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산책

PA-49966167_max-760x504.jpg



고신교회 설립 고신파 책임론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7


4.3 고신교회 설립, 고신파 책임론

 

4.3.1 이만열 박사(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전 국사편찬위원장)는 고신교회의 설립(1952)이 부당하며, 한국장로교회 제1차 분열의 책임이 고신교회에 있다고 주장한다. “고신의 분열 이유가 나름대로 어쩔 수 없었다 할지라도, 고신파가 한국교회 사상 최초로 분열을 선택한 것은 역사적으로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없다고 한다. 고신파가 분열을 선택했으며, 독자적인 교회 설립은 성숙하지 않음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두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민족상잔의 전란 가운데 일어난 교회분열은 아무리 교리나 진리에 관련된 사건이라도 정당화될 수 없다. 둘째, 한국장로교회의 무수한 분열의 첫 머리에 있는 분열이기 때문이다. 이만열은 고신교회가 독자적인 교회로 설립, 출범한 것을 자성(自省)해야 한다고 한다.

 

4.3.2 이만열은 고신파가 분열을 선택했고, 그것은 정당하지 않다고 한다. 그 까닭은, 첫째, 고신교회 설립이 한국교회의 분열이 선교지 분할정책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며, 둘째, 고신교회의 독자적인 출범이 지역주의에 기인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고신교회는 옛 호주 장로회 선교지역인 경남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기장교단도 성경관을 둘러싼 신학적인 문제로 분열된 것 같지만 실상은 선교지역 분할이라는 지역성이 그 원인이었다고 한다.

 

4.3.3 민족주의 역사가 이만열은 친일 반민족행각과 교회를 분열시킨 범죄자들의 행위를 정당화하거나 과소평가한다. 한국장로교회 제1차 분열의 책임을 민족적 정체성을 가졌던 신사참배거부운동의 후예인 고신교회에 전가하고, 이 분열을 일으킨 친일전력의 교권주의자들의 반민족적 정치폭력 행위는 비판하지 않는다. 왜 이만열은 배교자, 민족배신자들의 자성과 통절한 참회고백을 촉구하지 않을까?

 

4.3.4 손뼉은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대부분의 교회분열의 책임은 어느 한 편에만 있지 않다. 그러나 한국장로교회 제1차 분열은 이러한 통례에 해당되지 않는다. 고신교회의 출범과 설립이 출옥성도들과 고려신학교 그룹에 조금이라도 책임이 있다고 하는 주장은 고장난 도량형기로 측정한 오판이다. 교회사를 사회적, 정치적, 민족주의 등 주변적 시각으로 접근하고, 교회의 본질과 속성, 개혁신학 교회론, 장로교회의 정치 규범으로 파악하지 않은 탓이다.

 

4.3.5 이만열은 견줄 수 없는 두 가지를 견주어 판단하는 범주착각의 오류를 범한다. 첫째, 고신교회는 스스로 분열하지 않았다. 친일 전력자들의 등에 업힌 총회의 불법과 정치 폭력의 결과로 제거된 경남노회를 텃밭 삼아 독자적 교회로 출범했다. 둘째 고신교회는 출범과정에서 무형교회의 가시적 단일성의 소중함과 장로회 정치원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친일 전력자들과 함께 장로교회 재조직에 동참했고, 독자적인 교회 출범을 의도하지 않은 것이 그 증거이다. 셋째, 교회가 일제 말기에 저지른 배교와 우상숭배와 백귀난행을 공적으로 참회하고 최소한의 참회권징 시행이 기독교 신앙과 장로교회의 규칙에 부합한다. 넷째, 승동측의 합동 제의를 신속히 과감히 수용하여 1960년에 예장 합동을 등장시킨 것은 이들이 가시적 교회의 단일성을 소중히 여겼음을 시사한다.

