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몬타세루.jpg



학회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순서대로 김길성 교수, 기조강연을

권호덕 총장과 김영한 원장, 최덕성 박사, 학회장 한상화 박사, 권문상 박사. 이대웅 기자



몬타누스·펠라기우스·세르베투스에 대한 웨슬리의 입장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회장 한상화 박사) 31차 정기논문발표회가 서울 방배동 백석대학교 목양동에서 개최됐다.

 

이날 발표회에서는 최덕성 박사(브니엘신학대학원 총장)존 웨슬리의 이단 관용정신을 주제로, 감리교 창시자인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2)에 대해 이단 관용 정신과 이단 옹호 태도를 갖고 있었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발표는 최근 감리교 한 집사가 칼빈을 학살자로 묘사하면서 반박과 재반박이 오가는 시점에서 진행돼 더욱 관심을 끌었다.

 

존 웨슬리는 몬타누스와 펠라기우스, 세르베투스를 이단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이단 판별의 기준으로 삶의 거룩함과 경건성, 성결성등을 제시했다는 것. 그는 이 같은 웨슬리의 태도는 자신이 이단자처럼 취급당하는 데 대한 방어적 동기에서 나온 점을 고려해도 과유불급이라며 그리스도의 교회를 혼합주의로 이끄는 위험성을 지니고, 기독인의 관심을 성경적 진리에서 멀어지게 하며 교회의 진리에 대한 민감성을 앗아간다고 비판했다.

 

최덕성 박사는 웨슬리의 이단 평가는 놀라울 정도로 파격적으로, 자신의 갈등 상황과 직결된 구원론·교회론과 관련해 이단자에 대한 전통적 견해를 거부한다그는 삶이 거룩하고 귀신을 내쫓는다면 견해(opinion)가 다른 자들과 얼마든지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러한 이단 관용 정신은 경건주의의 오류와 동일한 편파성, 주관성, 성령주의-열광주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먼저 2세기 기독교회의 주류에서 벗어난 운동들 중 하나였던 몬타누스(Montanus)’에 대해 웨슬리는 몬타누스가 2세기 기독교회의 타락을 막으려 거룩함과 성결을 강조하고 가르치다 이단자로 몰렸다며 타락한 교회의 이단 정죄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웨슬리는 몬타누스의 성령 체험과 환상, 황홀경 체험 같은 주관적·열광주의적 요소들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자신의 부흥운동과 동일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으로 이를 통해 자신에 대한 영국국교회의 비난에 응전했던 것이라고 했다.

 

최 교수는 웨슬리의 몬타누스를 강변함으로써 자신들의 메소디스트 운동이 이단 운동이 아님을 말하고 싶었던 것인데, 이는 웨슬리의 이단 해석이 자신의 정황과 처지가 진리 이해와 이단 판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콘텍스트가 텍스트 해석에 무슨 영향을 미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 주는 것이라며 몬타누스주의는 기독교 표준들에서 이탈한 운동이었으나, 오늘날 성령주의 운동, 오순절파 운동, 은사주의 운동, 방언 운동, 기도원 운동, 신비주의 운동, 극단적 종말론 등에서 왕성하게 부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인간의 자유의자와 행위를 강조하다 카르타고 공의회(418)에서 이단자로 정죄된 펠라기우스(Pelagius, 354-418)에 대해서는 펠라기우스의 사상은 웨슬리의 신학적 견해인 아르미니우스주의, 그리고 그가 주장하는 완전성결론과 구원을 완성하기 위한 신자의 참여와 일치한다웨슬리는 펠라기우스의 주장과 견해가 자신에게 긍정적으로 이바지하는 면을 간파했고, 그에 대해 고대 저자들 가운데 지혜와 거룩함을 동시에 지닌 인물이었다고 말한다고 설명했다.

