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2025.09.04 12:40

'오빠와 누나' 이야기

조회 수 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청라언덕.jpg

 

 

'오빠와 누나' 이야기

 

오빠와 누나 이야기 노래로 부르는 한국 현대사

 

황석영의 <장길산> 읽을 때 싱긋 웃은 적이 있습니다. 사람 목 비틀기를 예사로 하는 험상궂은 장정들이 상대방을 부를 때 언니라고 부르는 거예요. 어려서 사촌 누나에게 언니라 불렀다가 언니는 여자들이 부르는 거라며 매섭게 혼난 뒤에 제 머리 속에 언니야는 여성들 간의 호칭이자 전유물로 각인하고 있었는데 웬 산적들이 언니언니 하니까 웃기잖아요.

 

 

그런데 조선 시대에는 남녀불문 손위를 부르는 호칭이 언니였습니다. 이게 여성들간의 호칭에 국한되고 여기에 대응하는 누나오빠가 등장하는 것은 근대 이후로 추정됩니다.

 

누나라는 단어는 1897년께 나온 한양사전에서 처음 보이고, 역시 비슷한 시기에 오빠의 전 형태인 옵바가 등장한다고 합니다. 오라버니가 오라바가 되고 오라바가 옵바가 되고 옵바가 오빠로 변한 걸로 보이는데 이라는 단어는 아직 미숙하다는 뜻이 있어서 아빠가 안된 사람, 아직 다 자라지는 않은 남자오빠가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있죠.

 

말이란 게 그렇습니다. 일단 유행하기 시작하면 굳어지고 오래 전부터 써온 듯한 말이 됩니다. 오빠라는 단어도 그랬습니다. 집안의 대장인 아버지에 비해 오빠는 뭔가 만만하고, 쉽게 보챌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맞먹기는 어려운 오묘한 대상이죠. 1920년대에는 이미 단어는 일상으로 쓰이고 있었습니다. 동요 <오빠 생각>이 나온 게 1925년이었거든요.

 

이 노래의 가사인 동시 <오빠 생각>1925년 방정환 선생이 만드는 잡지 <어린이>에 실립니다. 지은이는 놀랍게도 우리 나이 열 두 살의 최순애였습니다. 그녀의 집은 외동아들 오빠에 딸 부잣집이었다고 하는데, 8살 위의 오빠 최영주는 가히 집안의 우상이었다고 합니다.

 

일본 유학을 다녀와서 독립운동에 가담하여 요시찰 인물로 일본 경찰의 주목을 받았고, 그 때문에 가족들의 마음을 졸이게 했던 사람이었습니다.

 

아버지의 크기와 무게에는 미치지 못해도 넉넉히 기댈만한 언덕이었고, 마음 속을 털어놔도 괜찮고, 자신을 위해서라면 뭐든 해 주마 약속할 수 있었던 사람. 최순애의 오빠 생각은 많은 이들을 울렸습니다. 그 중에는 작곡가 박태준도 있었죠.

 

후일 <가을밤>, <새나라의 어린이> 작곡가로 유명해지는 그이지만 <오빠 생각>의 가락을 붙일 무렵은 작곡가로 나서기 전이었습니다. 하지만 한 어린이의 애절한 오빠 생각은 그를 무한한 영감에 빠뜨렸습니다.

 

하루는 그 양반이 어린이 잡지를 한 권 들고 와 뜸북뜸북 뜸북새하며 읽더니 곡을 붙이기 시작했어요. 시가 너무 좋아 어쩔 줄 모르더니 결국 그날 밤 노래로 만들더군요. 서로 얼굴도 모르는 사이였지요.” (박태준의 부인 김봉렬의 증언, 신동아 2014. 12) 노래를 만들면서 박태준은 펑펑 울었다고 합니다. 특히 2절의 이 대목 서울가신 오빠는 소식도 없고 나뭇잎만 우수수 떨어집니다.”