 

4.3.6 이만열의 고신교회의 출범과 정체성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한국교회의 과거사에 대한 참회고백과 참회권징의 의무와 책임소재를 흐려놓는다. 우상숭배, 배교, 백귀난행에는 면죄부를 주고, 준엄한 역사적 비판을 받아야 할 사안을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여기게 만든다. 고신교회 구성원들의 자긍심에 상처를 낸다. 고신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 교회발전을 저해하고, 한국교회 차체의 신학적 성숙을 방해한다.

 

4.4 고신교회 설립 부당론

 

4.4.1 전호진 박사(전 고신교단 총무, 선교학)는 한상동이 교회분리주의 경향을 가졌다고 하는 이상규의 주장에 반론이 일어나자 한상동 목사와 고신교단은 명백한 분리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교수의 발언이 교단의 정체성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있다는 식의 판단은 잘못된 것이라고 한다. 고신교회가 분리주의 교회관을 가지고 파라처치’(para-church)로 출범했다고 하고, 탈교회적 선교단체들이 가진 분리주의 교회관과 동일한 동기로 태동했다고 한다. 전호진은 고신교회가 승동측과 합동 후 약 3년 만에 제자리로 환원한 사건을 분리주의 교회관과 관련시키며, 고신교회가 분리주의 집단이라는 말을 들을 수밖에 없는 불가피하게 감수해야 할 역사적 사건 이라고 한다.

 

4.4.2 이성구 박사(전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구약신학)는 고려신학교의 설립이 한국장로교회 제1차 분열 곧 고신분열의 원초라고 한다. 결자해지론(結者解之論)을 앞세우면서 고신교회 해체와 한국장로교회 외형적 통합을 주창한다. 출옥성도들의 고려신학교 설립이 부당하다고 하면서 한국장로교회 제1차 분열을 고착화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성구는 고신교회가 부당하게 설립되었고, 존재 명분이 사라졌으므로 고신교회와 기장, 예장을 포함한 한국장로교회들이 판짜기를 다시 해야 한다고 한다. 한국교회가 분열된 원인이 신학적 차이점 때문만은 아니며 오히려 교권 장악을 위한 인간적 계략과 신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파벌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성구의 주장들은 근거가 없다.

 

4.4.3 양낙흥 박사(고려신학대학원 교수, 교회사)는 경남(법통)노회가 총회의 특별위원회의 지도를 따라 통일노회에 가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교회를 설립한 한 바 이는 형식논리적 우위성을 고집하느라 교회의 하나 됨을 소홀히 여긴 짓이라고 비판한다. 고신교회가 총회의 특별위원회의 지도를 따르지 않고 법리적 정당성을 내세워 분열한 것은 형식논리라고 한다. 고려신학교 인사들 중심의 법통측이 경남노회 갈등의 와중에서 취한 행동은 교회 일치의 중요성이라는 측면에서 잘못된 것이었다고 한다. 형식논리적 정당성보다는 교회의 하나 됨이 더 큰 대의라 할 때 통일노회조직을 위한 특별위원회의 소집에 응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었다고 한다.

 

4.4.4 양낙흥은 적법성을 근거로 고신교회의 출범을 부정적으로 논하다가 갑자기 그 적법성을 형식 논리적 정당성이라고 하는 극명한 이중성을 보인다. 경남법통노회가 총회의 특별위원회의 지도를 따르지 않은 것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까닭은 적법성을 형식논리적 정당성이라로 본다. 장로교 조직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기구는 노회이다. 총회는 기존 노회의 동의 없이 노회를 병합, 폐쇄, 분할할 수 없다. 이것은 장로회 제도의 대원칙이다. 총회가 경남(법통)노회를 제거했어도 그 노회는 여전히 건재했다. 고신교회는 존재하는 합법적인 노회를 근간삼아 총회를 구성했다. 고신교회 출범에는 신앙고백적, 신학적, 장로회의 치리회적 하자가 없다.

