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13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3274212_3349423771742970_8472013017893044224_o.jpg


Photo: "George Floyd protests" in Wikip미국 dia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George Floyd Syndrome)20205월 말에 시작하여 6월 초 현재까지 미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파괴적인 저항운동이다. 위조 지폐 사용자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고에 대한 항의시위이다. 미국의 대도시 전역에서 미움과 증오의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약탈, 방화, 절도, 파괴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조지 플로이드(George Perry Floyd) 사망 사건은  2020525일 미국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파우더호른에서 발생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플로이드가 경찰에 의해 체포되는 과정에서 질식사당한 사건이다.

 

미니애폴리스 경찰 소속 백인 경찰관 데릭 쇼빈이 작성한 문서에 따르면 쇼빈은 846초간 플로이드의 목을 무릎으로 압박했고 플로이드는 이 중 253초 동안 의식을 잃은 상태였다. 경찰이 무릎으로 목을 찍어 누를 당시 플로이드는 수갑을 찬 채 땅 위에 엎드려 제압당한 상태였다.

 

출동한 경관들은 플로이드가 의식불명이며 심장 정지 상태였음을 인지했음에도 무력행사를 멈추지 않았다. 목격자 행인들이 이 사건을 스마트폰으로 영상 녹화했다.

 

사건 다음 날 직접 플로이드에게 무력을 행사한 데릭 쇼빈과 함께 출동해 플로이드를 붙잡은 토마스 레인, 알렉산더 쿤 그리고 이 장면을 옆에서 지켜본 투 타오 총 4명은 해임됐다.

      

이 사건은 플로이드가 위조지폐를 사용하자 체포되면서 발생했다. 플로이드가 방문한 식당의 직원이 그가 지불한 20달러를 위조지폐로 의심하여 경찰에 신고했고, 경찰이 출동했다.

 

경찰은 성명을 통해 위조지폐 사용한 용의자 플로이드가 자신의 승용차에서 내리라는 경찰의 요구에 따랐지만 신체적인 저항을 한 탓으로 수갑을 채웠다고 했다. 그러나 근처 CCTV는 경찰이 그를 처음 마주한 순간부터 제압당할 때까지 물리적인 저항이 없는 모습을 담고 있다.


플로이드는 "숨을 쉴 수가 없다", "살려 달라"고 반복적으로 말했고, 행인들이 경관에게 플로이드가 숨을 쉬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경찰은 플로이드가 의식을 잃은 뒤에도 계속 무릎으로 그의 목을 짓눌러 호흡을 방해하는 비인간적인 행위를 했다. 행인들은 이 과정을 전화기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인터넷 채널에 올렸다. 이 영상은 빠르게 확산되었다.

 

플로이드 사망 사건에 대한 시위는 526일 오후부터 미니애폴리스에서 처음으로 발생했다. 경찰과 시위대의 무력 충돌이 발생하자 미니애폴리스는 주방위군을 배치했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씨는 무력을 행사한 시위대를 건달이라고 지칭하며 "약탈이 시작되면 총격이 시작될 것"이라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약탈이 시작되면 총격의 시작이라는 발언은 1967년 흑인 시위에 대한 폭력적 보복을 공언한 윌터 헤들리 당시 마이애미 경찰국장이 만든 문구이다. 시위대 진압을 위해 주방위군을 배치하고, 시위대에게 인종차별적인 모욕을 한 트럼프의 대처는 많은 사람들의 비난을 받고 있다.


이기업 목사는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이라는 제목의 글을 페이스북 담벼락에 게시(2020.06.06)했다. 아래의 글은 미움과 중오가 갖는 무게에 대한 심오한 통찰을 담고 있다. 이기업 목사는 칼리포니아 어바인 소재 글로리아커뮤니티교회의 목사이다(홈페이지 주소: gloriacc.org).


조지 플로이드 사건은 나의 잠재의식, 우리 공동체, 지역, 사회 전반에 만연된 미움과 증오의 뿌리를 엑스레이 사진을 보듯이 돌아보게 한다. '미움과 증오'라는 단어가 갖는 무게 때문에 내 안에는 이런 감정을 키우지 않으며, 내 삶의 행태도 아니라고 말할지 모르겠다. 미움과 증오의 반대 어휘는 '사랑'이라는 것을 누가 모를까 만, 나에게 그 사랑이 부족하고 결핍되어 있다고 진단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이 사랑 결핍이 미움과 증오가 된다. 사랑 결핍은 두 가지 얼굴빛을 띄게 만든다. 하나는 '무관심'이라는 내면적 얼굴이며, 또 다른 하나는 '차별'이라는 외형적 얼굴이다. 무관심은 사랑이 결핍된 소극적 얼굴이라면, 차별은 사랑이 결핍된 능동적 얼굴이다.

 

내 안에 '무관심'이라는 소극적 얼굴을 품고 있음에도, 나는 어떤 죄 의식도 없고 사회적 정의 파손에 대한 일말의 의식도 가지지 않는 것 같다. 그래서 어떠한 도덕 의식과 정의어린 양심의 소리 앞에서도 가벼운 회개정도의 약빨이면 충분하다고 무시해 버린다. 심지어 이러한 무관심이라는 내면적 얼굴을 가지고 있음에도 이것은 그다지 문제가 없는 듯 여기고,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듯 쉽게 치부해 버리며, 스스로 자위한다.

