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크리스천투데이 기사 (2014. 3. 12.)


[이슈&책] 존 맥아더 목사의 ‘문제작’ 「다른 불」 국내 출간 

                    

 

존 맥아더의 다른 불


 존 맥아더 | 생명의말씀사 | 392쪽 | 20,000원


지난해 10월 존 맥아더(John MacArthur) 목사가 시무하는 미국 그레이스커뮤니티교회에서는 ‘Strange Fire(이상한·다른 불)’라는 제목의 집회가 개최됐다. ‘은사중단론자’인 존 맥아더 목사가 개최한 은사주의 운동 반대 집회였다.


이 집회는 그 자체만으로도 유명세를 탔는데, 현장에서 또다른 유명 목회자인 마르스힐교회 마크 드리스콜(Mark Driscall) 목사가 이에 다소 반대하는 입장에서 자신의 신간 「A Call to Resurgence:Will Christianity Have a Funeral or a Future?」을 소개하고 즉석에서 사인회를 열면서 더욱 뜨거운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드리스콜 목사는 그 몇 달 전 “은사중단론에 동의하지만, 그것이 중단되는 시점은 예수 그리스도가 다시 오실 때”라고 밝힌 바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개혁주의 신학자·목회자인 존 파이퍼(John Piper) 목사도 이 컨퍼런스 후 은사주의에 대해 “성령께서 오늘날에도 영적인 은사를 통해 기독교인들을 능력 있게 한다고 믿는 입장을 지지하지만, 은사주의 교회에서 경험이 가장 강조되고 교리의 중요성이 최소화되는 등 오·남용에는 문제가 있다”고 의견을 개진했다.

기독교 미래학자인 레너드 스윗(Leonard Sweet) 박사 같은 이들이, 1900년대부터 시작돼 전 세계, 특히 제3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오순절 운동을 ‘기독교 제3의 물결’이라고까지 부르는 가운데, 존 맥아더 목사는 최근 번역돼 나온, 지난해 집회 제목와 같은 「다른 불(Strange Fire·생명의말씀사)」을 통해 은사주의 운동을 단호히 거부하면서 오순절 운동이 그 뿌리에서부터 잘못됐음을 주장하고 있다.


책 제목은 아론의 아들 나답과 아비후가 ‘다른 불’로 여호와 앞에서 분향하다가 죽었던 사건(레 10:1-2)에서 나왔으며, 은사주의가 이와 같다고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성경 속 이 사건에 대해 맥아더 목사는 “오늘날 교회들을 향해 큰 경종을 울리는 사건”이라며 “하나님을 욕되게 하고, 그분을 능멸하며, 그분이 원하시지 않는 방법으로 그분 앞에 나가는 것은 중대한 죄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성령을 욕되게 하고 성령의 이름을 남용하며 그분이 자의적이고 변덕스럽고 비성경적인 예배를 용인한다는 주장은 하나님을 모욕하고 성령을 구경거리로 만드는 행위로, 하나님이 가증히 여기시는 방법의 예배”라고 주장한다.


▲존 맥아더 목사. ⓒ크리스천투데이 DB

맥아더 목사는 “현대의 무분별한 은사주의 운동이 기괴하고 불경스런 관습과 왜곡된 교리를 교회 안에 도입한 행위가 나답과 아비후의 다른 불 못지 않은, 아니 그보다 훨씬 심각한 죄에 해당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며 “그들은 성령을 모욕함으로써 하나님을 욕되게 하고, 이는 하나님의 엄한 심판을 자초하는 원인”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대 목회자들이 세속주의에 빠져 성령을 전적으로 무시하고 스스로의 명석함으로 교회를 성장시키려 하며, 성령의 거룩하게 하시는 사역과 개인적성화 대신 대중의 인기에 영합하려 한다고 지적한 뒤, “현대의 오순절 운동과 무질서한 은사주의는 그와 정반대되는 극단에 치우쳐 성령의 나타나심에 불건전하게 집착하는 성향을 부추기고 현상·감정·새로운 물결·감각 등을 끊임없이 강조하고 그리스도와 그분의 속죄 사역과 복음의 역사적 사실에 관해서는 거의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고 양쪽 모두를 비판하고 있다.


