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wwwwwwwwwwwwwwsssswqw.jpg





의(義)의 복음, 의인 자긍심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1


6.2 의의 복음, 의인 자긍심

 

6.2.1 개혁신학의 두드러진 장점은 이신칭의 중심의 구원론에 대한 확고부동한 신념이다. 이신칭의는 기독교 정통 신앙의 요체(要體, hinge)이다. 고신교회 총회(2018)칭의론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입장이라는 문서를 채택했다. 구원 교리를 위협하는 고신 공동체 안의 일련의 움직임과 시도에 쐐기를 박았다. 기독교의 구원체계와 바울의 가르침 그리고 종교개혁자들이 재발견하고 고신교회 선배들이 믿어온 이신칭의 진리를 고신교회의 교리적 정체성으로 확고하게 천명했다.

 

6.2.2 고신교회가 이신칭의 주제를 공식화 한 배후에는 신학자 김세윤 박사(풀러신학교 교수, 신약신학, 전 영동교회 협동목사)와 필자 사이의 칭의론 논쟁 그리고 유보적 칭의론 또는 이신행칭의교리에 호감을 가진 고신교회 일부 구성원들의 움직임이 작용했다. 미래교회포럼(대표 박은조 목사)의 칭의론 세미나(2016)의 선전 글귀에는 이신칭의 교리가 기독인들에게 세상에서 방탕한 죄의 삶을 살게 하고, 죄를 지을 면허증 또는 면죄부를 주는 것으로 이해하는 걱정이 넘친다. 고신교회는 행위구원교리의 도전 조짐에 단호히 대응했다. 교회 밖에서 전개된 칭의론 신학충돌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역전시켰다.

 

6.2.3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은 로마가톨릭교회 의화론(義和論)의 짝퉁이다. 프로테스탄트교회를 이단으로 정죄한 트렌트공의회(1547) 칭의론과 다르지 않다. 김세윤 주장의 요지는 칭의를 받은 자도 구원에서 탈락할 수 있으며, 물세례로 얻은 칭의를 신자가 자기 선행으로 완성시켜야 심판대 앞에서 완전한 의를 얻고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주장이 진리왜곡과 복음전도를 심각하게 방해함을 인지하고서 문제점을 지적한 글을 지상에 발표했다. 이듬해 트렌트공의회 칭의론과 칼빈의 해독문(解毒文): 김세윤의 칭의론과 관련하여를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학술회와 리포르만다(기독교사상연구원) 학술회에서 발표했다.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이 트렌트공의회의 칭의론과 동일하며, 이를 약분(約分)하면 행위구원임을 증명했다.

 

6.2.4 고신교회의 실제적인 첫 번째 도전 과제는 하나님의 칭의가 인간의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진다는 진리에 대한 확실성이다. 이 교회는 하나님이 주는 믿음으로 칭의를 받은 자는 구원의 반열에 들고, 즉각 하나님의 자녀 신분을 획득한다고 믿는다. 고신교회의 대적인 사탄은 이 교회와 구성원들이 율법에 예속되기를 원한다. 현재 완료형 시제의 의()를 우리가 알게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율법을 지키고 행함으로 의를 완성할 수 있다고 유혹하여 계속 좌절 상태에 두려고 한다. 죄를 짓지 않으려 애쓰는 기독인의 노력과 죄를 지을 힘을 주는 사탄의 세력은 직결되어 있다.

 

6.2.5 사탄은 은혜의 선물, 의의 선물 주변에 울타리를 쳐 기독인이 그것에 자긍심을 갖거나 누리는 일을 방해한다. 법정적 의(Juridical Righteousness)와 실천적 의(Practical Righteousness)를 구분하도록 유혹한다. 설령 하나님의 은혜 또는 물세례로 칭의를 받았어도 실천적 의의 완성이 비로소 우리를 구원의 문으로 인도한다고 생각하게 한다. 바울은 인간 자력으로 자기 의를 얻어야 한다거나 의를 완성시켜야 한다는 현대 신학자들의 가르침을 전면 거부한다. 우리의 신분은 둘 중의 하나이다. 자신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고 고백하여 의롭게 되었든지, 그렇지 않든지 그 이상은 없다. 성경은 믿음이나 물세례로 지위적인 의를 얻고 계명 준수와 선행 곧 실천적 의를 행함으로써 실제적인 의를 얻게 된다고 가르치지 않는다.

 

6.2.6 하나님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자에게 은혜의 선물을 그냥 주셨지 조건을 내걸고 주지 않았다. 하나님은 우리를 완벽하게 사랑하신다. 우리가 받은 의는 새 언약의 중보자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선물이다. 선물은 그것을 받는 사람의 노력과 공로를 요구하지 않는다. 조건을 요구하는 선물은 진정한 의미의 선물이 아니다. 롤스로이스 최고급 자동차 한 대를 선물하면서 죽을 때까지 매달 100만원 씩 지불하라고 한다면 그것은 진짜 선물이 아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의를 유지하려고 남은 평생 동안 율법을 지키고 선행으로 완성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을뿐더러 불가능하다. 하나님의 구원의 선물에는 행위 조건이 없다. “의의 선물”(5:17)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 베푸심의 결과이다.

