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르만다



아기예수탄생김기창.jpeg


그림: 아기 예수의 탄생, 김기창


 

크리스마스에 춤추고 싶다

 

메리 크리스마스! 미국에 사는 아이들이 보내온 성탄 축하 카드에 '메리 크리스마스'(Merry Christmas)라는 말이 사라졌다. 대신 '행복한 휴일'(Happy Holiday)이라고 적혀 있다. '메리 크리스마스'가 비기독교인에게는 반갑지 않은 용어라고 하여 사용하지 않는단다. 이러한 변화의 배후에는 미국인 무슬림과 인권운동이 손을 잡고 기독교 명절, 구원자 예수 신앙을 되새김질하게 하는 문화를 하나씩 제거하고 있다. 기독인 정치 지도자가 등장하면 달라질 수도 있다. 


예수의 탄생일은 확실하지 않다. 크리스마스―성탄일(聖誕日)로 지켜지고 있는 12월 25일이 정확히 그 날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성경은 예수가 어느 날 태어났는지 말하지 않는다. 그가 태어날 때 들판에서는 밤에 목자들이 양떼를 지키고 있었다. 유대 지방의 겨울이 우기(雨期)이다. 사막 지역에는 겨울에 풀이 파랗게 자란다. 들판에서 양들이 풀을 뜯는다. 


크리스마스는 예수 탄생 기념일이다. 여러 나라의 교회들이 12월 25일을 성탄 기념일로 삼아 행사를 가진다. 한국교회도 이 날을 예수 그리스도 탄생 기념일로 여긴다. 에티오피아의 콥트교회와 이집트의 장로교회는 1월 7일에 성탄축하 행사를 한다. 러시아교회도 마찬가지란다. 스코틀랜드는 1월 1일에 예수의 성탄을 축하한다고 한다.


크리스마스 날짜에 대한 여러 가지 말들이 있다. 12월 25일은 고대 로마제국이 축제일로 지키던 동지 날에서 비롯됐다는 설이 있다. 기독교인 된 황제가 과거의 이교 축제일을 그리스도의 탄생일로 기념하도록 했다고 한다. 로마인들에게는 황제보다 높은 주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생일이 필요했다. 정확한 출생일을 알 수 없고, 로마제국은 기독교화 되었고, 사람들은 축제를 좋아했다. 왕중왕의 기념일이 필요하자 자연스럽게 황제축일 또는 태양축일을 예수 탄생 축일로 바꾼 것 같다..


교회가 크리스마스 날을 예수 그리스도 성탄 기념일, 구원자로 오신 하나님의 아들의 출생 일, 하나님께 감사를 올리는 날로 지키기 시작한 것은 4세기 후반부터라는 설이 있다. 로마교회가 335년과 354년에 크리스마스를 지켰다고 한다. 이 전통은 그 뒤 동방교회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콘스탄티노플(379), 갑파도기아(382)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크리스마스란 고대 영어 Christes(그리스도)와 Masse(미사-예배)가 합쳐진 단어이다. 프랑스는 이 날을 노엘(Noel), 이탈리아는 나탈레(Natale), 독일은 바이나흐텐(Weihnachten)이라고 부른다.


한국교회는 기독교 전래 초기부터 예수 그리스도 성탄 기념일을 중요하게 여겨왔다. 20세기에 이르러 등장한 근대 언론매체들이 성탄일을 알리는데 이바지 했다. 독립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이 중요한 축일로 소개했다. 12월 25일 곧 예수 탄생 기념일을 국가 공휴일로 정한 것은 미군정이었다. 1945년 9월부터 1982년 1월까지 시행된 야간통행금지는 12월 24일 성탄절 이브마다 해제되었다. 언론사들은 성탄일이 아주 특별한 날이라는 것을 한국인들에게 인식시켰다.