맥아더 목사는 대다수 은사주의의 가르침과 관습에서 발견되는 ‘성령’은 성경에 계시된 참 하나님의 영과 조금도 닮지 않았다며 은사주의나 오순절 운동이 사실상 사이비에 가깝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성령께서는 황홀경을 일으키는 전류나 허튼 소리로 정신을 혼미하게 만드는 말쟁이나 건강과 부를 갈구하는 이기적인 소원을 무작정 들어주시는 우주의 요정이 아니시다. 참되신 하나님의 영께서는 자기 백성을 아무런 의미 없이 개처럼 짖게 하시거나 하이에나처럼 웃게 하지 않으신다.”


1900년대 초 오순절 운동이 처음 시작됐을 때는 보수주의 진영이 이를 사이비 종파로 간주했지만, 1960년대 자유주의의 영향으로 고사(枯死)하던 전 세계 교회들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엄청난 폐해가 발생했다는 것. 또 은사 운동이 세계 도처에서 그 지역의 이단적 종교 사상을 신학에 무분별하게 접목하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복음주의 교회가 확고한 태도로 성령의 인격과 사역에 대한 관점을 올바로 회복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근래 역사에서 은사주의만큼 복음의 대의를 훼손하고, 진리를 왜곡하고, 건전한 교리를 파괴한 것은 일찍이 없었다. 은사주의 신학은 복음주의를 오류의 구덩이에 빠뜨렸고, 온갖 거짓 교사들을 양산하는 온상을 마련했다. 은사주의는 참된 예배를 무질서한 감정주의로 오염시켰고, 믿음을 속된 욕망을 이루는 긍정의 힘으로 변질시켰다. 은사 운동은 경험의 권위를 성경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교회의 면역 체계를 파괴해 온갖 형태의 이단 사상과 관습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게 만들었다.”


그는 책에서 오순절 운동의 ‘잘못된 뿌리’부터 조나단 에드워즈가 요한일서 4장을 기준으로 제시한 5가지 영적 분별 원리, 신사도 운동과 치유 사역 등 ‘거짓 은사들’의 실체, 성령의 바른 구원 및 성화 사역 등을 설명한 후, 마지막으로 ‘복음적 은사지속론을 주장하는 친구들에게 띄우는 서신’을 작성했다.


▲‘보수적 은사지속론자’인 마크 드리스콜 목사(왼쪽)가 지난해 존 맥아더 목사의 ‘다른 불’ 집회 앞에서 자신의 책을 소개하는 행사를 갖자, 집회 관계자들이 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모습. ⓒ크리스천투데이 DB


맥아더 목사는 ‘보수적 은사지속론’의 모순에 대해 “은사주의 내에서 일어나는 오늘날의 현상과,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기적을 솔직하고 공정한 눈으로 비교하면 누구라도 절대적 은사지속론 주장이 불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다”며 “그럼에도 그들은 성경의 전례와 전혀 닮은 점이 없는 현대 은사주의 행위들을 당연히 성경의 용어로 설명해야 할 것처럼 말한다”고 했다.


그리고 ‘복음적 은사지속론’에 내포된 위험을 ①무분별한 은사 운동이 정당하다는 환상을 부추긴다 ②하나님이 1세기 교회에 허락하신 참된 은사들의 기적적 본질을 왜곡시킨다 ③잘못된 은사주의에 치우친 사람들을 올바로 비판하기 매우 어렵다 ④하나님이 오늘날에도 신자들에게 새로운 계시를 허락하신다고 주장함으로써 혼란과 오류로 치우칠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 ⑤하나님이 오늘날에도 신자들에게 새로운 계시를 허락하신다고 주장함으로써 ‘오직 성경으로’ 교리를 암묵적으로 부인한다 ⑥의미 없는 방언을 인정함으로써 은사주의 예배가 무분별한 황홀경을 부추기는 상태로 기울도록 유도한다 ⑦치유의 은사가 오늘날까지 계속된다고 주장함으로써 은사주의 신앙 치료사들의 사기 행각을 부추기는 기본 전제를 확증한다 ⑧사람들을 거짓으로 유혹해 성령의 참된 사역에서 멀어지게 만듦으로써 성령을 욕되게 한다 등 8가지로 들고 있다.


