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르만다

바르트.jpg


칼 바르트(1896-1969), 중년기 모습



바르트주의와 교회의 생명력 상실


유럽은 새로운 '땅 끝'입니다. '사도행전 30장 운동'은 유럽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려고 합니다. 새 땅 끝에 대한 지상명령 수행에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독일인 신학자 칼 바르트가 미국 프린스톤신학교에서 특별 강의를 마치자, 어느 학생이 질문을 했습니다. “바르트 박사님, 당신은 예수님의 부활을 믿으십니까?” 바르트는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학생이 다시 물었습니다. “예수님이 부활하는 순간에 또는 승천했을 때, 지구의 무게가 예수님의 몸무게만큼 줄어들었다고 믿습니까?” 바르트는 이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강의실을 떠났습니다.

이 에피소드는 내가 예일대 신학 강의 시간에 들은 내용입니다. 히스토리에(Historie)와 게쉬히테(Geschichte)의 차이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예수 부활과 승천을 히스토리라고 믿는가, 게쉬히테라고 믿는가 하는 것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에 해당합니다. 이 둘의 차이는 하늘만큼 땅만큼 다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히스토리에로 보는가  게쉬히테로 보는가에, 교회의 사활이 달려 있습니다. '역사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다른 마당에서 하고 싶습니다.


바르트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묻습니다. 바르트가 예수의 실제적인 부활과 승천을 믿었습니까? 예수 부활 또는 승천 당시 지구의 무게가 예수님의 몸무게만큼 줄어들었다고 그가 믿었습니까?
이 주제는 바르트의 성경관과 구원론에 직결되어 있습니다.


바르트주의 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을 인간의 주관적 차원으로 격하시킵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 아닙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계시가 아닙니다. 인간의 증언에 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신학구도는 인간의 개인적 경험, 체험을 성경본문과 동등한 지위에 둡니다. 사실상 인간 경험을 신학쟁점들에 대한 '성경'으로 간주합니다. 바르트주의 성경관은 기독교에 위협적인 진리상대주의, 주관주의 그리고 결과적으로 만민보편구원주의와 종교다원주의에 대로(大路)를 마련해 주었습니다.


독일에서 공부하신 신학자님들의 도움을 구합니다,  바르트는 20세기 신학의 거장입니다. 그런데 왜 그의 신학을 받아들인 교회들이 생명력을  상실했습니까? 지난 반세기 동안, 왜 바르트주의를 추종하는 교회들, 바르트가 구원했다고 하는 유럽, 특히 독일교회들이 빈사 상태에 이르렀고, 사실상 조종을 울리고 있습니까? 루터 전통을 따르는 독일교회가 바르트주의를 수용한 뒤에 생명력을 상실하게 된 구체적인 까닭에 대한 학문적 연구물, 에세이, 논문, 책 등 정보 있으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최덕성 박사(브니엘신학교 총장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choicollege@naver.com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
    에베드 2014.03.15 16:40

    바르트주의 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을 인간의 주관적 차원으로 격하시킵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 아닙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계시가 아닙니다. 인간의 증언에 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신학구도는 인간의 개인적 경험, 체험을 성경본문과 동등한 지위에 둡니다. 사실상 인간 경험을 신학쟁점들에 대한 '성경'으로 간주합니다. 바르트주의 성경관은 기독교에 위협적인 진리상대주의, 주관주의 그리고 결과적으로 만민보편구원주의와 종교다원주의에 대로(大路)를 마련해 주었습니다.

    독일에서 공부하신 신학자님들의 도움을 구합니다, 바르트는 20세기 신학의 거장입니다. 그런데 왜 그의 신학을 받아들인 교회들이 생명력을 상실했습니까? 지난 반세기 동안, 왜 바르트주의를 추종하는 교회들, 바르트가 구원했다고 하는 유럽, 특히 독일교회들이 빈사 상태에 이르렀고, 사실상 조종을 울리고 있습니까? 루터 전통을 따르는 독일교회가 바르트주의를 수용한 뒤에 생명력을 상실하게 된 구체적인 까닭에 대한 학문적 연구물, 에세이, 논문, 책 등 정보 있으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위 문구가 너무나 호소력이 있네요~

