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그리스도인은 더 이상 죄인이 아니다?/ 우병훈


구원파의 주장 중에 하나가, “그리스도인은 의인이지, 더 이상 죄인이 아니다”라는 것이지요. 우리가 예수님을 믿으면 죄용서를 받아 의인이 되기 때문에 더 이상 죄인으로 여길 필요가 없고, 또한 이미 회개한 사람은 다시는 회개할 필요가 없다고 가르칩니다. 성도들이 회개를 하는 것은 역설적으로 자기가 죄인이라는 사실을 고백하는 것이므로 자신이 구원 못 받았음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구원파도 몇 종류가 있기에 조금 다른 생각을 갖고 있을 수도 있을 겁니다. 요즘 이단은 워낙 다양해서리 한 마디로 요약하기도 힘듭니다.)

그리스도인이 죄인인가, 의인인가 하는 질문에 대해 성경은 한편으로는 의인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죄인이라고 가르칩니다.

그리스도인은 예수님을 ...믿고 의인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성경이 분명하게 가르치는 바입니다.

(롬 3: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속량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 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롬 5:1)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

(롬 1:17)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히 10:38) 나의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또한 뒤로 물러가면 내 마음이 그를 기뻐하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하지만 또한 그리스도인은 여전히 죄를 짓고 살기 때문에 죄인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말년의 바울은 자신을 “죄인 중의 괴수”라고 말했지요.
(딤전 1:15) 미쁘다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이 말이여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 하였도다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따라서 그리스도인은 오직 믿음으로 의인이 되었지만, 자신의 죄를 늘 회개하면서 자신이 죄인인 것 역시 고백해야 합니다.

그것이 주님께서 우리에게 주기도문을 가르쳐 주시면서 날마다 회개하도록 하신 까닭입니다.
(마 6:12)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

예수님은 이것을 비유로도 가르치셨습니다. 누가복음 18장에서 자신을 의인으로 생각했던 바리새인보다 자신이 죄인이라고 고백했던 세리가 오히려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하심을 받았지요. 그들이 기도하는 것을 보면, 두 사람 모두 하나님을 믿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겸손하게 자신을 죄인이라고 부른 사람을 하나님이 오히려 더 기뻐하셨습니다.

[9] 또 자기를 의롭다고 믿고 다른 사람을 멸시하는 자들에게 이 비유로 말씀하시되 [10] 두 사람이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니 하나는 바리새인이요 하나는 세리라 [11] 바리새인은 서서 따로 기도하여 이르되 하나님이여 나는 다른 사람들 곧 토색, 불의, 간음을 하는 자들과 같지 아니하고 이 세리와도 같지 아니함을 감사하나이다 [12] 나는 이레에 두 번씩 금식하고 또 소득의 십일조를 드리나이다 하고 [13] 세리는 멀리 서서 감히 눈을 들어 하늘을 쳐다보지도 못하고 다만 가슴을 치며 이르되 하나님이여 불쌍히 여기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하였느니라 [14]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에 저 바리새인이 아니고 이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받고 그의 집으로 내려갔느니라 무릇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하시니라.

로마서 7장에서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인 안에도 두 가지 법,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이 함께 있어서 서로 싸운다고 했습니다. (이 본문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 가운데 저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칼빈, 그리고 그랜트 오스본, 마크 자이프리드를 따라, 이 본문의 “나”를 “그리스도인”으로 해석합니다.)

[22] 내 속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되 [23]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으로 나를 사로잡는 것을 보는도다.

그 싸움이 얼마나 치열했던지, 바울은 24절에서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라고 탄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감사하게도 로마서 8장에서 바울은 이렇게 선언하고 있습니다.
[1]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2]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하였음이라.