 

6.2.7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사람은 과거와 현재의 죄를 완전히 용서받는다. 미래에 짓게 될 지도 모를 죄를 용서받을 수 있는 법정적 근거가 확보된다. 예수를 구원자로 믿는 순간, 영접하는 순간, 고백하는 순간, 우리의 모든 죄는 예수의 보배로운 피로 깨끗이 씻긴다. 이신칭의는 고신교회의 존재 의의와 직결되어 있다. 이 교회의 선배들이 고백했고 물려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다. 장래의 고신교회가 전수하고 계승해야 할 신조이다.

 

6.2.8 고신교회 구성원들은 예수의 십자가 대속사역을 통해 의롭다고 칭함을 받는 사람들이다. 예수를 통해 얻은 완벽한 의의 예복을 입고 있다. 우리의 의는 예수께서 살 찢고 피 흘려 산 선물이다. 기독인은 하나님 앞에 의롭다고 칭함을 받는 자로 서 있고, 마지막 심판대에서 의인으로 통과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하나님은 지금 고신교회 구성원들이 의의 옷을 입고 있는 것을 보고 계신다.

 

6.2.9 의를 선물로 받은 자가 그 의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죄를 압도하는 하나님의 복음의 위대함에 감동하면, 고신교회가 전통으로 유지해 온 생활의 순결의 열매를 맺을 수 있다. 선물로 받은 의에 대한 기독인의 확신은 맹렬하게 죄를 멀리하고 적극적으로 반대하게 한다. 고신교회 일부 구성원들이 이신칭의를 죄를 지을 면허증으로, 면죄부로 이해함은 은혜의 선물, 의의 복음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율법주의 사고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6.2.10 율법은 행복헌장이다. 우리를 그리스도에게 인도하는 몽학선생이다. 율법을 배우는 노력은 항상 필요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율법이 한 명의 영혼도 구원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신칭의 교리는 죄를 짓게 하는 면죄부, 면허증이 아니라 오히려 죄를 멀리하게 하는 강력한 힘을 제공한다. 기독인이 하나님의 은혜의 폭과 깊이를 철저히 깨달을수록 죄를 압도하는 자신의 능력이 강화된다. 자신이 의인의 신분이라는 자각이 강하고 분명할수록 죄의 지배에서 벗어날 힘을 가지게 된다. 하나님의 은혜와 그리스도의 의에 대하여 자주 설교할수록 죄를 억제하는 능력이 고조된다. 복음-하나님의 사랑-은혜 그리고 그리스도의 의를 더 많이 설교하면 의의 신분을 획득한 기독인의 자존감-자긍심(self-esteem)이 높아진다. 자기의 의인 신분에 대한 자긍심은 기독인을 윤리적 실천, 성화의 삶에 매진하게 한다.


최덕성,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제2차 고신포럼 힉술회 발표논문 일부 (2020.2.17. 프레지덴트호텔 서울)


최덕성 박사(현 브니엘신학교 총장)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choicollege@naver.com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개혁교회의 정치참여, 바람직한가?

      예장 고신 대사회관계위원회, ‘정교분리의 원칙과 한국교회의 정치참여’ 논의   “한 손에는 성경을, 다른 한 손에는 신문을”   ▲최덕성 박사는 “개혁교회의 목사는 한 손에는 성경을, 다른 한 손에는 신문을 든 하나님의 말씀 선포자로, 국가가 직면한 정치...
    Date2025.07.06 Byreformanda Reply0 Views270 file
    Read More
  2. 정치 설교, 성경 따라 얼마든지 가능하다

          정치설교, 성경 따라 얼마든지 가능하다   개혁신학적 정치 참여 매니페스토(manifesto)   아래의 글은 필자(최덕성)가 개혁신학포럼 데26차 정기 세미나(2025.04.26. 은평제일교회당 별관)에서 발표한 글을 <크리스천투데이>가 발췌 기사화 한 것이다. ...
    Date2025.04.30 Byreformanda Reply0 Views573 file
    Read More
  3. 대통령 탄핵 찬성-반대 데모, 무방한가?

      대통령 탄핵 찬성-반대 데모, 무방한가? 기독교인이 길거리에서 대통령 탄색 찬성-반대 시위를 해도 무방한가? 이 글은 하나님의 나라는 정치와 정부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밝힌다. 최근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를 주도하는 세이브코리아 대표와 가담하는 ...
    Date2025.02.16 Byreformanda Reply0 Views834 file
    Read More
  4. 종교다원주의와 아드바이타 세계관

        종교다원주의와 아드바이타 세계관   종교다원주의는 현대 기독교 신학의 최대의 화두이다. 이 사조는 인류가 종교적 다원 시대에 진입했음을 강조하면서 역사적 기독교를 향하여 타종교에 대한 관점을 바꾸라고 요구한다. 모든 종교가 다양한 구체적 삶...
    Date2025.01.04 Byreformanda Reply0 Views1007 file
    Read More
  5. Rick Warren's 10 Suggestions at the 4th Lausanne Conference

