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회자의 생계형 이중직/ 조성돈


조성돈 교수 페이스북에서



목회자의 이중직, 특히 생계형 이중직에 대한 조사에 많은 분들이 참여해 주셨습니다. 전체 904명의 목회자들이 유효한 대답을 해 주셔서 설문조사는 아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이 조사가 목회와신학이라는 월간지에서 진행한 것이라 제가 그 동안 공개를 미루고 있었습니다. 조사에 함께 해 주신 분들에게는 좀 죄송했습니다.


조사의 내용을 살펴보면 보건복지부가 정한 4인가족 최저생계비인 163만원에 이르지 못하는 목회자가 66.7%에 이르고요, 법원이 정한 최저생계비인 244만원이 안 되는 이들까지 합치면 85.6%였습니다. 결국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80%의 교회가 미자립이라는 말과 상통하는 것 같습니다. 목회자 이중직에 대해서는 73.9%가 찬성한다고 대답했고, 26.1%가 반대한다고 대답했습니다.


이렇게 보면 생계를 위한 이중직은 결국 현실이고, 이를 막고 있는 교단헌법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간단히 제 주장을 요약한다면,


1. 교단이 가로막고 있다보니 목회자들이 대리운전, 택시운전, 택배하차 등과 같은 밤을 세워서 하는 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인터뷰에 임해 주신 목사님들은 이러한 상황을 지적하며 목회자들이 위험한 일을 하는 것에 대해서 안타까움을 표시했습니다.


2. 이런 상황에서 이중직을 막을 생각만 하지 말고 오히려 목회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을 개발하고, 직업훈련도 시켜주어야 한다고 봅니다. 인터뷰에 임해 준 목회 한 명은 NGO에서 일한 일을 모범적인 사례로 꼽았는데 아주 그럼직 하다고 생각합니다. 목회자들이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사회운동을 하며 바른 세계관을 얻고, 자신의 달란트를 사용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훈련이나 교육이 필요합니다.


3. 목회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많은 목회자들은 먼저 장소를 먼저 구하고 교회 간판을 거는 일을 앞서 합니다. 즉 공동체가 모여서 교회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 건물 먼저 구하고, 인테리어 마치고 교회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성도들이 안 모이니 월세를 못 내고, 보증금에서 야금야금 까먹다가, 다 까먹으면 목회를 접는 것입니다. 즉 소명이 다하여 목회를 못 하는 것이 아니라 보증금이 다하여 목회를 못하는 것입니다. 교회는 공동체가 먼저입니다. 미션얼 처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입니다.

 

4. 이제 교단들이 실직적인 고민을 시작해야 합니다. 목회자들이 생계를 고민해야 합니다. 안수 많이 주어서 몸집 불릴 생각만 하지 말고, 안수 주어서 노회로 받아들인 그들의 삶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아래는 같은 주제에 대한 이승구 교수의 글 (페이스북에서)


물론 최선의 목회 형태는 모든 시간을 목회를 위해 바치는 형태의 목회이다. 목회는 기본적으로 전 시간을 다 바치는 헌신적 사역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성도들이 하나님의 뜻을 바로 알고 그 뜻을 잘 실현해 나 갈 수 있도록 노력하며, 그 일을 위해서 지금으로서는 아직 그런 헌신을 못하는 사람들 주변에 헌신적인 목회자가 있어서 그들을 위해 모든 것을 다 허비하는 좋은 모범을 보여 주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모든 성도가 제대로 자기 역할을 다 하는 경우에는 목회자가 모든 시간을 다 내어 그들에게 매여 있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그런 이상적인 상황을 찾기는 늘 어려운 법이다. 대개는 그렇게 준비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이 혹은 외롭거나 병들거나 갑자기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거나 가족이 병에 걸리거나 상()을 당하거나 하여 같이 있어 줄 누군가가 절실히 필요할 때에 목회자가 같이 있어 준 것이 좋은 기회가 되어 말씀을 배우기로 하고, 기독교적 헌신에로 자신을 드리게 되는 일도 많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목회자는 항상 성도들과 같이 살아가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정상적 상태의 목회는 항상 모든 시간을 다 들여 하는 목회(full-time ministry)의 성격을 가져야 한다. 예수님께서 보여 주신 목회의 본질을 생각하거나 현실적인 인간의 변화되는 과정을 볼 때 그것은 매우 당연한 요청이다.

