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떡과 잔.jpg



온라인 예배, 세례, 성찬


    

코로나 19와 더불어 온라인교회가 출범했다. 온라인 목사, 온라인 사도가 등장하고 있다. 온라인 예배, 온라인 성찬, 온라인 세례가 가능할뿐 아니라 필요한 시대에 진입했다. 온라인 교회는 온라인을 거쳐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새로운 교회 조직을 만들고 친교를 나눈다.

 

코로나 19는 사회적 거리두기 패턴을 유지해야 하는 삶을 강요한다. 우리 시대의 청소년부와 대학청년부 멤버들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미디어, 온라인 환경에 노출돼 있다. 교회가 미디어 영역을 도외시하고 방치하는 것은 영적 죽음으로 몰아붙이는 것과 같다. 젊은이들의 영혼이 황폐화 될 수밖에 없다.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는 동영상, 컴퓨터, 손전화기 등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미디어 공간에서 읽기·쓰기·말하기·정보의 시각적 제시, 음악, 예술 동원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우리 시대는 미디어 지식 습득과 인지 차원을 넘어 신학적, 미학적·감정적 차원의 효과를 지닌 영상물을 계발을 요구한다.

 

교회가 미디어 리터러시 방식을 예배, 세례, 성찬 그리고, 신앙교육에 적용하면 비록 속도는 다소 느리고 확고한 결실을 얻을 수 있다. 파워포인터를 이용하는 강의가 더 효과적인 것과 같다. 하나님은 개인의 재능을 신실하게 사용한다. 미디어에 익숙하지 않은 목회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줄어들고 있다.

 

온라인교회의 미디어 활용은 현장 예배를 동시중계하지만, 그것 이상이다. 예배를 받으시는 성삼위 하나님께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담은 복음 메시지를 상상력과 창의성 현대 미디어를 동원하여 제공한다. 세속에 찌들어버린 미디어가 성도들의 손을 거쳐 거룩한 영역에 긍정적으로 이용된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새로운 신적 선물이다. 오늘날의 교회가 요청하는 긴요한 은사이다.

 

미디어 영상 예배 제작자는 매체 미학을 고려한 예배를 담아 송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배 시작부분에서 이목을 끌 수 있는 무언가를 추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교회가 전염병을 막고 어려운 이웃을 돕는 현장을 보여주는 것도 필요하다.

 

온라인교회는 교회당 내부 장식이 담고 있는 신앙적, 신학적 의미를 이미지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 미학은 기독교 온라인 예배의 중심인 예수 그리스도가 나에게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답변에 결정적인 도우미 역할을 한다.

 

온라인 교회는 예배를 그냥 현장 중계 형태로 방송하지 않는다. 온라인교회 예배실은 성경, 신학, 예배학, 설교학, 인문학, 예술을 종합한 방송국이다. 하나님을 경외하고 의롭게 살게 하고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게 하는 메시지를 담은 종합 작품을 만들어 송출한다. 온라인 설교는 믿음의 진리를 선포하는 것에 끝나지 않는다. 예전과 더불어 방송 장면 하나 하나에서 기독교적 메시지를 담아 시청자에게 전한다.

 

예배 장소 내부를 방송으로 보여줄 때도 그것들에서 기독교적 메시지를 느끼도록 비주얼 효과를 증폭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메시지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서 화면 배경에는 전혀 무관심한 온라인예배는 덜 효과적이다. 독일의 어느 온라인 예배는 오로지 한 사람만이 빈 예배당에 나와 제단에 촛불만 켜놓고 예배를 드리는 장면을 유튜브를 거쳐 송출했다. 촛불의 신학적 의미를 교육받은 독일 신자들은 그 의미와 더불어 교회 내부 장식의 신학적 의미도 함께 묵상한다.

 

예술, 교회 건축, 내부 장식이 담겨진 상상력, 아름다움, 신학적 미학 요소들이 하나님의 계시의 통로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교회당 내부의 기독교 미술 작품이나 스테인드글라스와 교회당 밖의 기독교 예술품 등으로 기독교 전통과 신앙의 의미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입할 수 있다.