 

2ZDCKTF533333.jpg


최덕성 박사의 발표 후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좌장

권문상 박사(웨신대), 최 박사, 논평 조봉근 박사(광신대 명예교수). 이대웅 기자



최 교수는 웨슬리는 어거스틴의 예정론과 선택 교리에 반대하면서, 펠라기우스가 자유의지를 강조한 사실에 주목하고 예정론이 믿음으로 복음을 받아들이는 것을 약화시킬 수 있고 율법무용론의 위험이 있다고 봤다펠라기우스에 대한 우호적 관점은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대한 웨슬리의 우호적 시각과 연계되고, 이는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 선택을 강조했던 조지 윗필드(George Whitefield)가 웨슬리와 결별한 까닭이기도 하다고 했다.

 

최덕성 교수는 웨슬리가 논란의 인물 세르베투스(Michael Servetus, 1511-1553)’에 대해서도 이단 정죄의 권위를 언급하면서 옹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위일체 교리를 거부한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이단자로 정죄당하고 처형된 세르베투스에 대해, 웨슬리는 삼위일체 교리를 믿지만, 사람에게는 의견과 견해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그 차이로 말미암아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하는 것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는 것.

 

최 교수는 웨슬리는 이단자의 죄목을 작성해 준 칼빈에 대해 관용 정신이 부족하다고 지탄했고, 칼빈이 세르베투스의 말을 올바르게 인용했으면 그가 화형당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웨슬리는 세르베투스와 관련하여 종교개혁자들이 신학적 다양성을 훼손했고, 하나님에 대한 진실한 고백이 있다면 신학적 의견에 대한 관용이 허락되어야 마땅하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웨슬리는 신앙 문제로 남을 박해하거나 이단으로 정죄하거나 이단 시비를 거는 사람들에게 항의하고, 성결신학을 강조하는 메소디스트 부흥운동을 광신이자 이단이라 주장하는 자들이야말로 기독교의 본질에서 먼 자들이고 심지어 기독인이 아니라고 단정한다그는 이단판별 논의에서 이성과 진리, 사랑을 우선하지만, 교회의 이단 정죄자들은 상투적으로 성경과 진리가 기준이라고 말하면서도 실제로는 기득권과 다수 논리, 힘이 더 강하게 작용한다고 말했다.

 

8888888888888766.jpg


발제자 최덕성 박사


 

최 교수는 이단 관용 정신의 이단성이라는 맺음말에서 웨슬리의 이단 관용 정신은 예후와 아비나답의 관계(왕하 10:15)’를 연상케 한다그들은 종교적 이견과 차이를 문제 삼지 말고 하나님과 이웃에 대해 올바른 믿음을 갖고 있으면 손을 잡아야 한다고 말하는데, 그 결과 경건주의의 함정인 편파성과 주관성, 성령주의-열광주의에 빠질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지나친 이단 정죄에 대해서는 우려를 제기했다. 그는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고 구원받은 사람들을 이단이라고 정죄하는 것은 하나님의 사역을 방해하는 일이라며 교회는 이단 정죄로 피해를 본 기독인들의 마음을 사랑으로 쓰다듬는 아량이 필요하고, 억울하게 이단으로 몰려 의기소침해하는 자들에 대한 특별한 배려가 요청된다고 했다.

 

앞서 첫 기조강연에서는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 원장)헬무트 틸리케의 개혁주의적 성령론 신학을 발표했다. 그는 틸리케는 루터의 개혁종교신학의 의인론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도 현대의 복잡한 사회상황과 대화시키면서 기독교 윤리를 구체적으로 전개, 대립과 갈등의 오늘날 현실에서 적응성을 지닌다그는 현대신학을 데카르트적·비데카르트적 신학으로 나누고 전자를 현대주의, 후자를 보수주의로 규정하면서 이에 대한 극복으로 성령론적 신학을 제시, 현대신학에 공헌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두 번째 기조강연에서는 권호덕 박사(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칼빈의 유럽 대륙 후예들의 성육신 이해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성경은 명백하게 우리의 구원자가 구속 사역을 수행할 때 실제적으로 무엇인가를 제거했음을 가르치지만, 유감스럽게도 한국어 번역성경 대부분은 이를 오역해 독자들에게 이 진리를 깊이 있게 볼 수 없도록 만들었다전체적으로 유럽의 대륙 고백서들은 구원자가 타락 후 아담의 몸을 취했음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로 보건대 타락 전 아담의 몸을 말하는 칼빈의 <기독교 강요> , 13, 4를 주목하지 않고 타락 후 아담의 몸을 말하는 <기독교 강요>의 다른 부분과 그의 주석을 주목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이 외에도 오후 발제에서 이신열 박사(고신대)칼빈의 우상숭배 이해’, 박태수 박사(한국성서대)일립 강태국 박사의 신론’, 이관표 박사(연세대)한국 기독교의 정치 참여와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 발터 벤야민과 하워드 요더에 관련하여’, 김지훈 박사(대신총회신학교)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 기롤라모 짱키우스의 신학에서 기독론의 역할을 각각 발표했다. 발표회 전 개회예배에서는 한상화 회장 사회로 김진섭 박사(백석신학교 학장)가 설교했다