 

1920년대는 흡사 1980년대와 같은 질풍노도의 시기였습니다. 3.1항쟁으로 폭발한 민족적 열기는 젊은이들의 피를 끓게 했고 그들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너, 황해 바다를 넘어 침략자에 저항하기 위해 집을 떠났고 몸을 던졌습니다. 유독 슬픈 이별이 많았던 시대, 아직 칭얼대며 조르는 동생에게 어느 오빠는 서울 가서 비단구두 사오마.”고 새끼손가락을 걸고 약속하고설랑 어디로 가는지 모를 길을 떠났던 풍경 그대로가 이 오빠 생각에 녹아 있었던 거지요,

자 노래 한 번 같이 불러 보시죠. <오빠 생각>.

 

여기서 복선으로 하나 기억해 두십시다. 가을밤 외로운 밤벌레 우는 밤 <가을밤>의 작곡가 박태준.

 

이 동시를 보고 가슴이 두근거린 사람은 또 있었습니다. 최순애는 수원 사람인데 수원으로부터 천리 남쪽 경남에 살던 이원수라는 소년이었지요. 이원수 1912년생 최순애 1914년생 그러니까 1926년이래야 이원수 나이 열다섯 살, 이원수 역시 <어린이>에 투고를 해서 당선됩니다. 그 동시가 <고향의 봄>이었어요. 이 동시에 홍난파가 곡을 붙인 게 우리가 부르는 <고향의 봄>입니다.

 

일제 강점기부터 지금까지 한국 사람이라면 거의 누구나 부를 수 있는 노래. 그리고 저 칼날같은 남과 북의 분단도 뛰어넘은 노래 가사는 열다섯 살 소년에 의해 지어진 겁니다. 이 소년이 소녀에게 편지를 씁니다. 1년 선배 당선자였던 최순애에게 말이죠.

 

그로부터 근 8~9년 가까이 편지가 오가고 사진도 주고받습니다. 원조 접속 커플이랄까요. 마침내 1935년 이원수와 최순애는 만나기로 합니다. 모월 모일 몇 시 차 타고 경부선을 탈 테니 수원역에 나와 계시오. 어떤 옷을 입고 있겠소. 흡사 수십년 뒤 유행한 007 미팅처럼 말입니다. 그런데 이원수는 역에 나오는 길에 체포됩니다. “너 독서회같은 거 했지? 그거 아주 불온한 모임이라 같이 좀 가줘야겠어.”

 

그때는 핸드폰은커녕 전화도 없을 때였죠. 최순애는 하루 종일 기다리다가 울면서 수원역을 나왔고, 후일 이원수가 투옥된 걸 알게 됩니다. 최순애는 이원수의 옥바라지를 하며 기다렸고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원수와 결혼합니다. 이미 최순애의 오빠는 바뀌어 있었죠. 최영주가 아니라 이원수로 말입니다.

 

옥에 갇혀 있는 사랑하는 임을 기다리는 노래로 변해, 남몰래 부르며 울었다.”고 본인 스스로 토로하고 있거든요. 이 가난한 빵쟁이 총각을 사위로 맞을 수 없다는 집안의 반대를 꺾어 준 건 오빠 생각의 원조 오빠 최영주였다고 합니다. 장남인 그가 나서서 이원수와의 결혼을 밀어붙여 준 겁니다. 193666일 그들은 결혼하고 경남 마산의 단칸방으로 경부선을 타고 함께 내려갑니다. 기차 안에서 그들은 <고향의 봄>을 합창했을지도 모르죠.

 

한 번 같이 불러 보실까요 <고향의 봄> 좀 느낌이 다르실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데 최순애에게 오빠 최영주가 있었다면 이원수는 누나들이 있었습니다. 역시 딸 부잣집이었죠. 최순애 15, 이원수 16. 위로 누나 넷, 아래로 동생 둘의 귀남이가 이원수였습니다. 집이 그렇게 귀하지 않고 가난에 찌든 게 문제였지만요.