그리스도인은 죄와 사망의 법에서 해방된 사람입니다. 그렇기에 의인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죄가 없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우리 안에서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이 죄를 짓더라도 더 이상 죄의 종으로 돌아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 하나님께서 우리가 그렇게 되지 않도록 도와 주시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그 사실을 인식하고 로마서 8장 13절에서 말씀하듯이 “영으로써 몸의 행실을 죽이”는 일이 필요하다는 사실입니다. 회개가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일이며, 회개를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죄인인 것을, 사실 죄인 중에 괴수인 것을 통렬하게 깨닫고 고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럴 때에 우리는 죄에서 벗어나 의인다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예수님 믿어 구원 받은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의인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죄를 짓기 때문에 죄인입니다. 따라서 날마다 회개하고 하나님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이런 사실을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1483-1546)는 참으로 지혜롭게도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의인이자 죄인이다”(영어: righteous and at the same time a sinner; 라틴어 simul justus et peccator)라고 한 마디로 정리했습니다.

우병훈 페이스북 글






?
  • ?
    vip9182@naver.com 2014.04.12 05:06
    총장님 글 잘보았습니다.
    박기주 전도사입니다

  1. No Image

    부흥에 필요한 6가지 요소

    부흥에 필요한 6가지 요소 다시 부흥이 필요하다. 그 전에 6가지가 회복되어야 한다." 다시금 부흥을 주장하는 이는 캘리포니아주 안텔로프 밸리에 위치한 웨스트사이드크리스천펠로우십교회(Westside Christian Fellowship Church)의 셰인 아이들만(Shane Id...
    Date2016.02.06 Bydschoiword Reply0 Views2918
    Read More
  2. No Image

    심리학 논문쓰는 방법/ 최인철

    심리학 논문 쓰는 방법 최덕성의 <빛나는 논지 신나는 논문쓰기>(지식산업사)를 읽으셨습니까? 예일대학교, 하버드대학교, 케임브리지대학교 등에서 가르치는 글쓰기, 논문쓰기 요령을 재미 있는 이야기와 더불어 소개합니다. 논리와 비평적 사고방법을 담고 ...
    Date2016.02.02 Bydschoiword Reply0 Views4052
    Read More
  3. No Image

    이슬람 상식 10가지

    이슬람 상식 10가지 세계가 이슬람의 테러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제 교회 지도자들이 이슬람의 정체를 모르면 한국교회 및 대한민국의 안보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 왔습니다. 그래서 10가지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이슬람의 개요를 정리했습니다. 부디 ...
    Date2016.0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865
    Read More
  4. 십자군 전쟁/ 이희수

    기독일보 이수민 기자] "이슬람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은 어떠할까? 이슬람교 신자로 잘 알려진 이희수 교수(한양대 문화인류학과)가 "세계사의 대전환과 기독교"란 주제로 열리고 있는 양화진 역사강좌 강사로 나서서 무슬림의 눈에서 기독교 십자군 전쟁...
    Date2016.0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904
    Read More
  5. No Image

    칼빈교회론/ 신원균

    칼빈의 교회론 연구 신원균 목사 (한마음개혁교회) Ⅰ. 서론 책꽂이를 둘러본다. 눈에 띄는 것들 가운데 교회와 관련 있는 단어들을 살펴보았다. ‘교회 성장 세미나’, ‘영권 회복을 위한 기도 목회론’이라는 단어들이 눈에 들어온다. 게다가 ‘능력 목회의 파도...
    Date2016.01.27 Bydschoiword Reply0 Views3805
    Read More
  6. No Image

    우울증 환자에게 해 줄 말

    우울증 환자에게 해 줄말 마음의 병으로 불리는 우울증은 자살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병이다. 실제 우울증은 국내 성인 8명 중 1명이 앓고 있을 만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우울증은 증세 초반에 주위 사람들이 신경 써주지 않으면, 당사...
    Date2016.01.12 Bydschoiword Reply0 Views4819
    Read More
  7. No Image

    포괄적 참고표기법/ 차정식

    포괄적 참고표기법 차정식 1. 내가 알기로 '표절'이란 개념은 19세기 헤겔 이후 본격적으로 조형되기 시작한 근대적 발명품이다. 마찬가지로 저작권(copyright)이란 개념도 20세기 들어 미국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체제의 쌍생아 중 한 갈래다. 그 이전에는 이...
    Date2016.01.08 Bydschoiword Reply0 Views3895
    Read More
  8. No Image