 

개혁신학은 예배의 예술성을 환영하지 않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시대는 통합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성경적 진리가 부재한 설교나 예배가 심미적으로 호소하는 것이 부당하지, 하나님의 말씀에 충실한 메시지가 예술성을 곁들이는 것에는 그릇됨이 없다. 하나님은 사람을 이성적 존재로만 창조하지 않고 감성적이고 심미적인 면을 부여했다. 세례와 성찬을 포함한 예배는 예술의 종합적인 표현이다.

 

온라인 예배는 코로나19 때문에 교회에 갈 수 없는 허전함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성경과 신학 메시지를 미학성을 곁들여 묵상하고,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대한 그리움을 가지도록 한다.

 

온라인 예배를 드릴 때 주일성수의 대리 만족을 느끼지만 신도 상호간의 인격적 만남이 없기 때문에 봉사·헌신·교제가 결여된다. 진정한 코이노니아의 방편을 확보하는 일이 절실하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코로나19라는 대역병의 종식이 불가능하다고 선언한다목표설정을 역병 '종식'에서  감염자 '최소화'로 바꾸었다. 이 말은 교회가 좁은 공간의 밀집모임 방식의 예배 시절로 돌아갈 수 없음을 시사한다. 알찬 콘텐츠를 가진 미디어 이용자가 온라인교회 시대를 주도할 것이다.

    

최덕성 박사 (브니엘신학교 총장, 교의학 교수)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choicollege@naver.com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조용기 목사와 자유상공인

      조용기 목사와 자유상공인   지금부터 5백 년 전인 16세기 종교개혁의 성패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지만 개혁을 지속가능하게 만든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자유 상공인들의 이념의 뒷받침이었다.   군주가 수틀리면 하루 아침에 재산을 몰수하던 유럽의 정서 ...
    Date2021.09.14 Byreformanda Reply0 Views629 file
    Read More
  2. WCC는 변명에 급급하지 말라

        WCC는 변명에 급급하지 말라   최근 훌륭한 교수님들을 통해 에큐메니칼 신학에 대해 배울 기회가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목회자들은 교회 일치에 대해, 당연히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땅의 모든 교회들이 하나 되는 것이 하나님의 뜻임을 ...
    Date2021.09.10 Byreformanda Reply0 Views678 file
    Read More
  3. 렉시오 디비나

        렉시오 디비나   1. 거룩한 읽기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가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영성, 영성목회, 영성신학의 상징적인 용어로 부상되고 있다. 프로테스탄트 신자들,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이 서슴지 않고 받아들이고 있는 듯하...
    Date2021.07.25 Byreformanda Reply0 Views2371 file
    Read More
  4. 인공지능과 자유의지

        인공지능과 자유의지   유튜브 채널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활용하여 권리자가 신고한 저작권의 침해 여부를 상당히 정확히 골라낸다. 예컨대 예배 영상에 사용한 1800년대의 찬송가 멜로디를 '저작권침해'라고 그 영상 게시자에게 알려준...
    Date2021.06.14 Byreformanda Reply0 Views1381 file
    Read More
  5. 영적 체험은 ‘사랑의 묘약’과 같다

        영적 체험은 ‘사랑의 묘약’과 같다 종교적 체험이 뇌 보상회로 활성화   미국 유타대학교 연구팀은 종교적 체험이 ‘사랑의 묘약’과 같다는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신비한 종교 체험이 사랑, 섹스, 도박, 마약, 음악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뇌의 보상 ...
    Date2021.05.25 Byreformanda Reply0 Views576 file
    Read More
  6. 브레드채플 예배 초대

        브레드채플 유비쿼터스 예배 초대   1. 여러분을 브레드채플-교회(Bread Chapel-Church) 유비쿼터스 예배에 초대합니다. 브레드채플은 성 삼위일체 하나님께 예배하는 신앙고백 공동체입니다. 유튜브채널에서 'BREADTV'를 검색하면 예배 영상에 접속할 수...
    Date2021.04.10 Byreformanda Reply0 Views658 file
    Read More
  7. 뉴에이지운동은 기독교를 위협하는가?

