이 상실된다고 본다. 혹자는 지옥이라는 말은 성경에서 자주 ...무덤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죽으셨다”는 의미의 반복에 불과하여 이 용어를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하지만, 칼빈의 생각은 달랐다. 칼빈은 용어 자체가 분명히 표명하고 있는 것을 모호하게 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교부들이 가장 간결하고 요약된 사도신경에 이 말을 굳이 사용한 것은 이 문구가 쓸데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점에서, 이 말을 제거하는 것은 반대한다.

(2) 그리스도는 지하 세계에 가셨는가(2.16.9) 칼빈은 그리스도께서 지옥까지 강하하신 것은, 그가 성령의 힘으로 그들에게 비추셔서 그들이 소망으로 맛보았던 그 은혜가 그 때에 세상에 나타났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게 하셨다는 것을 지적한다. 그러면서 베드로전서 3장 19절의 말씀과 관련하여, 칼빈은 “그 때보다 먼저 죽은 신자들도 우리와 같은 은총에 참가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베드로는 그리스도의 죽음의 힘이 죽은 자들에게까지 미친다고 해서 그 힘을 찬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칼빈은 그리스도의 지옥 강하를 인정하는 것은 무용한 것이 아니라, 경건한 영혼들은 간절히 기다리던 강림을 목전에 보고 기뻐하는 반면에, 악인들은 자기들이 구원에서 전적으로 배제된다는 것을 더욱 분명히 깨닫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본다.

(3) “지옥 강하”는 우리를 위해서 그리스도가 받으신 정신적 고통을 의미한다(2.16.10). 칼빈은 사도 신경에 이 말이 빠져야 하는가의 문제와 별도로, 그리스도의 지옥 강하에 대해서 더욱 확실한 설명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칼빈은 그리스도께서는 철저하게 하나님의 진노로 온전한 징계를 받으셨기 때문에, 우리가 평화를 누리게 된 것이다(사 53:1-5). 그리스도는 악인들을 대신해서 보증과 담보가 되시며, 심지어 피고가 되셔서 그들이 받아야 하는 모든 벌을 참고 받으셨다는 것이다. 다만 그가 모든 벌을 받으셨지만, 하나의 예외가 바로 “그는 사망의 고통에 매여 있을 수 없었다”(행 2:24)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그리스도가 지옥에 내려 가셨다고 하더라도 아무런 이상한 것이 없다는 것이 칼빈의 지적이다.

칼빈은, “그리스도께서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당하신 고난을 사도신경이 말한 다음에, 그가 하나님 앞에서 받으신 저 보이지 않고 헤아릴 수 없는 심판에 대해서 적절히 말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를 구속하시는 대가로서 그리스도의 몸을 주셨을 뿐 아니라, 그보다 더 위대하고 훌륭한 값도 주셨다는 것을- 즉, 정죄와 버림을 받은 사람의 무서운 고민을 그의 영혼이 겪으셨다는 것을- 우리가 알게 하려는 뜻이다”라고 말한다.

(4) 성경 귀절로 이 설명을 변호함(2.16.11) 베드로는 “그리스도께서 사망의 고통을 풀고 살아나셨으니, 이는 그가 사망의 고통에 매여 있을 수 없었다”(행 2:24)고 하였다. 이 말 속에는 베드로가 그리스도의 단순한 죽음만 말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분명히 하나님의 아들이 죽음의 고통에 붙잡히셨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 것이라 칼빈은 이해한다. 그리스도의 고통은 하나님의 저주와 진노에서 오는 고통이며 죽음의 원천이었다. 만약 그리스도의 죽음이 아무 두려움 없이 나서서 장난같이 죽음을 당하게 되셨다면, 그것은 얼마나 사소한 일이겠는가라고 칼빈은 반문한다.

그렇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우리 인간이 겪을 수 있는 최고의 극심한 두려움과 공포, 무서움과 괴로움을 당하신 것이며, 그가 신성을 지녔지만 십자가 지심에 있어서는 철저하게 우리를 위한 속죄의 제물이 되셨기 때문에 한없는 고통과 눈물을 흘리신 것이다. 혹자는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이기 때문에 고통도 두려워하지 않았다고 말하지만, 이것은 분명 잘 못된 설명이다. 어쩌면 주님의 사역은 힘드셨으며, 머리 둘 곳도 없이 다니셨기 때문에 더 피곤하셨을 것이다. 그래서 고물을 베게로 하여 깊은 잠에 빠지신 것도 주님이셨다. 주님은 십자가 앞에서 할 수만 있으면 이 잔을 피하게 해 달라고 하셨고, 이 문제를 위하여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실 때 땀이 핏방울과 같이 되신 것 아니겠는가? 또한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하고(마 27:46; 시 22:1) 절규하지 않으셨는가?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그는 하나님의 엄격한 벌을 받아, 하나님의 손에 채찍을 맞아 고통을 받으셨으며(사 53:5), 노하시며 벌하시는 하나님의 모든 표징을 완전히 그리고 철저하게 체험하셨다.