 

크리스천투데이, 20151114 이대웅 기자, 리바이블 기사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choicollege@naver.com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WEA 서울총회 반대에 대한 답변

    오정현 목사(사랑의교회)   WEA 서울총회 반대에 대한 답변     WEA 서울총회 조직위원회 한국신학위원회(이하 위원회)’가 2025년 8월 6일 서울총회 개최를 반대하는 움직임에 대한 답변을 아래와 같이 발표했다. WEA에 대한 오해가 지나친다는 요지의 글이다...
    Date2025.08.08 Byreformanda Reply0 Views41 file
    Read More
  2. 회개가 WCC의 카이로스다

        회개가 WCC의 카이로스다   WCC 70차 중앙위원회 성명에 대하여   김요셉, 페이스북 글 (2025 07 15)   1. 성경의 언어를 빌린 정치선언   2025년 6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세계교회협의회(WCC) 제70차 중앙위원회는 『평화와 인간 안...
    Date2025.07.15 Byreformanda Reply0 Views156 file
    Read More
  3. 교회와 정치: 두 왕국론과 영적 전쟁

        교회와 정치: 두 왕국론과 영적 전쟁의 관점에서   기독교한국 (페이스북  김요셉에서 옮겨 옴) 2025. 5.26.   요약 : 교회가 세속 국가에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것들은 종교의 자유와 양심의 자유 보장, 명백한 도덕적 악에 대한 제재, 교회 공동체의...
    Date2025.05.26 Byreformanda Reply0 Views307 file
    Read More
  4. 종교다원주의 비판과 대응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종교다원주의 비판과 대응     이은선 박사 (안양대학교)     시작하는 말     최근에 종교다원주의(宗敎多元主義, Religious pluralism) 자임을 자처하는 서강대 길희성 교수의 ‘보살예수’의 출간을 계기로 다시 한 번 한국교계에 ...
    Date2025.05.07 Byreformanda Reply0 Views438 file
    Read More
  5. 교황과 아프리카

        교황과 아프리카   교황 프란치스코(Francesco, 1936-2025)가 세상을 떠났다. 천주교회는 이른 선종(善終)이라고 일컫는다. 착하게 마무리하거나 평온하고 거룩하게 생을 마쳤음을 뜻한다. 본명은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Jorge Mario Bergoglio)이다...
    Date2025.04.22 Byreformanda Reply0 Views568 file
    Read More
  6. 소기천 박사: "암살 계획 성공을 빈다”

      사진: 소기천 박사     소기천 박사: "암살 계획 성공을 빈다”   소기천 박사는 장로회신학대학교 신약신학 교수로 은퇴했다. 미국 클레아몬트대학교에서 신약성경 전공 철학박사학위 소지자이다. 2025년 3월 12일 최근 암살 위협을 받는 이재명 더불어민주...
    Date2025.03.15 Byreformanda Reply0 Views757 file
    Read More
  7. 남파간첩보다 못한 대통령의 인권