  • ?
    dezey 2014.05.02 03:51
    성경을 성경으로 보고, 성경대로 믿는 것 . . 우리나라 교회 현장에서도 날로 입지가 좁아지고 있습니다. 그렇게 믿노라 하는 이들 조차 이해와 적용을 달리하기 때문에 그 결과는 서구교회와 같아지고 있습니다.
  • ?
    jelemiya 2015.08.13 22:30
    바르트를 좀더 읽어보시고 말씀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 ?
    고경태 2015.10.07 20:33
    저는 광주에서 공부하는 고경태입니다. 발트(바르트)를 공부하려고 하는데 쉽지는 않습니다. 첫째 발트는 성육신 이전의 Logos를 거부하기 때문에, 부활과 승천은 있을 수 없습니다. 성육신이 없는 부활과 승천이 없습니다. 다만 제가 읽다가 중지했는데, 15섹션에서 성령의 잉태에 대해서 제시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제가 읽은 바로는 발트는 성령의 잉태를 말하는데, 죄가 있는 상태의 자연인 상태로 이해했습니다. 아직까지 결론은 발트는 성령의 잉태를 말하지만, 예수가 죄인인 자연인과 동일한 상태임도 말합니다.

  1. notice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리포르만다>가 펼치는 ‘사도행전 30장 운동’(ACTS 30 MOVEMENT)은 하나님의 주권을 믿고, 은혜로 주어진 구원에 감격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기쁜 소식 전파에 전력하는 생명(zoe) 운동이다.  사도 바울은 "나는 복...
    Date2020.03.27 Byreformanda Reply0 Views2199 file
    read more
  2. 고신대는 난파선인가?

          지금의 고신교단의 상황은 난파 직전이 맞다.     지난 9월 9일자 ‘난파 직전의 고신호(號)의 새 선장 후보는 과연 누구인가?’ 기사가 무려 2,500여 조회 수를 기록할 만큼 폭발적인 반응이 있었다. 그리고 상당한 찬반 댓글이 올려진 것만 봐도 이 기...
    Date2023.09.23 Byreformanda Reply0 Views535 file
    Read More
  3. 복음병원 연구자료/ 이성구

        복음병원 연구자료/ 이성구 목사   부산 최초의 구호병원   복음병원은 모두가 잘 아는 대로 본래 구호병원으로 출발하였다. 영도 남항동 한 귀퉁이에서 전영찬 선생의 헌신으로 복음진료소로 시작한 복음병원은 장기려박사라는 출중한 인물이 가세하면서...
    Date2023.09.20 Byreformanda Reply0 Views419 file
    Read More
  4. No Image

    고신총회: 항존직분자 봉사 연령 유예

      고신총회: 교회의 항존직분자의 봉사기간 유예 가능성   장로, 집사(집사) 항존직은 최대 3년 유예 가능, 목사는 현행대로 70세 은퇴   예장 고신교단 총회(2023) 신학위원회는 ‘목사, 장로 정년 연장의 건’과 ‘항존직 정년 연장에 대한 연구 검토 청원 건’...
    Date2023.09.20 Byreformanda Reply0 Views406
    Read More
  5. 정의철의 고신 총회 문건 능동적 순종에 대한 비판

          정의철의 고신 총회 문건 능동적 순종에 대한 비판     원제: 2023년 총회, 합동을 고신 같이 되게 할 수도 개혁신학 교단으로 남게 할 수도     최근 <도르트신조> 라틴어 본을 한국어로 번역하신 어떤 원로 신학자는 칼빈주의 선조들이 도르트신조를 ...
    Date2023.09.18 Byreformanda Reply0 Views319 file
    Read More
  6. [건강] 발아현미, 쌀의 위대한 진화

              발아현미, 쌀의 위대한 진화     항산화 식품은 노화를 촉진하고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몸속 활성산소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젊음과 건강을 원한다면 백미도 현미도 아닌 발아현미에 주목하자.         ■ 발아현미란 무엇인가?     맛으로 보면 ...
    Date2023.09.18 Byreformanda Reply0 Views259 file
    Read More
  7. 바울과 칼빈이 본 칭의와 성화

        바울과 칼빈이 본 칭의와 성화     개혁주의 교의학은 구원론에 이르러 그 절정에 도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삼위 하나님의 속성과 경륜과 은혜에 대한 계시는 인간을 구원하시는 그의 사역을 통하여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며, 구원론은 바로 ...
    Date2023.09.17 Byreformanda Reply0 Views685 file
    Read More
  8. 부산일보 보도, 고신대 임금체불 등등

