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CHOI11514.jpg

 

 

WCC의 개종전도금지주의 - 최덕성 교수 논문발표

한국개혁신학회(회장 심창섭 교수)가 2011년 5월 14일(토)에 경기도 안양 열린교회(담임 김남준 목사)에서 ‘WCC와 개혁신앙’을 주제로 제30회 정기학술 심포지움을 개최했다.이날 기조강연자로 김영한 교수(숭실대)가 나섰고, 최덕성 교수(전 고신대원), 최윤배 교수(장신대), 권호덕 교수(백석대), 김홍만 교수(국제신대), 이동주 교수(아신대), 황대우 교수(부산외대)가 각각 조직신학, 역사신학, 선교신학 분야에서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신학과 흐름을 분석했다.

최덕성 교수는 WCC의 ‘개종전도 금지주의’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WCC의 개종전도 금지주의 정책에 따르면 ‘하나님의 선교’를 하는 선교사들은 그 지역의 기존 교회와 협조해 인도주의 활동, 인간화, 해방투쟁은 할 수 있다. 그러나 로마가톨릭교회와 정교회가 선점하고 있는 지역에서 그 교회들의 비성경적 교리와 신앙행습을 비판하거나 그들의 미신적인 종교행습을 지적하고 구원론을 중심으로 하는 전도와 선교를 하지 않아야 한다. 개종자들을 모아 새로운 교회를 조직할 수도 없다. 복음전도와 교회건설과 신학교 사역에 매진하는 선교사들은 철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덕성 교수는 “WCC 개종전도 금지주의는 복음전도, 구령사업, 교회건설에 역점을 두는 복음주의 기독교 선교를 사실상 금지한다.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을 수행하지 말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 WCC가 말하는 참된 ‘증거’ 또는 ‘공동의 증거’라는 선교와 전도는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의 의미나 영생의 도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곧 사회구원지상주의 활동”이라며 “기독교 복음전도를 중단하라, 예수 그리스도 유일성을 강조하는 전도를 하지 말라, 비성경적인 신앙행습을 지적하는 활동을 하지 말라, 개종전도를 하지 말라는 것은 성경적 기독교의 선교사명 수행 명령에 대한 배반이다. 이 정책은 성경적인 복음진리 전파를 방해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기쁜 소식을 전하는 일을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게 하고, 구령(救靈) 열정을 상실하게 하며, 세계복음화와 교회건설의 의욕을 저하시킨다”고 비판했다.

아래는 최덕성 교수가 발표한 “세계교회협의회의 개종전도금지주의”의 서론을 옮긴 것이다.


세계교회협의회의 개종전도 금지주의

최덕성 교수 (전 고신대, 역사신학)

세계교회협의회(이하 WCC)는 로마가톨릭교회와 정교회의 형식적, 명목상의 신자들에게 개신교 구원론을 근간으로 하는 복음전도를 금한다. 로마가톨릭교회와 정교회의 우상숭배와 다르지 않은 성상숭배, 성자숭배, 죽은 자를 위한 기도, 마리아숭배 등을 비판하거나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고 성경적 기독교로 개종하라고 권하는 전도 활동을 금한다. 개종자들을 모아 교회를 세우지 못하게 한다. 로마가톨릭교회, 정교회, 개신교회들 사이에 신앙적으로 근본적인 차이가 없다는 신앙무차별주의(indifferentism)를 전제로, 경쟁적인 선교활동을 중단하라고 한다.

개신교 선교사들이 구소련 권의 정교회 지역과 남미의 로마가톨릭교회 지역에 들어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고 새로운 교회를 조직하자 그 지역을 선점(先占)한 정교회들과 로마가톨릭교회가 항의했다. 특히 유럽 중부와 동부, 러시아,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 등에서 진행되는 ‘경쟁적인 선교활동’이 문제시되었다. WCC는 1997년에 회원교회들과 산하 기구의 회원 교회들의 상호존중 관계를 훼손하는 개종전도 활동이 교회일치와 ‘공동의 증거’를 방해한다는 이유로 개종전도를 금지시키는 선교 모라토리엄(moratorium)을 선언했다.