 

그러나 그렇게 되려면 교회 공동체가 목회자의 삶을 전적으로 지지(支持)해 주어야만 한다. 그래서 목회자가 자신과 가족들의 삶의 지지(支持)에 대한 염려 없이 전적으로 성도들을 위해 시간을 다 내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동체가 매우 연약해서 목회자의 삶을 충분히 지지(支持)하지 못할 때는 목회자가 스스로 자신의 삶에 대한 지지(支持) 방도를 일부 마련하고, 따라서 시간을 쪼개서 성경을 연구하고 말씀을 준비하고, 또 성도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일도 하고 해야 한다. 여러 여건 때문에 한동안 이런 식으로 하는 목회가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일종의 부분적 목회(part-time ministry)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능력의 한계와 시간의 부족 등을 생각하면 이런 목회는 성도들을 충분히 돌보는 일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이 분명하다. 사도 바울이나 과거의 사역자들도 비상한 경우에는 그렇게 한 예가 있고 하니, 이런 경우들을 율법적으로 정죄하면 안 될 것이다. 이럴 때는 목회자 자신의 보다 많은 헌신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목회자 자신과 공동체가 스스로 자신들의 미약함으로 인해 주님의 교회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는 회개하는 마음으로 더 노력하여서 이런 결핍의 상황을 벗어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부분적 사역의 또 한 가지 예는 전 시간을 다해 목회하는 목회자를 도와서 목회의 여러 부분 중 일부를 다른 시간제(part-time) 사역자가 돕는 경우이다. 이때에도 반드시 교회 공동체에는 전 시간을 다 해서 성도들을 돌보는 사역자가 있어야 한다. 그런 사역자를 도와서 다른 사역자가 부분적 시간을 내어서 교회를 도와 설교를 도와준다든지, 교육의 일부를 담당해 준다든지 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대개 외국의 신학교 교수들이 이런 역할을 하곤 한다. 모든 시간을 다해서 성도들을 훈련시키며 그들과 함께 하는 사역자가 있는 상황에서 이런 파트 타임 사역자들이 그런 전담 사역자를 도와 교회를 건강하게 하는 일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교회 공동체에는 반드시 전 시간을 다해 성도들과 함께 하는 사역자가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 사역자는 기본적으로 같이 있어주는 것만으로 만족하지 말고, 우리가 지향하는 이상대로 성경적 가르침을 충분히 베풀어 모든 성도들이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이렇게 같이 있으면서 하나님의 뜻을 다 가르쳐 하나님의 의도에 부합하게 사는 일을 서로 돕도록 하는 일에 힘쓰도록 훈련시키는 일을 해야 하는 것이다.






?

  1. No Image

    영국의 EU 탈퇴 분석

    영국의 EU 탈퇴 분석 최바울 (뉴스파워, 2016.6.26.) 1. 영국의 EU탈퇴의 원인 유럽연합(EU) 안에는 그 동안 누적된 불만으로 인해 내부 분열이 고조되어 왔다. 첫째, EU 집행부가 갈수록 독재체제로 강화되어 가는 것이다. 집행부는 유럽을 단일 통합국가로 ...
    Date2016.06.27 Bydschoiword Reply0 Views2281
    Read More
  2. No Image

    조용기의 방언과 방언통역

        조용기의 방언과 방언통역   방언연구가 노우호 목사의 해석   1. 조용기 목사의 방언 녹취록   리피야 라샤카파테 라시야다 로야로 바칸나기 리키키고 나카치 라시카파타리 니미카니야 아파타카카야 시키키코 바야   2. 조용기 목사의 이상한 통역문   ...
    Date2016.06.27 Bydschoiword Reply0 Views3422
    Read More
  3. No Image

    방언 지지 견해

    방언 지지 견해 “방언이 외국어였다는 노우호 목사 주장 틀려” - 김동수 교수와 김동찬 목사가 ‘방언부정론’ 반박에 나서 한국교회의 방언은 100% 거짓방언이며 악령운동이라며 <방언을 검증하자>는 책을 내놓은 노우호 목사(에스라하우스 원장)의 주장에 김...
    Date2016.06.26 Bydschoiword Reply0 Views2638
    Read More
  4. No Image

    교리문답 설교/ 고재수

    교리문답 설교 고재수 이 글은 리포르만다 대표자의 고려신학대학원의 동료 교수였던 고재수 박사(N.H. Gootjes)가 교리문답 설교(CATECHISM PREACHING)라는 제목으로 1993년 9월 국제개혁교회협의회(ICRC) 모임에서 발표한 논문이다. 손정원 목사가 번역한 ...
    Date2016.06.24 Bydschoiword Reply0 Views2349
    Read More
  5. No Image

    웨슬리가 동역자들에 준 열두 가지 지침

    존 웨슬리가 동역자들에게 준 열두 가지 지침 1. 부지런하십시오. 어느 한 순간도 일하지 않고 보내는 시간이 없게 하십시오. 결코 단 한순간도 그런 시간이 없도록 하십시오. 시간을 낭비하지 마십시오. 절대로 필요한 시간, 필요한 장소, 필요한 일에 매달...
    Date2016.06.10 Bydschoiword Reply0 Views2355
    Read More
  6. No Image