(5) 오해와 오류에 대해서 이 교리를 옹호함(2.16.12) 칼빈의 비판자들은, 칼빈의 위와 같은 생각에 대하여, 그리스도에 대한 무서운 훼방꾼이라든지, 하나님의 아들에게 믿음과 반대되는 절망을 돌린다는 비판을 한다. 그러나 칼빈은 복음서 기자들이 공공연하게 이야기한 그리스도의 두려움과 공포심에 대해서 그들이 논쟁을 일으키는 것은 악한 짓이라고 한다. 주님이 죽으실 때가 가깝기 전에 “심령이 민망(불안)”하여(요 13:21) 슬퍼하셨고, 그 때가 다가오자 무서워 심히 떨기 시작하셨다(마 26:37). 결코 그리스도가 시늉만 하신 것이 아니다.

칼빈의 비판자들은 칼빈의 위와 같은 생각에 대하여 본질상 악한 일을 그리스도에게 돌리는 비열한 짓이라 말하지만, “그리스도는 모든 일에 우리와 한결 같이 시험을 받은 자로되 죄는 없으시니라”(히 4:15). 그는 폭력이나 필연성의 강요를 받아서 굴복하신 것이 아니라, 순전히 우리에게 대한 사랑과 자비심으로 굴복할 생각을 하시게 된 것이다. 따라서 그가 우리를 위해서 기꺼이 받으신 모든 고난은 조금도 그의 권능을 깎아내리는 것이 아니라고 칼빈은 비판에 응수한다.

그리고 또한 비판자들은 그리스도는 저주와 진노에 대하여 무서워하지 않고 자기가 안전할 줄로 아셨다고 말하였는데, 칼빈이 이러한 말에 대하여 경건한 독자들은 그리스도가 대부분의 보통 사람들보다 더 씩씩하지 못하며 겁이 많으신 것이 그에게 얼마나 명예가 되었겠나를 생각하는 것이 좋겠다고 한다. 그가 이러한 두려움과 고통을 시늉으로 했다면 얼굴에 핏방울이 흘렀겠는가?(눅 22:14). 아버지에게 신음으로 호소하는 그에게 천사가 내려와 위로를 왜 했겠는가?(눈 22:43). 믿을 수 없는 비통함에 울부짖는 “내 아버지여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하고 세 번 반복을 하셨겠는가?(마 26:39).

그가 우리 때문에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피고로서 서 계시다는 것을 알았을 때에, 그가 얼마나 가련하고 무서운 고민을 하셨는가를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스도의 영의 신적(神的) 능력이 일시 숨어 있고 육의 연약이 자리를 차지했지만, 고통과 두려움에서 온 그 시력은 믿음과 반대되는 것이 아니었음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고 칼빈은 지적한다. 그래서 베드로의 역설, “그는 죽음의 고통에 매여 있을 수 없었다”고 한 말이 실현된 것이다(행 2:24). 따라서 칼빈은 이상의 논거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지옥 강하”는 의미가 없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담당해야 할 죄짐을 대신 지시는 분으로서, 하나님으로부터 철저한 버림 때문에 고통과 두려움을 시늉이 아닌 그 몸으로 직접 체험하신 것을 더욱 분명히 밝혀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성경이 이것을 증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삭제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다.

?

  1. No Image

    고신교회와 신학 70년의 회고와 전망

    고신교회와 신학 70년의 회고와 전망: Ecclesia semper reformanda 유해무 [아래는 유해무 교수(고려신학대학원)가 고려신학대학원 개교 70주년 기념 학술대회(2016년 10월 27)에서 발표한 논문 "Ecclesia semper reformanda: 고신교회와 신학 70년의 회고와 ...
    Date2016.11.04 Bydschoiword Reply0 Views1434
    Read More
  2. No Image

    김재규의 항소이유보충서

    (한국현대사 자료) 김재규의 항소이유보충서 피고인은 피고인의 변호인들이 1980년 1월 21일자로 제출한 바 있는 항소이유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보충합니다. 다음 1. 본인이 결행한 이번 10·26거사는 자유민주주의의 회복을 위한 혁명이었읍니다. 5·16과 10...
    Date2016.10.27 Bydschoiword Reply0 Views1325
    Read More
  3. No Image

    중국 기독교종교사무조례 수정안(2016)

    중국 기독종교사무조례 수정안(2016.09.07) 우려했던 일이 눈앞에 벌어지고 있다. 2005년 3월부터 시행된 종교사무조례가 머잖아 수정될 것 같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9월 7일 ‘종교사무조례 수정 초안’을 발표하고 10월 7일까지 공개적으로 의견을 청취한 뒤...
    Date2016.10.14 Bydschoiword Reply0 Views1709
    Read More
  4. No Image

    목회자의 언어생활/ 찰스 스펄전

    목회자의 언어생활 찰스 스펄전 ▲ 1. 목회자는, 스스로 목사임을 나타내려는, 우쭐하는 모습을 일상에서는 보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예수님은 스스로 ‘인자’라고 칭하셨습니다. (그 호칭이, 구약에 예언된 메시야라는 의미가 있다 하더라도) 일단 그 호칭...
    Date2016.10.13 Bydschoiword Reply0 Views1466
    Read More
  5. No Image

    글과 글쓴이의 체취

    글과 글쓴이의 체취 허헌기, 다음 브런치에서 옮겨 옴 , 활자에는 글쓴이의 체취가 묻어있다. 그래서 간혹 글과 사람을 등치시키는 위험한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나 글이 글쓴이의 인격을 완연히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글쓰기도 테크닉이기 때문...
    Date2016.09.23 Bydschoiword Reply0 Views2429
    Read More
  6. No Image

    유아세례: 성경은 뭐라고 말하는가?