존 맥아더 목사는 최근 미국 내 한인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대 교회가 잃어버린 것은 교회가 사수해야 할 절대적 가치인 ‘성경’이고, 목회자는 ‘넓이보다 깊이’를 추구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국교회에 대해서도 “포스트모더니즘의 급격한 물결에 휩쓸려 본질을 잃어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
  • ?
    vip9182@naver.com 2014.04.12 05:07
    총장님 글 잘보았습니다.
    박기주 전도사입니다

  1. 브니엘학원, 대법원 승소

    브니엘학원, 경영권 다툼 새 국면 ▲학교법인 정선학원 지난 2012년 학교법인 정선학원(구 브니엘학원)에 대한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이하 사분위)의 이사선임이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이로써 정선학원 경영권 문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전망이다. ...
    Date2016.04.04 Bydschoiword Reply0 Views1754
    Read More
  2. 이단정죄의 기준/ 도한호

    사울이 바울되는 것을 막지 말아야 <크리스천투데이>의 글 (사)한국기독교부흥협의회(이사장 송일현 목사)가 '바른 신학, 바른 교리' 신학 세미나를 3월 31일 오전 서울 한국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개최했다. 이날 도한호 박사(전 침신대 총장)와 최태영(영남...
    Date2016.03.31 Bydschoiword Reply0 Views2413
    Read More
  3. No Image

    자살하면 구원이 취소되는가?

    자살하면 구원이 취소되는가? <베리타스>( 2016. 5. 4. ) 보도문 이상원 교수(총신대) 샬롬을꿈꾸는나비행동(상임대표 김영한 박사)은 2015년 5월 2일(토) 오전 7시 신반포중앙교회(담임 김성봉 목사)에서 제49회 샬롬나비토마토시민강좌를 개최했다. 이날 강...
    Date2016.03.29 Bydschoiword Reply0 Views3235
    Read More
  4. No Image

    부활절, 과연 성경적인가?

    부활절은 과연 성경적이고 역사적인가? 라은성 교수(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교회사) 부활절(Easter)은 그리스도의 이적적 부활을 신자들이 축제하는 특별한 날로 여겨집니다. 그렇지만 수백만의 사람들이 “계란을 낳은 토끼가 그리스도와 무슨 상관이 있냐?”라...
    Date2016.03.27 Bydschoiword Reply0 Views3368
    Read More
  5. M 십자가, 마리아의 상징인가?

    M 십자가, 마리아의 상징인가? 개신교회 교회당에 걸려 있는 십자가는 상징물이며 장식품이다.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 아니 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함은 잘못이다. 비성경적이다. 최근 한국의 어느 장로교단은 교회당 안에 있는 십자가를 모두 제거하기로 결...
    Date2016.03.25 Bydschoiword Reply6 Views17572 file
    Read More
  6. No Image

    예배당, 신학과 교리를 대변하는 공간

    예배당, 신학과 교리를 대변하는 공간 <리폼드가디언>(2016.3.17.)에 게재된 글 이종현 30일간의 유럽여행. 5개국 18개 도시를 돌며 많은 곳을 들렀지만, 가장 기억에 남은 장소는 예배당이다. 아마도 숙소 다음으로 많이 머무른 장소가 아닐까 싶다. 예배당에...
    Date2016.03.18 Bydschoiword Reply0 Views4368
    Read More
  7. No Image

    복음주의는 합바지이다

    복음주의는 합바지이다. 무엇이 '복음주의'이며, 누가 '복음주의자'인가? 점점 모호해지던 보편적 개념… 이제는 절벽에 다 달았나? <교회와 신앙> 2016.3.18. 김정언 기자 미국의 복음주의는 과연 위기에 처해 있는가? 이번 대선 바람은 특히 복음주의(evangel...
    Date2016.03.17 Bydschoiword Reply0 Views2908
    Read More
  8. No Image