 

4.4.5 양낙흥 주장에는 고신교회의 출범에 이바지한 출옥성도들이 미국의 메이첸파(정통장로교회)가 가졌던 배타적인 독선신앙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신교회 설립이 그들의 독선적 분리주의의 결과라는 친일파 시각이 깔려 있다. 양낙흥의 역사해석과 평가를 통제하고 있는 것은 비고신교회적 당파 시각, 힘의 논리, 극심한 부정적 심성 등이다.

 

4.4.6 양낙흥은 고신교회 총회 조사 위원회에서 자신 주장이 사실에 근거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역사적 사실(historical facts)객관적 사실로 이해한다. 역사적 사실과 객관적 사실(objective facts)은 다르다. 사실(fact)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주관적 인식의 프리즘을 거쳐 나온 것이다. 역사가는 중립적인 관찰자가 아니다. 선이해 또는 편견 없이 사실에만 충실할 수 있는 전능한 존재가 아니다. 양낙흥의 오판은 자신을 주관적 이해를 객관적 사실로 착각하는 데서 비롯된다. 역사의 본질과 개혁 교회론을 간과한다.


이 글은 2회 고신포럼 학술회(20200217, 프레지덴트호텔 서울) 에서 발표한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미출간)의 일부이다.

 

최덕성 박사(브니엘신학교 총장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손현보 목사 판결문

      손현보 목사 판결문   사법부는 세계로교회 담임 목회자 손현보 목사를 선거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구속하여 구치소에 수감했다. 아래의 글은 필자가 손현보의 공직자선거법 위반 건과 검찰의 구속청원과 법원 구속 판결 건을 법리적으로 풀이하여 작성한 ...
    Date2025.11.06 Byreformanda Reply0 Views73 file
    Read More
  2. 오랑쥬 대회와 세미펠라기우스주의

      프랑스 오랑쥬의 고대극장   오랑쥬 대회와 세미펠라기우스주의   기독교 중세초기 역사에 등장하는 오랑쥬 대회 (Synod of Orange, 529)는 프랑스 남부 도시 오랑주(Orenge)에서 열렸다. 이 대회는 세미펠라기우스주의(Semi-Pelagianism)를 논의하려고 소...
    Date2025.10.04 Byreformanda Reply0 Views155 file
    Read More
  3. 몽골 제국과 원나라의 기독교 ( 1)

        몽골 제국과 원나라의 기독교( 1)   13세기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 대륙을 아우르는 대제국을 건설하고, 이후 원나라를 건국한 시기에 기독교가 어떤 위상을 가졌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기존의 역사적 사실들을 연대기적 및 주제별 관점에...
    Date2025.09.26 Byreformanda Reply0 Views148 file
    Read More
  4. 신사참배거부운동은 독립운동인가?

        신사참배거부운동은 독립운동인가?     일제말기의 신사참배거부운동은 순전한 기독교 신앙운동인가, 항일독립운동인가? 광복 80주년 신사참배 거부운동 재조명 제4회 국회 학술세미나가 8월 21일 오후 국회 대한민국헌정회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최덕성 ...
    Date2025.08.22 Byreformanda Reply0 Views202 file
    Read More
  5.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와 개신교인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와 개신교인   중국 최초의 프로테스탄트(개신교) 선교사는 로버트 모리슨(Robert Morrison, 1782-1834)이다. 영국인 모리슨은 1807년 런던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소속으로 중국 광저우에 도착하여 27년간 선교 활...
    Date2025.08.10 Byreformanda Reply0 Views335 file
    Read More
  6.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눈물

    The King’s Gallery, Edinburgh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눈물   원제:  예배당에 미술관 간판이 걸리게 된 사연   Scotland 수도 Edinburgh에는 군사 요충지 역할을 하던 에든버러성이 있고 거기에서부터 동쪽으로 1마일 거리에 스코틀랜드 왕실의 공식 거처...
    Date2025.08.08 Byreformanda Reply0 Views224 file
    Read More
  7. 김재준, 배교를 '역사의식’ 행동이라 변명하다