    \     부산일보 보도, 고신대   (고신대 위기 분석 목적으로 스크랩합니다. 부산일보의 양해 바랍니다).     고신대 임금 체불 사태, 지역 사립대 “남 일 아니다”     입력 : 2023-08-07 21:05:00  수정 : 2023-08-07 22:40:43     고신대 임금체불 사태가 터...
    Date2023.08.08 Byreformanda Reply0 Views354 file
    Read More
  9. 태재대학교, ‘한국의 미네르바 대학’

          태재대학교, ‘한국의 미네르바 대학’   <한계례>, 2023 05 15), <한계례>의 양해 바랍니다. 연구목적으로 스크랩합니다.      서울·뉴욕·홍콩·모스크바서 수업   지난달 개교 인가받은 원격대학 하버드·스탠퍼드 교수도 강의 고등교육 개혁 척후병 되길...
    Date2023.08.03 Byreformanda Reply0 Views328 file
    Read More
  10. 고신대 위기, 고신뉴스 보도문

        위기의 고신대학교, 어렵지만 살려야 한다! 고신뉴스 KNC     입력 2023.06.14 11  (고신대 연구 목적으로 스크랩합니다. ㅡ고신뉴스-의 양해 바랍니다.     한국 대학의 위기한국 대학이 위기에 처해있다. 특히 지방에 위치한 대학의 위기는 심각하다. ...
    Date2023.08.02 Byreformanda Reply0 Views305 file
    Read More
  11. ​​​​​​​고신대학교, 정말 위기인가?

      <개혁정론>의 글(2022.12.14.)을 고신대 연구 목적으로 스크랩합니다. <개혁정론>의 양해 바랍니다.     고신대학교, 정말 위기인가?       황대우 교수 (고신대 개혁주의 학술원)          지금 고신대학교가 정말 위기인지 묻는다면 그 대답은 ‘예’가 아닐...
    Date2023.08.02 Byreformanda Reply0 Views529
    Read More
  12. 양태론의 유혹

        양태론의 유혹     어느 로마가톨릭교회 신부가 삼위일체 하나님을 어린아이들에게 설명하면서 나무를 예로 들었다. 아이들이 잘 이해를 하지 못하니까 옆에 있던 나무에 견주어 설명했다. 나무는 하나이지만 뿌리가 있고 줄기가 있고 잎이 있다고 했다. ...
    Date2023.07.24 Byreformanda Reply0 Views371 file
    Read More
  13. 고신대 진단

      [고신대학교 개혁 방향]  이제는  말해야  한다 기자명 이성구      2023.07.18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기어이 고신대학교 교직원들에게 6월 생활비와 의대 학사 운영비 지급이 보류되었다. 6월 23일에 지급되어야 하지만 ‘3개월’ 뒤에 지급하겠다는 대...
    Date2023.07.20 Byreformanda Reply0 Views220 file
    Read More
  14. 옹알이 방언

      옹알이 방언     원제: 목사님은 어떤 영적 체험이 있으신가요?     정양호     코람데오닷컴, 2016.05.22.     지난 겨울 휴가를 지나며 동료 선교사들과 이러저런 대화 끝에 “현대 방언이 비성경적, 비진리” 라는 이야기를 하자 한 선교사님은 대뜸, “ 선...
    Date2023.07.17 Byreformanda Reply0 Views366 file
    Read More
  15. 이정훈 목사 “바울의 새 관점의 문제”

        이정훈 목사 “바울의 새 관점의 문제”     PLI 로마서 10장 강해 중 언급   기독일보 2023년 7월 13일자 기자 이상진 보도문   (이 글은 새관점, 김세윤 칭의론 연구에 필요하기에 스크랩합니다. 기독일보의 양해를 구합니다)     이정훈 목사가 그의 사...
    Date2023.07.17 Byreformanda Reply0 Views352 file
    Read More
  16. 급감하는 신학교 지원율

      급감하는 신학교 지원율   합신의 목회학석사(M.Div.) 지원율이 2010년 224명에서 2021년 71명으로 급감하였다. 3분지 1로 줄어들며 3년 째 미달에 이르렀고, 안타깝게도 신학생의 질적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총신, 고신, 장신 등의 신학교...
    Date2023.07.13 Byreformanda Reply0 Views26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