    벌코프와 한국교회 신학

    벌코프와 한국교회 신학 이영규 “이제라도 한국장로교회는 건전한 개혁주의 신학 사상 회복해야” 한국장로교회에서 루이스 벌콥(Louis Berkhof)의 조직신학이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특히 그의 생애에 있어서 신학적 논쟁들 중에서 세 가지 논쟁점들이 한국교...
    Date2016.01.05 Bydschoiword Reply0 Views2942
    Read More
  9. No Image

    십일조/ 정주채

    십일조 질문에 답하다. 정주채 목사 (코닷) 그렇다. 요즘 교회들마다 교인들의 십일조헌금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단순히 경제상황 때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요즘보다 힘들었던 때가 과거에 많았기 때문이다. 십일조헌금에 대한 신앙의 약화가 가...
    Date2016.01.03 Bydschoiword Reply0 Views3894
    Read More
  10. No Image

    교회는 구원선이다

    <기독일보USA>에서 옮김 교회는 구원선이다. 저희 교회가 터키에 선교사로 파송한 David 박 선교사님이 잠시 오셔서 추수감사절을 함께 지내며 많은 사진을 찍어주셨습니다. 그런데 이 선교사님에게 소원이 있었는데 국제시장이란 영화를 보신 후 흥남부두에서...
    Date2016.01.01 Bydschoiword Reply0 Views12225
    Read More
  11. 문 닫는 교회 12가지 공통점

    문 닫는 교회 12가지 공통점/ 카드뉴스 (Photo : ⓒ크리스천포털) ▲[카드뉴스] 문닫는 교회 12가지 공통점 (Photo : ⓒ크리스천포털) ▲[카드뉴스] 문닫는 교회 12가지 공통점 (Photo : ⓒ크리스천포털) ▲[카드뉴스] 문닫는 교회 12가지 공통점 (Photo : ⓒ크리스천...
    Date2015.12.30 Bydschoiword Reply0 Views3905
    Read More
  12. No Image

    축도

    축도(강복선언) 복을 비는 게 아니라 선포하는 행위 축도는 목회자의 고유 권한 축도는 예배를 마감하는 예식으로서 그 중요성이 늘 강조돼 왔다. 하지만 그 의미를 잘못 해석해 평신도들도 축도를 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성경을 통해 축...
    Date2015.12.25 Bydschoiword Reply0 Views4644
    Read More
  13. 장종현 (대신교단 총회장)

    장종현 <뉴스앤조이> 보도문 2015년 12월 11일, 한국에서 세 번째로 큰 교단의 총회장에게 징역 3년이 선고됐다. 대한예수교장로회 대신(구 백석)을 이끄는 장종현 목사 이야기다. 교단의 현직 총회장이 수감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장종현의 죄목은 특정...
    Date2015.12.25 Bydschoiword Reply0 Views3901
    Read More
  14. No Image

    신사도운동을 경계하라

    신사도운동을 경계하라. <교회와 신앙> 보도문 예장합동은 신사도 운동을 엄히 ‘경계’ 하기로 했다. 피터 와그너의 영적 신학적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사도의 직임이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다’는 전제를 꼽았다. 또 주관적인 은...
    Date2015.12.24 Bydschoiword Reply0 Views3195
    Read More
  15. No Image

    부활이 복음이다/ 권연경

    부활이 복음이다!/ 권연경 교수(숭실대 기독교학과 교수) - 목회와 신학 2011년 4월호 부활의 중심성 1. 소외된 부활 필자는 자주 우리의 ‘신학적 편식’에 관해 불평을 하곤 하는데, 그 편식의 가장 치명적인 희생물 중 하나가 부활이 아닌가 싶다. 어느 코미...
    Date2015.12.23 Bydschoiword Reply0 Views352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