        김재준, 배교를 역사의식 행동이라 변명하다   원제: 김재준의 신사참배 합리화와 기독교장로회의 자기 서사     김재준은 신사참배를 “역사 윤리적 참여”로 해석하면서 주기철 목사의 순교는 “계율적 고집”이었다고 비판했다. 순교한 이는 “지나친 계율...
    Date2025.07.25 Byreformanda Reply0 Views387 file
    Read More
  8. 유럽인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왜곡 시선

        유럽인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왜곡 시선   서로마는 476년에 멸망했다. 반면 동로마는 천 년 가까이 더 존속하며, 헬레니즘과 로마의 문명, 기독교 신학, 제국 관료제와 법제를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러나 르네상스와 계몽주의를 거치며, 유럽은 동로마...
    Date2025.07.15 Byreformanda Reply0 Views442 file
    Read More
  9. 김경재 박사가 남긴 말

        고 김경재 박사(좌)와 김영한 교수     김경재 박사가 남긴 말   김경재 박사(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가 2025년 5월 3일에 향년 85로 세상을 떠났다. 35년 동안 신론 등을 조직신학을 가르쳤다. '   종교다원주의자 김경재가 남긴 가장 유명한 말은 “유일...
    Date2025.05.15 Byreformanda Reply0 Views741 file
    Read More
  10. 만장일치 판결은 무효이다

        만장일치 판결은 무효이다     현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만장일치 결정하려 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국론분열을 막기 위해 만장일치 결정이 좋다는 이야기이다. 일부 언론들이 그런 분위기를 부채질한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때 헌법재판소...
    Date2025.03.05 Byreformanda Reply0 Views1079 file
    Read More
  11. 박형룡의 개혁파 정통신학

        박형룡의 개혁파 정통신학     죽산 박형룡 박사(1897-1978)는 개혁파 정통신학(Reformed Orthodoxy)을 보급하는 데 일생을 바쳤다.1 그가 꽃다발처럼 엮어 한국교회에 소개한 신학은 오늘날에도 한국장로교회 신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한국기독교 전...
    Date2025.01.05 Byreformanda Reply0 Views607 file
    Read More
  12. 한강, 은혜의 강물에 발이라도 적셨더라면

        한강, 은혜의 강물에 발이라도 적셨더라면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조카에게 공개편지를 보낸 뒤의 소회   조카 한강 작가에게 보낸 공개편지로 소란스럽고 분주한 두 주간을 보냈습니다. 이제 잠잠해져서 잠깐 소회를 나누고 싶습니다. 편지가 ...
    Date2024.11.29 Byreformanda Reply0 Views748 file
    Read More
  13. 한강: 문학에는 구원이 없댜

          한강: 문학에는 구원이 없댜   원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에게 보내는 삼촌의 편지     [편집자 주: 아래의 글은 한충원 목사의 페이스북 글(2024년 11월 2일)이다. 한강의 삼촌(작은 아버지) 한충원은 현재 대전에서 목회를 하는 목사이다. 침례...
    Date2024.11.11 Byreformanda Reply0 Views1216 file
    Read More
  14. 일제시대의 한국인의 국가와 국적

        일제시대의 한국인의 국가와 국적     1. '금주가'에 등장하는 '국가'     일제통치 기간의 우리의 선조들의 국가는 어느 나라인가? 근래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 후보자의 국회 청문회는 근대 한국사 인식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얼마 후 국회환경노동위...
    Date2024.09.17 Byreformanda Reply1 Views2179 file
    Read More
  15. 미북장로교회 신학논쟁: 현대주의 대 근본주의

     프린스톤신학교 교사   미북장로교회 신학논쟁: 현대주의 대 근본주의   ―교회의 생명력은 신학에 달려 있는가?―     신학은 교리논쟁에서 벗어나 다원화 사회에서 대화를 통해 미래를 내다보아야 하는가? 신학이 시대와 환경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을 인정할...
    Date2024.06.01 Byreformanda Reply0 Views78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