인도 뉴델리에서 모인 WCC 제3차 총회(1961) 이후 유럽과 구소련 권의 여러 국가의 정교회들이 WCC 회원으로 가입하고, 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1965) 이후 로마가톨릭교회도 WCC 산하 신앙과 직제위원회와 선교와 전도위원회 회원으로 가입하여 투표권을 행사해 왔다. WCC 선교와 전도위원회는 1997년에 “공동의 증거를 위한 소명: 신뢰 관계의 선교와 개종주의의 중단”(Towards Common Witness: A Call to Adopt Responsible Relationships in Mission and to Renounce Proselytism, 1997)을 작성했다. 로마가톨릭교회와 WCC의 공동실무위원회가 초안한 것이다. 이 문서는 로마가톨릭교회, 정교회, 개신교회의 ‘공동의 증거’와 일치가 우선이며, 개종주의(Proselytism)는 언제나 참된 ‘증거’를 가로막는 ‘수치스러운 일’이므로, 모든 종류의 개종 권유 활동을 중단하라고 한다. ‘개종주의’가 교회의 가시적 일치를 방해하고 에큐메니칼 운동을 위태롭게 한다는 것이다.

WCC의 개종전도 금지주의 정책에 따르면, ‘하나님의 선교’를 하는 선교사들은 그 지역의 기존 교회와 협조하여 인도주의 활동, 인간화, 해방투쟁을 하면 된다. 그러나 로마가톨릭교회와 정교회가 선점하고 있는 지역에서 그 교회들의 비성경적 교리와 신앙행습을 비판하거나 그들의 미신적인 종교행습을 지적하거나 구원론을 중심으로 하는 전도—선교를 하지 않아야 한다. 개종자들을 모아 새로운 교회를 조직하지 않아야 한다. 복음전도와 교회건설과 신학교 사역에 매진하는 선교사들은 철수해야 한다.

선교지에서 일어나는 불필요한 경쟁적인 선교활동을 중단하는 것은 교회협의회 또는 선교협의회가 다루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선교협력과 활동을 조정하는 일은 공동의 신앙고백을 하는 교회, 교단, 교파 끼리 극심한 경쟁을 하는 현재의 상황에 필요하다.

그러나 WCC 개종전도 금지주의는 복음전도, 구령사업, 교회건설에 역점을 두는 복음주의 기독교 선교를 사실상 금지한다.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을 수행하지 말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 WCC가 말하는 참된 ‘증거’ 또는 ‘공동의 증거’라는 선교—전도는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의 의미나 영생의 도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곧 사회구원지상주의 활동이다. 복음주의 기독교는 WCC의 개종전도 금지주의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논문의 본문과 맺음말은 한국개혁신학회 논문집에 수록될 것이며, WCC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룬  근간예정 <신학충돌> 등에 실릴 것이다.)


  1. 존 웨슬리와 직통계시

    존 웨슬리와 직통계시 원제: 요한 웨슬리 관점에서 신사도운동의 사도직과 계시이해 글쓴이: 임성모 교수-감신대학교 필자는 요한 웨슬리의 관점으로 신사도 운동을 평가하는 글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현재 신사도 운동의 영향은 한국 감리교회도 비껴가...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1 Views2518 file
    Read More
  2. '대체신학'이란 용어, 합당한가?

    '대체신학'이란 용어, 합당한가?  '대체신학'이란 교회가 이스라엘을 대체하였다는 뜻을 담은 용어이다. 이 용어 사용자들은 '대체신학'을 반대한다. “만일 교회가 마지막 때에 이스라엘 편에 선다면, ‘대체신학’은 근절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3 Views4255 file
    Read More
  3. 여성목사 안수, 김세윤과 이광호

    여성목사 안수, 김세윤과 이광호  믿는 도끼에 발등찍힌다는 말이 있다. 쬐끄마한 교단 '네덜란드 개혁교회 31조파' 총회가 여성목사 안수 제도를 시행하기로 결의했다는 소식이 한국의 복음적인 교회 안에 잔잔한 파도를 일으키고 있다. 예장 고신은 한 동...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8 Views111822 file
    Read More
  4. 최갑종의 윤리적 칭의론

    태즈매이니아 주머니늑대(Tazmanian Tiger). 1936사망 멸종 칭의와 윤리, 구원과 행위를 결합시키는 신학자들을 연상시킨다. 최갑종의 윤리적 칭의론 백석대 총장 최갑종 교수는 '루터 선언 500주년과 한국교회'를 주제로 2017년 5월 27일 서울 백석대학교 대...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1 Views2449 file
    Read More
  5. 황사영 백서(帛書)

    황사영 백서(帛書) "감히 바라옵건대 교황께 자세히 아뢰시어 [...] 군함 수백 척과 정예군 5, 6만 명을 얻어 대포와 무서운 무기를 많이 싣고 겸하여 말도 잘하고 사리에도 밝은 중국선비 3, 4명을 데리고 해안에 이르면 [...] 대포 한방이나 화살하나 쏘지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3115 file
    Read More
  6. 이신칭의는 바울의 창작물인가?