지금은, 크리스마스가 한 해를 마감하는 세시(歲時)로 인식되고 있다. 산타클로스 할아버지가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가져다주는 날, 유흥을 즐기는 명절, 축하 파티, 흥청대는 술잔치, 백화점 상품 판매, 상업주의의 상징 또는 축일이 되었다. 어느 취객이 크리스마스 새벽찬송을 하러다니는 기독인 청년들에게 “예수쟁이, 흥, 예수쟁이들도 크리스마스를 축하한다고?" 라고 한 말이 생각난다.


예수 그리스도는 짐승들의 배설물 냄새 가득한 어두운 동굴(cave) 마구간에서 태어났다. 예수는 말이나 나귀의 구유에서 태어나지 않았다. 태어난 뒤에 구유에 뉘어졌다. 태초에 말씀(Logos, 道, 하나님의 마음, 지혜)이 계셨다. 이 말씀은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다(요한복음 1:1). 예수는 참 하나님, 참 사람이시다. 인류와 모든 피조물의 구원자로, 하나님과 화해를 위한 화목제물로 이 세상에 오셨다. 죄와 저주 아래에 있는 인간에게 영원한 생명(zoe)을 주시려고 인간이 되셨다.


어느 날 윤리학을 가르치는 동료 신학교수가 물었다. "최 교수님, 정말로 예수를 믿어야 구원을 받는다고 생각하십니까? 윤리적으로 너무도 착한 사람들이 다만 예수를 믿지 않는다는 이유로 구원을 받을 수 없단 말입니까?" 그는 이순신 장군이 구원을 받지 못할 리 없다고 말했다. 장난삼아 한 말인지 진심으로 한 말인지 알 수 없다. 그의 교육 배경을 보면 짐작이 간다. 원효나 의상 같은 승려, 퇴계와 율곡 같은 선비, 목숨을 바친 군인, 안중근 같은 열사, 이상재나 안창호 같은 선각자, 이승훈 같은 교육자가 단지 예수 믿지 않는다고 구원을 받지 못할 리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나를 시험하려고 한 말일 수도 있다.


나는 답했다. 오직 예수만이 구원자라고 믿는다고 잘라 말했다. 천하에 다른 구원 얻을 수 있는 이름을 주신 적이 없다고 했다. 구원받을 다른 길이 있다면 예수를 믿어야 할 까닭이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리스도이신 예수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유일한 중보자이다. 크리스마스는 하나님이 구원자로 우리에게 찾아오심을 기념하고 감사하는 날이다. 축하하는 날인 동시에 감사하는 날이다. 죄인들 하나님과 화해시키려고 인간이 되어 오신 하나님의 사건에 감사하는 날이다.


그렇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하나님이 칭의, 구원을 선물한다. 예수를 믿으면 하나님과 나 사이를 갈라놓은 죄책에서 해방된다. 나는 예수가 그리스도 곧 구원자라고 믿는다. 나는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이 복음 진리를 증언하고 싶다. 나는 크리스마스에 춤추고 싶다.  예수 탄생 기념일에 즐거워하고 기뻐하고 노래하고 싶다.춤추고 기뻐하고 노래할 수 있는 자유를 누리고 싶다.


가난하고 병들고 억울이 백절치는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과 함께 외치고 싶다. 하늘이 아닌 하나님께 영광, 땅의 평화가 아니라 하나님의 기뻐하심의 입은 사람들에게 평화, 세상에 평화의 아기로 오신 분이 아니라 하나님과 죄인을 화목하게 하시려고 사람이 된 하나님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고 싶다. 기쁘다 구주 오셨네! 메리 크리스마스! 축 예수 성탄!


"주께서 친히 징조를 너희에게 주실 것이라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이사야 7:14).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이를 번역한즉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 함이라"(마태복음 1:23).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사람마다 멸망치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요한복음 3:16).


최덕성 박사(브니엘신학교 총장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
    choi 2014.02.08 22:58

    어쩌다 삭제되었다가 어느 분이 복사해 둔 것을 보내주셨습니다. 잃었다가 얻은 진주를 가진 것처럼 기쁩니다. 강호욱 형제께 감사합니다. Sara님과 심상래 님의 댓글이 사라져서 안타깝습니다.