    오병세 박사가 보는 고신교단

    오병세 박사가 보는 고신교단 인터뷰 박윤선, 박형룡 박사 이후 고신교단의 신학적 기초를 다진 신학자 중 하나로 교단 안에서 상징적 의미를 가진 오병세 박사. 이근삼, 홍반식 등과 함께 이른바 ‘동방박사 3사람’으로 불리우며 존경받았던 그는 최근 교단의 ...
    Date2016.06.10 Bydschoiword Reply0 Views2246
    Read More
  7. No Image

    미국 케임브리지 신앙선언(1996)

    미국 케임브리지 신앙선언(1996)의 의의 시작하는 말 어느 종교도 마찬 가지지만 기독교는 신앙고백서가 많다. 초대교회 때의 니케아신경(Nicene Creed, 325), 아타나시우스신경(The Athanasian Creed, 420-450, 500), 콘스탄티노플신경(The Nicene-Constanti...
    Date2016.06.08 Bydschoiword Reply0 Views2778
    Read More
  8. No Image

    자살과 구원

    리포르만다는 자살과 구원에 관한 아래의 견해와 동일하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에 떠도는 글을 붙잡아 이곳에 저장하였습니다. 신원하 교수의 양해를 부탁합니다. 자살과 구원에 대한 신학적 해석 신원하 교수 (고려신학대학원) I. 한국사...
    Date2016.06.07 Bydschoiword Reply2 Views2635
    Read More
  9. No Image

    주옥타은 영문 100개

    주옥같은 영문 100개 1.Too much is as bad as too little.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만큼이나 좋지 않다. 2.Soccer is more exiting than baseball. 축구가 야구보다 더 재미있다. 3.Seoul is the largest city in Korea. 서울은 한국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4.L...
    Date2016.05.17 Bydschoiword Reply0 Views1886
    Read More
  10. 미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영어 500문장

    미국인들이 가장 많이 쓰는 영어 500문장 [A] A piece of cake. 식은 죽 먹기지. Absolutely. 당근 빠따! After you. 먼저 가세요. Always. 항상 그렇지요 Amazing. 대단하네요 And then? 그리고 나서는요? Any good ideas? 어떤 좋은 생각이라도? Any time. ...
    Date2016.05.14 Bydschoiword Reply0 Views1079
    Read More
  11. No Image

    손봉호의 전병욱 보기

    손봉호의 전병욱 보기 <뉴스앤조이> 2013. 옮김 무거운 책임감 목회자의 책임은 무겁고 무섭다. 목회자는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의미, 가치관, 행동 방식, 직업 선택, 자녀 교육, 심지어 영원한 미래에까지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잘못 가르치고 그...
    Date2016.05.06 Bydschoiword Reply0 Views1941
    Read More
  12. No Image

    교회 오적(五賊)

    한국교회의 오적(五賊) 교회가 교회다움을 상실하고, 영적인 생명력을 상실하고, 여러 면에서 퇴락 쇠락하도록 만든 '교회 오적'이 무엇인가? 내가 보기에 (1) 자유주의 신학과 종교다원주의, (2) 무분별한 교회연합일치운동, (3) 울타리가 없는 복음주의, (4)...
    Date2016.04.25 Bydschoiword Reply0 Views1609
    Read More
  13. No Image

    번역투 한글, 교정문

    번역 투 한글, 교정 모범문 1. ~이 되다/ 어지다 (be p.p) 그에게서 던져진 공은 정확하게 포수의 미트로 향했다. → 그가 던진 공은 정확하게 포수의 미트로 향했다. 2. ~를 갖다 (have) 레알 마드리드와 F.C. 바르셀로나가 축구경기를 가졌다. → 레알 마드리...
    Date2016.04.22 Bydschoiword Reply0 Views2248
    Read More
  14. 기독신앙과 번영신학

    기복신앙과 번영신학 김진규 교수 (백석대, 구약신학) <뉴스앤조이> (2016.4.14.) 게시문 오순절파의 영향으로 요즈음 '기복신앙'에 대한 우려가 상당히 많다. 소위 삼박자 축복을 강조하는데, 결국 현세적 복을 너무 추구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에서 나온 말일...
    Date2016.04.14 Bydschoiword Reply0 Views2227
    Read More
  15. No Image

    하나님의 예정과 구원

    하나님의 예정과 구원 황대우 (고신대학교 개혁주의 학술원) <개혁정론>에 실린 글 하나님께서 구원받을 백성을 자신의 자녀로 미리 선택하셨다는 예정론은 이성적으로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신학 주제이다. 하지만 이것은 성경이 가르치는 핵심적인 구원...
    Date2016.04.05 Bydschoiword Reply0 Views244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