          뉴에이지운동은 기독교를 위협하는가?    1. 기독교계 일각에서 뉴에이지운동가 앨리스 베일리(Alice Bailey, 1880~1949, 이하 앨리스)가 쓴 것으로 알려진 “신세계 질서 확립 10가지 전략”(The 10-Point Plan of the New World Order)이라는 글이 확산...
    Date2021.03.21 Byreformanda Reply0 Views1048 file
    Read More
  8. 개혁교회의 표지에 대하여

        개혁교회의 표지에 대하여   1. 칼빈의 교회의 표지   ‘교회의 표지(標識)’라는 말이 교회를 정의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은 종교개혁시대부터이다.   물론 이전에도 이 용어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종교개혁자들이 이 용어를 빌어 당...
    Date2021.03.19 Byreformanda Reply0 Views1020 file
    Read More
  9. 고백성사 70 퍼센트 성(性) 관련 죄

    고백성사 70 퍼센트 성(性) 관련 죄   프랑스 로마가톨릭교회 신자들이 엄숙한 고해성사실 안에서 신부에게 사죄를 받으려고 고백하는 내용 가운데 약 70 페센트가 성과 관련된 죄라고 한다.   최근, 프랑스 로마가톨릭교회의 익명의 신부 40명이 지난 3년 동...
    Date2021.03.14 Byreformanda Reply0 Views960 file
    Read More
  10. 장진호 전투와 '고토리의 별'

        장진호 전투와 '고토리의 별'   장진호 전투는 지금부터 70년 전에 발생한 6.25전쟁에서 가장 치열했던 전투였다. 북한군이 유엔군에게 계속 밀리면서 임시 수도를 평양에서 압록강 근처의 강계로 옮기게 된다. 미해병 1사단은 낙관적인 전망을 하고 장진...
    Date2021.03.03 Byreformanda Reply0 Views1450 file
    Read More
  11. 예수님의 터치

    메리린 몬로   예수님의 터치   미국의 전설적 여배우 메리린 몬로의 어린 시절은 불우했다. 미혼모인 어머니의 버림을 받고 대리 양육하는 포스터 홈(Foster Home)을 전전하며 자랐다. 신문 기자가 그에게 “힘든 성장과정을 거치는 동안 사랑을 받아 본적이 ...
    Date2021.03.03 Byreformanda Reply0 Views530 file
    Read More
  12. “어둔 밤 마음에 잠겨", 이것도 찬송인가?

          “어둔 밤 마음에 잠겨", 이것도 찬송인가?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협 때문에 홀로 집에서 지내는 동안 <찬송가>(한국찬송가공회, 2006)에 담긴 노래들을 열심히 불렀다. 성경을 통독하듯이 찬송가를 큰 목소리로 통송했다. 찬송은 언제나 나에게 은혜 ...
    Date2021.02.06 Byreformanda Reply0 Views3211 file
    Read More
  13. 교회는 케리그마 사명에 충실하라

        교회는 케리그마 사명에 충실하라     나는 예수를 믿고 하나님을 만나는 순간부터 친인척들에게 전도하는 사명을 받았다. 이 사명을 성공적으로 이루려고 본격적인 배움의 길에 들어섰다. 브니엘신학교 신학대학원에 입학했고, 어느덧 2년 차 수업을 마...
    Date2021.01.23 Byreformanda Reply0 Views819 file
    Read More
  14. 교회와 유비쿼터스 세상

        교회와 유비쿼터스 세상   나는 ‘386 세대’ 이다. 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 한 때에 컴퓨터에 관한 아무런 지식 없이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그 당시는 컴퓨터 실행 능력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았다. 나는 선천적으로 기계와 친하지 않았다. 그래서 컴퓨터에 ...
    Date2021.01.14 Byreformanda Reply0 Views450 file
    Read More
  15. 왜 예수는 간음녀를 정죄하지 않았는가?

        왜 예수는 간음녀를 정죄하지 않았는가?    “대답하되 주여 없나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 하시니라“(요 8::11)   많은 고대사본에 이 부분이 없습니다. 특히 이른바 이집트 본문 그룹이 그러...
    Date2020.10.24 Byreformanda Reply0 Views152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