    유아세례: 성경은 뭐라고 말하는가? 윌버트 판 다이크 (칼빈신학교 설교학 교수) 교회에서 드려지는 주일예배의 한 장면을 마음속에 그려보라. 세례반(盤)이 선명하게 보인다. 예수님을 믿는 부모가 세례 받을 유아를 목사에게 건네준다. 목사의 적셔진 손이 ...
    Date2016.09.21 Bydschoiword Reply0 Views1655
    Read More
  7. No Image

    ​신천지의 질문에 대한 답변

    ​신천지의 질문에 대한 답변   아래는 인터넷 공간에서 발견한 출처가 불분명한 글입니다. 내용의 정확성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이런 글이 돌아다닌다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편집자 주)     신천지가 교회마다 질문을 담은 편지를 보내고 있다. 질문...
    Date2016.09.18 Bydschoiword Reply0 Views1445
    Read More
  8. No Image

    인터콥 신학사상과 선교신학의 문제

    인터콥 신학사상과 선교신학의 문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2016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제66회 총회 제출 보고서 고신선교위원회에서는 이미 인터콥이 선교에 유해하다는 판정을 한 바가 있다. 고신 선교위원회와 여러 교단과 선교단체의 지적을 받은 인터콥...
    Date2016.09.01 Bydschoiword Reply0 Views2242
    Read More
  9. No Image

    좋은 아내 십계명

    좋은 아내 십계명 좋은 아내는, 1. 짜증나고 우울한 얼굴로 남편을 대하지 않는다. 2. 외출을 자주하거나 밤늦게 들어오지 않는다. 3. 자녀 앞에서 남편의 잘못, 허물을 책하지 않는다. 4. 이웃 남편과 비교하지 않는다. 5. 남편의 사생활에 일일이 간여하거...
    Date2016.08.29 Bydschoiword Reply0 Views5828
    Read More
  10. No Image

    방언교육, 김동수 교수(평택대)

    방언교육, 김동수 교수(평택대) 유튜브에 실려 있는 방언신학자 김동수 교수의 동영상을 옮겨 봅니다. "우리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여 주를 찬양합니다"를 "우리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여 내가 방언합니다" 고쳐 부르면, 저작권법 위반 아닌지 묻고 싶습니다....
    Date2016.08.29 Bydschoiword Reply0 Views2436
    Read More
  11. No Image

    이스라엘의 7대 절기

    이스라엘의 7대 절기 및 특별절기 이스라엘의 절기는 단순한 종교적 축제의 개념 뿐만 아니라 국가적 명절의 성격도 포함한 전민족적인 축제였댜.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법에 의해 하나님의 법으로 통치되는 신정 국가(神政國家)였기 때문이었다. 각각의 절기...
    Date2016.08.28 Bydschoiword Reply0 Views5957
    Read More
  12. No Image

    고신 정체성

    고신 정체성 강영안 교수 1. 교회가 받는 도전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언제나 안팎으로 도전을 받아왔습니다. 밖으로는 박해와 배척으로, 안으로는 잘못된 가르침과 불순종, 왜곡된 관행과 나태가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허물고 지리멸렬(支離滅裂)하게 만들...
    Date2016.08.27 Bydschoiword Reply0 Views2233
    Read More
  13. No Image

    세대주의에 대한 95개조 반박문

    세대주의에 대한 95개조 반박문 The Ninety-Five Theses Against Dispensationalism 로버트 L. 레이먼드 박사 (번역 : 김안식) 머리말 우리는 사람들이 이 세대주의 반박문을 보고 NiceneCouncil.com이나 역사적으로 성경을믿는 교회들이 모든 세대주의자들을 ...
    Date2016.08.22 Bydschoiword Reply0 Views3050
    Read More
  14. No Image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신복윤 교수(합동신학대원 대학교) 이 글에서는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등 몇몇 운동들의 용어, 역사적 배경, 사상적 특징들을 돌아보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활동한 상황, 평가, 그리고 한국 교회와의 관계 등을 차례로...
    Date2016.08.21 Bydschoiword Reply0 Views2319
    Read More
  15. No Image

    종교개혁자들과 선교개념

    종교개혁자들과 선교개념 황대우 (고신대) 선교학자들의 평가 개신교 선교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19세기 독일 선교학자 구스타프 바르넥(Gustav Warneck)이 종교개혁자들에게서 선교 활동뿐만 아니라 선교 개념조차도 찾아볼 수 없다고 혹평한 이후, 종교개혁은...
    Date2016.08.21 Bydschoiword Reply0 Views140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