        Rick Warren's 10 Suggestions at the 4th Lausanne Conference     The 4th Lausanne Conference, held in Seoul-Incheon, concluded. Pastor Rick Warren who recently retired from leading Saddleback Church, presented "10 Suggestions for Fulfill...
    Date2024.09.28 Byreformanda Reply0 Views764 file
    Read More
  6. 종교다원주의의 기초는 힌두교 사상이다

        종교다원주의의 기초는 힌두교 사상이다     종교다원주의가 기독교계에 등장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였다. 우리가 아래에서 논의할 종교다원주의 사상가 라이문도 파니카, 존 힉, 폴 니터 그리고 WCC 신학자 엠 토마스, 스탠리 사마르타, 웨슬...
    Date2024.09.06 Byreformanda Reply0 Views937 file
    Read More
  7. 킹 제임스판 성경 초판은 몇 권을 담고 있는가?

        킹 제임스판 성경 초판은 몇 권을 담고 있는가?     킹 제임스 판 영어 성경(1611)은 초판에 담긴 성경은 모두 80권이다.로마가톨릭교회가 성경으로 보는 가경 14권이 포함되어 있다.     현대 가톨릭교회 성경에는 모두 73권의 성경이 담겨 있다. 가경들...
    Date2024.08.27 Byreformanda Reply0 Views1174 file
    Read More
  8. 개혁주의 산학자의 세대주의 반박

        개혁주의 산학자의 세대주의 반박   -세대주의에 대한 95개조 반박문-   로버트 레이몬드 박사   (전 커버넌트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머리말     우리는 사람들이 이 세대주의 반박문을 보고 니케아카운슬닷컴이나 역사적으로 성경을 믿는 교회들이 ...
    Date2024.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1026 file
    Read More
  9. 칼빈은 사람을 죽였는가?

        칼빈은 사람을 죽였는가?     삼위일체 하나님 신앙을 부정하는 이단자 세르베투스와 관련하여 종교개혁 신학자 존 칼빈을 폄하하는 영상이 나돈다. "칼빈이 많은 사람들을 죽였다”고 한다. 칼빈이 58명을 직접 살해했다고 한다. 그가 살인자이며, 끔찍한...
    Date2024.06.26 Byreformanda Reply0 Views1078 file
    Read More
  10. 종교간의 대화운동의 목적은 '대화'가 아니다

        종교 간의 대화운동의 목적은 '대화'가 아니다   류현웅 (2005년의 글)   원제: WCC의 종교간의 대화가 기독교 선교에 미친 영향: 종교다원주의를 중심으로     I. 서론     기독교에서 타종교에 대한 입장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것은 선교학적인 맥락에서...
    Date2024.06.01 Byreformanda Reply0 Views724 file
    Read More
  11. 천년왕국, 이해하기 어려운가?

          천년왕국, 이해하기 어려운가?     성경에는 ‘천년왕국’(Millennial Kingdom)이라는 표현이 등장하지는 않는다. 예수님의 사도 요한은 계시록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하다가 목 베임을 받은 자들 곧 순교자들과 짐승에게 경배하지 않은 자들과 짐승의...
    Date2024.04.05 Byreformanda Reply0 Views1195 file
    Read More
  12. 동정녀 수태 교리의 진수

      동정녀 수태 교리의 진수   크리스마스ㅡ성탄절은 단순한 생일이 아니라 대강절, 주현절, 사순절, 부활절, 성령강림절과 함께 기독교 세계에서 여섯 명절 중 하나다. 흔히 성탄절이 태양절에서 유래했다 하여 경시하는 풍조가 있으나, 여섯 절기는 “유대인...
    Date2023.12.24 Byreformanda Reply0 Views817 file
    Read More
  13. 공공신학의 의미와 목표 재고

        공공신학의 의미와 목표 재고     최근 몇 년 동안 공공신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몇몇 신학자들은 그 한계와 보완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로 공공신학을 강조한다.     "공공신학"이라는 용어는 1974년 마틴 마티(Martin Marty)의 논문 "R...
    Date2023.12.11 Byreformanda Reply0 Views827 file
    Read More
  14. 신인(the God-man) 찬미

    성 마티아스 교회, 부다페스트, 헝가리   신인(the God-man)  찬미   나는 해마다 성탄 카드를 쓰면서 "성탄의 큰 의미로 가득한 성탄이 되시기를" 기원하는 문구를 넣는 습관이 있다. 오랫동안 우리 주변의 사람들의 성탄 맞음에서 성탄의 큰 의미가 퇴색된 ...
    Date2023.12.07 Byreformanda Reply0 Views652 file
    Read More
  15. 신학자 최갑종, 권연경, 김세윤

          신학자 최갑종, 권연경, 김세윤      마르틴 루터는 1517년 10월 말에 독일 비텐베르크 성채 교회당 문에 95개조의 대자보를 붙였다. 신학 교수이자 수도사였던 그는 로마가톨릭교회의 비성경적 요소들에 대해 강력히 항거(Protest)하며 교회 개혁의 필...
    Date2023.11.05 Byreformanda Reply0 Views97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