    웨슬리의 12가지 지침

    웨슬레의 열두 가지 지침 존 웨슬리가 동역자들에게 준 12가지 지침 1. 부지런하십시오. 어느 한순간도 일하지 않고 보내는 시간이 없게 하십시오. 결코 단 한순간도 그런 시간이 없도록 하십시오. 결코 시간을 낭비하지 마십시오.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간, 필...
    Date2016.03.09 Bydschoiword Reply0 Views1494
    Read More
  9. No Image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신복윤 이 글은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등 몇몇 운동들의 용어, 역사적 배경, 사상적 특징들을 돌아본다. 나아가 활동한 상황, 평가 그리고 한국 교회와의 관계 등을 차례로 살펴본다. Ⅰ. 복음주의 1. 복음주의의 발단 근...
    Date2016.03.06 Bydschoiword Reply0 Views3501
    Read More
  10. No Image

    이단규정 기본원칙

    이단규정 기본원칙 ‘이단을 규정하는 기본원칙에 대하여’ 이단여부는 구원과 관련된 진리따라 접근하되, 신학적 다양성은 존중 되어야 최태영 교수 (영남신학대학교) <기독공보>, 2016. 1.12. 이단에 관한 논란이 우리 교단을 중심으로 한국 기독교 전반에 걸...
    Date2016.02.26 Bydschoiword Reply0 Views10337
    Read More
  11. No Image

    이단연구가들, 상호존중해야

    이단연구가들, 상호존중해야 최병규 박사 <뉴스파워> 게재의 글을 옮김 “알렉산드리아에서 난 아볼로라 하는 유대인이 에베소에 이르니 이 사람은 언변이 좋고 성경에 능통한 자라. 그가 일찍 주의 도를 배워 열심히 예수에 관한 것을 자세히 말하며 가르치나 ...
    Date2016.02.25 Bydschoiword Reply0 Views3138
    Read More
  12. No Image

    정신적으로 강한 사람은

    정신적으로 강한 사람은 1. 무엇을 ‘탓’하며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자기 연민에 빠져 시간을 흘려보내지 않으며 삶이 항상 공정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한다. 2. 스스로 ‘독립성’을 유지한다남에게 휘둘리지도 남을 휘두르지도 않는다. “상사가 나를 짜증 나...
    Date2016.02.21 Bydschoiword Reply0 Views2779
    Read More
  13. No Image

    성경을 아는 지식

    성경을 아는 지식 R. C. 스프라울 내가 만일 마귀라면 사람들이 성경을 탐구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을 첫째 목표 가운데 하나로 삼을 것이다. 어떻게 하느냐고? 이 고대의 책을 직접 공부하는 것은 현대의 그리스도인들이 하지 않아도 손해 볼 것이 없는 번거로...
    Date2016.02.20 Bydschoiword Reply0 Views3099
    Read More
  14. No Image

    개성폐쇄와 핵전쟁의 시발점/ 노정선

    개성폐쇄와 핵전쟁의 시발점 노정선 교수 <에큐메니안> (2016.2.15.) 게재 글 아래의 글은 연세대에서 윤리학을 가르친 노정선 교수(목사)가 쓴 글이다. 노정선은 북한통으로 알려진 분이다. <리포르만다>의 견해와 많이 다르다. 참고해 둘 필요가 있기에 옮...
    Date2016.02.15 Bydschoiword Reply0 Views2962
    Read More
  15. No Image

    영으로 비밀을 말함(고전 14:2) 해석

    영으로 비밀을 말함(고전 14:2) 해석 이창모 목사 (바른믿음에서 옮겨 온 글) 거짓방언자들은 고린도전서 14장 2절을 근거로 자신들이 하는 방언기도는 하나님께 비밀을 말하는 기도라고 주장한다. 만약 바울도 이들처럼 방언기도를 ‘영으로 하나님께 비밀을 ...
    Date2016.02.13 Bydschoiword Reply0 Views249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