  • ?
    Joyful 2014.02.14 23:30
    날마다 성탄절입니다.
    할렐루야~^^
  • ?
    dzezy 2014.04.25 23:55
    어느새 제 얼굴에 배시시 천진한 웃음이 피었습니다.
    올 크리스마스에 춤을 출랍니다.

  1. notice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리포르만다>가 펼치는 ‘사도행전 30장 운동’(ACTS 30 MOVEMENT)은 하나님의 주권을 믿고, 은혜로 주어진 구원에 감격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기쁜 소식 전파에 전력하는 생명(zoe) 운동이다.  사도 바울은 "나는 복...
    Date2020.03.27 Byreformanda Reply0 Views2153 file
    read more
  2. No Image

    고신총회: 항존직분자 봉사 연령 유예

      고신총회: 교회의 항존직분자의 봉사기간 유예 가능성   장로, 집사(집사) 항존직은 최대 3년 유예 가능, 목사는 현행대로 70세 은퇴   예장 고신교단 총회(2023) 신학위원회는 ‘목사, 장로 정년 연장의 건’과 ‘항존직 정년 연장에 대한 연구 검토 청원 건’...
    Date2023.09.20 Byreformanda Reply0 Views368
    Read More
  3. 정의철의 고신 총회 문건 능동적 순종에 대한 비판

          정의철의 고신 총회 문건 능동적 순종에 대한 비판     원제: 2023년 총회, 합동을 고신 같이 되게 할 수도 개혁신학 교단으로 남게 할 수도     최근 <도르트신조> 라틴어 본을 한국어로 번역하신 어떤 원로 신학자는 칼빈주의 선조들이 도르트신조를 ...
    Date2023.09.18 Byreformanda Reply0 Views283 file
    Read More
  4. [건강] 발아현미, 쌀의 위대한 진화

              발아현미, 쌀의 위대한 진화     항산화 식품은 노화를 촉진하고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몸속 활성산소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젊음과 건강을 원한다면 백미도 현미도 아닌 발아현미에 주목하자.         ■ 발아현미란 무엇인가?     맛으로 보면 ...
    Date2023.09.18 Byreformanda Reply0 Views235 file
    Read More
  5. 바울과 칼빈이 본 칭의와 성화

        바울과 칼빈이 본 칭의와 성화     개혁주의 교의학은 구원론에 이르러 그 절정에 도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삼위 하나님의 속성과 경륜과 은혜에 대한 계시는 인간을 구원하시는 그의 사역을 통하여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며, 구원론은 바로 ...
    Date2023.09.17 Byreformanda Reply0 Views656 file
    Read More
  6. 부산일보 보도, 고신대 임금체불 등등

    \     부산일보 보도, 고신대   (고신대 위기 분석 목적으로 스크랩합니다. 부산일보의 양해 바랍니다).     고신대 임금 체불 사태, 지역 사립대 “남 일 아니다”     입력 : 2023-08-07 21:05:00  수정 : 2023-08-07 22:40:43     고신대 임금체불 사태가 터...
    Date2023.08.08 Byreformanda Reply0 Views325 file
    Read More
  7. 태재대학교, ‘한국의 미네르바 대학’

          태재대학교, ‘한국의 미네르바 대학’   <한계례>, 2023 05 15), <한계례>의 양해 바랍니다. 연구목적으로 스크랩합니다.      서울·뉴욕·홍콩·모스크바서 수업   지난달 개교 인가받은 원격대학 하버드·스탠퍼드 교수도 강의 고등교육 개혁 척후병 되길...
    Date2023.08.03 Byreformanda Reply0 Views302 file
    Read More
  8. 고신대 위기, 고신뉴스 보도문

        위기의 고신대학교, 어렵지만 살려야 한다! 고신뉴스 KNC     입력 2023.06.14 11  (고신대 연구 목적으로 스크랩합니다. ㅡ고신뉴스-의 양해 바랍니다.     한국 대학의 위기한국 대학이 위기에 처해있다. 특히 지방에 위치한 대학의 위기는 심각하다. ...
    Date2023.08.02 Byreformanda Reply0 Views274 file
    Read More
  9. ​​​​​​​고신대학교, 정말 위기인가?