 

이원수의 어린 시절 추억은 누나들의 남동생으로 그득했습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읜 후 이원수를 뒷바라지한 이가 누나들이었습니다. 갖은 고된 일은 물론, 심지어 권번에 나가, 즉 기생이 돼서 이원수의 학비를 댄 이도 있었습니다. 이원수가 어찌 그 누나들을 잊을 수 있었을까요.

 

말씀드린 것처럼 오빠와 누나는 19세기 말엽에야 우리 언어에 등장했고 20세기에 일반화된 말입니다. 성별 없아 손위를 가리키는데 쓰였던 언니가 여자와 여자들 사이로 좁혀지는 동안 남매간의 호칭인 오빠와 누나는 그 역사와는 어울리지 않게 깊고 두텁게 한국 사람들 사이로, 그들의 역사 속으로 함박눈처럼 내려앉았습니다.

 

홍도야 울지 마라 오빠가 있다.”는 노래 앞에 장안의 기생들이 통곡한 것이, 소월이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를 노래할 때 누나 있는 사람이든 없는 사람이든 가슴이 따뜻하게 적셔졌던 것이 어디 다른 이유였을까요.

 

일제 강점기 이원수는 누나에 대해 이런 동시를 씁니다.

.

찔레꽃이 하얗게 피었다오

누나 일 가는 광산 길에 피었다오.

찔레꽃 이파리는 맛도 있지.

남 모르게 가만히 먹어 봤다오.

광산에서 돌 깨는 누나 맞으러

저무는 산길에 나왔다가

하얀 찔레꽃 따 먹었다오.

우리 누나 기다리며 따 먹었다오.

 

광산에서 돌 깨는 누나 기다리며 먹은 찔레꽃에는 어떤 향기가 돋았을까요. 그런데 이 가사 어디서 많이 들은 것 같지 않습니까? (다음 노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김형민, 페이스북 글, 2025.09.04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오빠와 누나' 이야기

        '오빠와 누나' 이야기   오빠와 누나 이야기 – 노래로 부르는 한국 현대사   황석영의 <장길산> 읽을 때 싱긋 웃은 적이 있습니다. 사람 목 비틀기를 예사로 하는 험상궂은 장정들이 상대방을 부를 때 ‘언니’라고 부르는 거예요. 어려서 사촌 누나에게 ‘...
    Date2025.09.04 Byreformanda Reply0 Views73 file
    Read More
  2.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전 숭실대학교 교수였던 김영한 박사(샬롬을 꿈꾸는나비행동 상임대표)가 2025년 9월 1일, “조국과 윤미향에 대한 광복절 사면에 관하여”라는 논평을 발표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조국 씨와 윤미향 씨에 대한 광복절 사면에 ...
    Date2025.09.01 Byreformanda Reply0 Views48 file
    Read More
  3. 낙하복 실험

        낙하복 실험   1912년 파리, 낙하복 실험을 위해 그는 타워에서 뛰어내렸다   1912년 2월 4일, 프란츠 라이셰르트(Frantz Reichelt)는 자신이 발명한 걸작인 "낙하복"이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증명하기 위해 이 옷을 입고 파리 에펠탑까지 올랐습니다. 당...
    Date2025.08.24 Byreformanda Reply0 Views105 file
    Read More
  4.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 남북한의 정통성 논쟁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단순한 역사 논쟁이었다면 목사가 굳이 펜을 들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다르다. 북한이, 혹은 북한과 유사한 성격의 체...
    Date2025.08.14 Byreformanda Reply0 Views130 file
    Read More
  5.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종교다원주의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힌두교 비이원성 철학에 기초한 라마크리슈나와 그를 교주로 삼아 출발한 ‘라마크리슈나 미션이다. 둘째는 기독교 바탕에서 종교다원주의를 표방한 칼 라너, 라이문도 파니카, 존 ...
    Date2025.07.29 Byreformanda Reply0 Views166 file
    Read More
  6.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대대한민국 헌법 제84조는 국가 최고 권력자로 하여금 안정적인 국가 경영과 통치를 하도록 일시적 특권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 법은 최고 권력자에게 법 위에 있을 수 있는 권한 부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대통령은 재직 ...
    Date2025.06.17 Byreformanda Reply0 Views523 file
    Read More
  7.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후보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의 전라도 논평   아래는 주동식 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의 세이브코리아 광주 집회의 연설 전문이다. 광주 출신인 그는 “친북·종중에서 벗어나 대한민국과 함께 가야 호남도 살아...
    Date2025.04.20 Byreformanda Reply0 Views712 file
    Read More
  8.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난리와 폭동이 예상되는 날이다. 대규모 집단 불복과 반발이 시작될 모양이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간판을 뗄 것이라고 하는 자들도 있다.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
    Date2025.04.03 Byreformanda Reply1 Views2552 file
    Read More
  9.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허영 교수(대한민국의 법조인, 헌법학자, 1936-)는 위법한 헌재 탄핵심판 결정이 오히려 국민 저항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0가지가 넘는 이런 불공정하고 졸속으로 진행된 탄핵심판을 우리 국민이 용납하겠...
    Date2025.03.07 Byreformanda Reply0 Views998 file
    Read More
  10. 대통령의 귀환을 고대하는 사람들