      남파간첩보다 못한 대통령의 인권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과정에서 어느 변호인은 대통령이 보장받을 인권이 남파간첩보다 못한가 하고 항의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의 심판 과정이 ‘일제(日帝) 치하 일본...
    Date2025.02.14 Byreformanda Reply0 Views440 file
    Read More
  8. 법원 폭동 선동한 전광훈 처벌해야

        법원 폭동 선동한 전광훈 처벌해야     허호익 교수(전 대전신학교 교수)는 동성애를 지지하는 저서 <동성애는 죄인가?>(2020)를 저술했다. '동성애 옹호'를 이유로 에장통합 대전서노회 재판국에서 면직출교 처분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허호...
    Date2025.02.02 Byreformanda Reply0 Views531 file
    Read More
  9. 신학교수의 대통령 탄핵촉구 선언

      신학교수의 대통령 탄핵촉구 선언     <리포르만다>(필자)는 윤석열 대통령의 12.3 계엄령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바라본다. 계엄령 선포 사건을 지지하지는 않으나, 대한민국의 현실을 정확히 파악한 대통령의 고심을 이해하려고 한다. 법치국가의 국민 분열...
    Date2024.12.25 Byreformanda Reply0 Views530 file
    Read More
  10. 제4차 로잔대회와 서울 선언 동성애에 대하여

        김두식 목사의 지적   로잔 선언문 69조가 뭐가 문제냐는데! 결론: 심각한 문제가 많다!   1. 원문에 없는 단어와 표현을 고의적으로 삽입하여, "번역이 아닌 반역"을 시도했다. 수정본 나오기 전, 초본을 보면 동성애에 매력을 느끼는 "신실한" 성도들이...
    Date2024.09.23 Byreformanda Reply0 Views869 file
    Read More
  11. 한국복음주의 신학자들의 로잔대회 환영성명

        한국복음주의 신학자들의 로잔대회 환영성명   로잔운동과 제4차 로잔대회-서울(2024)에 대한 우리의 입장     1974년 7월에 열렸던 제1차 로잔대회 이후 로잔운동은 지난 50년 동안 세계복음화는 물론 전 세계 복음주의 운동과 복음주의 신학의 발전과 ...
    Date2024.09.14 Byreformanda Reply0 Views732 file
    Read More
  12.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이 말하다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이 말하다     앙드레 지드(André Gide)의 소설 "좁은 문"(La Porte Étroite, 1909)의 제목은 신약성경의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멸망으로 인도하는 문은 크고 그 길이 넓어 그리로 들어가는 자가 많다”(마 7:13)는 예수 그리스...
    Date2024.09.08 Byreformanda Reply0 Views999 file
    Read More
  13. 광복절에 생각해 보는 광주사대

        광복절에 생각해 보는 광주사대   편집자: 아래는 탈북인 김태산의 글(스카이데일리, 2024-09-18)이다. 김태산은 광주 시민들의 5.18 무기고 습격사건은 역사상 최고로 성공한 유격작전이며, 시민들이 4시간 만에 17개 시, 군 44 곳서 동시에 기습 탈취할...
    Date2024.09.08 Byreformanda Reply0 Views558 file
    Read More
  14. 대한민국 건국일은 어느 날인가?

        대한민국 건국일은 어느 날인가?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   광복절은 이 나라가 가장 중요하게 기념하는 국경일입니다. 그런데 해마다 광복절에 행해지는 대통령이나 광복회장의 경축사는 이 나라의 정치 지도자나 유력 인사들이 이 나라의 성립, 곧 건...
    Date2024.08.14 Byreformanda Reply0 Views927 file
    Read More
  15. 선교목표: 기독교적 힌두교인이 되게 하는 것

        선교 목표: ‘기독교적 힌두교인이 되게 하는 것     서론 : 피터 바이어하우스박사는 1991년도 그의 고백적 교회(Bekennende Gemeinschaft)에서 발행한 Diakrsis(영분별의 뜻)라는 잡지를 통해 ‘기독교 후기 비기독교적 혼합주의 특징’이라는 논문을 발제...
    Date2024.08.07 Byreformanda Reply0 Views63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