      <개혁정론>의 글(2022.12.14.)을 고신대 연구 목적으로 스크랩합니다. <개혁정론>의 양해 바랍니다.     고신대학교, 정말 위기인가?       황대우 교수 (고신대 개혁주의 학술원)          지금 고신대학교가 정말 위기인지 묻는다면 그 대답은 ‘예’가 아닐...
    Date2023.08.02 Byreformanda Reply0 Views506
    Read More
  10. 양태론의 유혹

        양태론의 유혹     어느 로마가톨릭교회 신부가 삼위일체 하나님을 어린아이들에게 설명하면서 나무를 예로 들었다. 아이들이 잘 이해를 하지 못하니까 옆에 있던 나무에 견주어 설명했다. 나무는 하나이지만 뿌리가 있고 줄기가 있고 잎이 있다고 했다. ...
    Date2023.07.24 Byreformanda Reply0 Views338 file
    Read More
  11. 고신대 진단

      [고신대학교 개혁 방향]  이제는  말해야  한다 기자명 이성구      2023.07.18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기어이 고신대학교 교직원들에게 6월 생활비와 의대 학사 운영비 지급이 보류되었다. 6월 23일에 지급되어야 하지만 ‘3개월’ 뒤에 지급하겠다는 대...
    Date2023.07.20 Byreformanda Reply0 Views202 file
    Read More
  12. 옹알이 방언

      옹알이 방언     원제: 목사님은 어떤 영적 체험이 있으신가요?     정양호     코람데오닷컴, 2016.05.22.     지난 겨울 휴가를 지나며 동료 선교사들과 이러저런 대화 끝에 “현대 방언이 비성경적, 비진리” 라는 이야기를 하자 한 선교사님은 대뜸, “ 선...
    Date2023.07.17 Byreformanda Reply0 Views335 file
    Read More
  13. 이정훈 목사 “바울의 새 관점의 문제”

        이정훈 목사 “바울의 새 관점의 문제”     PLI 로마서 10장 강해 중 언급   기독일보 2023년 7월 13일자 기자 이상진 보도문   (이 글은 새관점, 김세윤 칭의론 연구에 필요하기에 스크랩합니다. 기독일보의 양해를 구합니다)     이정훈 목사가 그의 사...
    Date2023.07.17 Byreformanda Reply0 Views326 file
    Read More
  14. 급감하는 신학교 지원율

      급감하는 신학교 지원율   합신의 목회학석사(M.Div.) 지원율이 2010년 224명에서 2021년 71명으로 급감하였다. 3분지 1로 줄어들며 3년 째 미달에 이르렀고, 안타깝게도 신학생의 질적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총신, 고신, 장신 등의 신학교...
    Date2023.07.13 Byreformanda Reply0 Views235 file
    Read More
  15. 빌리 그래함은 구원 받았는가?

        빌리 그래함은 구원 받았는가?     <빌리 그래함, 한경직, 조용기는 구원받지 못했다?>   - 빌리 그래함 내한전도집회 50주년을 맞이하여.   1973년 나는 군제대 후 극동방송 부국장으로 있던 구원파 교주 유병언의 지시에 따라 극동방송(FEBC)의 PD 겸 ...
    Date2023.03.26 Byreformanda Reply0 Views674 file
    Read More
  16. 베트남에는 노인이 없다.

        베트남에는 노인이 없다   베트남에는 노인이 없다 왜 일까요? 지난 2월초 설 연휴 때 베트남에 살고 있는 모 한의사의 초청으로 호치민市 (옛 월남의 수도 사이공)를 방문해서 5일간 있었습니다. 그 기간에 그 분과 함께 외식도 하면서 이곳, 저곳을 구...
    Date2023.03.18 Byreformanda Reply0 Views43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