      대통령의 귀환를 고대하는 사람들   아래의 글은 <기독일보>에 게재된 김민호 목사(회복의 교회, 예장 대신)의 글을 옮겨 실은 것이다. 한국의 현 사태에 대한 한 기독인의 관점을 담은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다수 목사들의 지지 이유로 보인다...
    Date2025.01.18 Byreformanda Reply0 Views732 file
    Read More
  11. 윤석열 대통령의 “국민께 드리는 글”

        윤석열 대통령의 “국민께 드리는 글”    (2025.01.14.)   (현대한국사 자료)     국민께 드리는 글     국민 여러분, 새해 좋은 꿈 많이 꾸셨습니까? 을사년 새해에는 정말 기쁜 일 많으시길 바랍니다. 저는 작년 12월 14일 탄핵소추되고 나서 혼자 생각...
    Date2025.01.15 Byreformanda Reply0 Views554 file
    Read More
  12. 성소수자 혐오집회, 개탄스럽다/ 경향신문

        ‘성소수자 혐오·차별’ 대규모 도심 광장 집회, 개탄스럽다   경향신문 사설 2024.10.27   기독교 단체들의 대규모 차별금지법 반대 집회가 27일 서울 도심에서 열렸다. 개신교 임의단체인 ‘한국교회 200만 연합예배 및 큰 기도회 조직위원회’는 이날 오후...
    Date2024.10.28 Byreformanda Reply0 Views910 file
    Read More
  13. 현대판 보쌈문화, 키르기즈스탄 납치혼

      현대판 보쌈문화, 키르기즈스탄 납치혼   선시대의 ‘보쌈’은 여성을 강제로 납치해 아내로 삼는 악습 문화이다. 이와 비슷한 ‘납치혼’ 폐습이 미미하나마 아직도 남아 있는 나라들이 있다.  이 인권 유린의 문화를 연구한 논문들도 있다. 키르기즈스탄과 카...
    Date2024.09.07 Byreformanda Reply0 Views1006 file
    Read More
  14. 한국인은 어느 나라 국민이었는가?

        한국인은 어느 나라 국민이었는가?     김문수의 근대 한국사관은 옳은가? 2024년 8월 26일,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에 대한 국회 청문화가 파행하다가 산회했다. 김문수는 “일제통치 시기의 한국인의 국가는 일본이었다...
    Date2024.08.27 Byreformanda Reply0 Views1223 file
    Read More
  15. 태국 태권도 선수 파니팍 옹파타나키트

    태국선수 웅파타나키트가 태권도 여자 49kg급 결승전에서 금메달을 확정지은 뒤 최영석 감독을 향해 무릎 꿇고 인사하는 모습이다.   태국 태권도 선수 파니팍 옹파타나키트    파리 올림픽 보도 사진  가운데는 사람의 마음을 숙연하게 하는 정경(情景)을 담...
    Date2024.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114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