 

이것은 마치 내가 '마스크'를 쓰고 '사회적 거리 두기'만 하면 '무관심'이라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반면 '차별'이라는 능동적 얼굴은 종종 폭행과 살인과 폭동, 심지어는 전쟁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차별은 종류가 다양하다. 지역적 차별, 직업적 차별, 인종적 차별, 남녀 차별, 외모의 차별, 정치적 차별, 종교적 차별 등 천차만별의 차별들이 있을 것이다. 대부분은 자기가 소속된 지역, 직업, 인종, , 종교에 대한 긍지와 자랑이 있을 것이다. 다만 그것을 넘어서 나와 유사한 소속적 긍지를 가지는 '또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없는 것이 차별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이다.

 

타인과 타 문화에 대한 무관심은 단순히 나의 성향이나 기호 음식정도로 치부할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타인과 타 문화에 대한 관심이 그 문화에 속한 그 사람을 이해하는 의미 있는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초문화적(cross-cultural) 인간 이해가 요청된다. 이러한 이해가 없는 것이 곧 무관심이다. 이 무관심이 차별이라는 거대한 사회적 쓰나미를 일으킨다.

 

결국 초문화적 사랑의 존재로 오신 성육한 그리스도로 돌아가는 길이 유일한 열쇠인 것 같다. 영광의 처소를 떠나시고 영광의 보좌를 비우시고 죄악의 문화 안으로 사람의 형상으로 오신 것을 믿고 닮는 것이, 내 안에 깊이 똬리를 틀고 자리 잡은 무관심과 차별을 치유할 것이라 의심하지 않는다.

 

, 숨이 막힌다! (Ah, I can't breathe!). '무관심'이라는 왼쪽 무릎과 '차별'이라는 오른쪽 무릎이 나의 목을 눌러 나로 하여금 숨을 쉬지 못하게 하는구나! 이것이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이다. (The left knee of ‘indifference’ and the right knee of ‘discrimination’ are on society's neck and it can't breathe! This is Georgy Floyd Syndrome).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choicollege@naver.com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톨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3-3)       레프 톨스토이의 『부활』(The Ressulection, Воскресение, 1899)은 인간의 영혼이 죄와 분노, 불의와 무지 속에서 어떻게 깨어나고 다시 태어나는가를 보...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17 file
    Read More
  2.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셰익스피어의 비극 『리어 왕(King Lear)』은 인간의 분노가 어떻게 영혼의 심연을 흔들고, 사랑과 진리를 삼켜버리는지를 보여주는 장엄한 서사시와도 같다. 그 안...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25 file
    Read More
  3.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 사랑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보다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시기(Envy)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가장 은밀히 자라나는 감정이다. 처음에는 미세한 불편함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의 이름이 칭찬받는 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3 file
    Read More
  4.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 10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시기에 대한 경고성경은 시기를 단순한 감정의 사안으로 다루지 않는다. 영혼의 균열, 곧 사랑이 부재한 자리에서 피어나는 내면의 어둠으로 본다. 사도 바울과 베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3 file
    Read More
  5.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어느날 여우는 나뭇가지에 잘 익은 포도가 매달려 있는 것을 침을 삼켰다. 포도를 따려고 뛰어올랐으나 손에 닿지 않앗다. “조금 더 높이 오르면 포도를 딸 수 있을 거야” 하고 시도...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4 file
    Read More
  6. 신데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사진=영화 '신데렐라' 스틸   신델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신데렐라』(Cinderella)는 부당한 학대와 시련 속에서도 주인공 신데렐라가 고난을 이겨내고 초자연적인 원조자의 도움을 받아 결국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2 file
    Read More
  7.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윌리암 셰익스피어의 『오셀로』(Othello)는 인간의 마음속에 잠들어 있는 시기가 어떻게 사랑을 왜곡시키고, 진실을 파괴하며, 결국 자기 자신을 삼켜버리는가를...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7 file
    Read More
  8.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6)   인간의 마음속에는 모방의 불꽃이 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서로를 비추며 배우고, 닮으려 하며,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을 형성한다. 아이는 부모의 말투를 따라 하고, 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2 file
    Read More
  9.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시기’(猜忌, Envy)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미워함이다.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타인’에게 초점을 맞춰서 “시기가 갖지 못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5 file
    Read More
  10.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2)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는 이탤리 피렌체의 하늘 아래 태어나, 인간의 영혼이 하늘과 지옥 사이를 오가던 중세 말의 시인이다. 그는 단순한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3 file
    Read More
  11.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2-1)       영화 〈아마데우스〉(Amadeus, 1984)는 천재 음악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그를 질투한 궁정 작곡가 안토니오 살리에리의 이야기이다. ‘시기(嫉忌)’라는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9 file
    Read More
  12.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6)     인간 영혼의 뜰에는 뱀처럼 은밀하고 교활한 손님이 자리 잡고 있다. 그 이름은 교만이다. 교만은 스스로를 높이려는 끊임없는 욕망이며, 눈을 가린 채 낡은 허상...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4 file
    Read More
  13. 교만의 어두운 계단: 영적 우월감

        교만의 어두운 계단: 우월감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5)     인간의 영혼은 깎아지른 절벽과 같아서 늘 추락의 위험을 안고 산다. 그 추락을 유혹하는 가장 달콤하고도 단단한 땅이 바로 교만이다. 권력의 비탈에서, 명예의 높은 봉우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1 file
    Read More
  14.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교만은 자기기만의 덫이다. 교만은 단순한 자부심 과잉이 아니다. 인간 영혼의 가장 깊은 곳에 드리워진 그림자이다. 스스로를 속이고 타인과의 연결을 끊으며, 모든 선한 노력의 끝자락에서 다시 고개를 드는 뿌리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7 file
    Read More
  15.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3)   교만은 단순한 자아도취나 오만한 태도가 아니다. 그것은 존재의 가장 깊은 심연에서 터져 나오는 비극적인 선언이며, 피조물로서의 숙명을 거부하는 장엄하고도 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1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