    사진: 구모영 이신칭의는 바울의 창작물인가? 브니엘신학교의 어느 학생의 질문 “교수님, 신약성경 없이, 구약성경만으로도 이신칭의가 성립됩니까?” 브니엘신학교의 어느 학생이 구원론 강의실에서 던진 질문이다(대학원 2학년, 2017.5.11.). 이신칭의은 바...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1 Views2254 file
    Read More
  7. 칭의와 성화, 후기 기독교 시대

    칭의와 성화, 후기 기독교 시대 황현조 박사 서론 오늘날 미국은 ‘후기 기독교’(Post-Christianity) 시대에 접어들었다. 정통적, 역사적 기독교는 급진적 개인주의와 세속적 현대주의에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다. 교회가 이에 대항할 힘을 길러야 할 시기이다...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944 file
    Read More
  8. 예수 부활을 의심하는 이유들

    예수의 부활을 의심하는 이유들 여러분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사실이라고 믿는가? 지금부터 약 2000년 전, 예루살렘 골고다 언덕에서 못 박혀 죽은 그 분이 정말 3일 만에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아났다고 믿는가? 에모리대학교 대학원 재학시절에, ...
    Date2017.04.04 Bydschoiword Reply0 Views2282 file
    Read More
  9. 종교다원주의와 라마크리슈나

    사진: 히말라야여행동호회 종교다원주의와 라마크리슈나 세계교회협의회(WCC)는 로마가톨릭교회와 마찬 가지로 모든 역사적 종교 또는 건전한 종교가 모두 다 구원의 길이라고 선언한다. 하나님의 구원에 제한을 둘 수 없다고 한다. 성령의 열매가 여러 형태...
    Date2017.02.18 Bydschoiword Reply0 Views1691 file
    Read More
  10. 종교 간의 행동하는 대화

                종교 간의 행동하는 대화   종교간의 갈등은 이데올로기 대립이 가져오는 피해보다 훨씬 더 심각한 재앙을 가져온다. '종교 간의 행동하는 대화'(Religious Dialogue of Action)는 상호 갈등을 줄이고 화합과 협력으로 평화와 사회발전을 도모할 ...
    Date2017.02.18 Bydschoiword Reply0 Views1564 file
    Read More
  11. 성령세례: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성령론

    사진: 이규왕 성령세례: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성령론 성령세례는 무엇인가? 고려신학대학원-고신대학교 교수회는 1992년에 동료 모 교수(히브리어 전공)가 제기한 성령론, 특히 성령세례와 관련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했고,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 총회의 ...
    Date2017.01.24 Bydschoiword Reply0 Views8442 file
    Read More
  12. 김세윤의 로마가톨릭 칭의론 IV

    김세윤의 로마가톨릭 칭의론 IV 맺음말: 새 관점학파와 관련하여 (원제: 트렌트공의회 칭의론과 칼빈의 해독문: 김세윤과 관련하여) 칭의교령은 마무리 말에서 그 교령을 성실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자는 칭의를 받을 수 없다고 말한다. 칭의...
    Date2017.01.20 Bydschoiword Reply1 Views3460 file
    Read More
  13. 조사심판 교리와 유보적 칭의론

    조사심판 교리와 유보적 칭의론 김세윤 교수(풀러신학교)의 ‘유보적 칭의론’은 로마가톨릭교회 칭의론의 '짝퉁'일 뿐만 아니라 이단으로 분류되는 안식교(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의 '조사심판' 교리와 궤를 같이 한다. 행위구원에 귀착되고, 하나님의 구원의...
    Date2017.01.08 Bydschoiword Reply0 Views3521 file
    Read More
  14. 김세윤의 로마가톨릭 칭의론 I

    최덕성 (2016.12.12., 서울) 김세윤의 로마가톨릭 칭의론 I 김세윤의 칭의론, 로마가톨릭교회 칭의론의 '짝퉁' 지난 12월 12일 리포르만다(기독교사상연구원) 주최 제6회 학술회 '종교개혁 칭의론인가, 새 관점 칭의론인가?'에서 발표된 최덕성 박사의 '트렌...
    Date2017.01.05 Bydschoiword Reply1 Views3219 file
    Read More
  15. 김세윤의 로마가톨릭 칭의론 III

    최덕성 (2016.12.12., 서울) 김세윤의 로마가톨릭 칭의론 III 원제: 트렌트공의회 칭의론과 칼빈의 해독문(解毒文): 김세윤의 칭의론과 관련하여 (제 II 편에서 이어짐) 7. 구원의 확신을 가지는 것은 불가능한가? 7.1 트렌트공의회는 구원의 확신을 가지는 ...
    Date2017.01.03 Bydschoiword Reply0 Views258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