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90135925_2688916414539934_151743393590935552_o.jpg



고신교회가 잃어버린 것들회개와 개혁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 회개와 개혁

 

고신교회의 출발과 존재 의의는 한국교회를 위한 회개와 개혁이었다우리 선배들은 회개와 개혁운동을 진리운동이라 불렀다그들은 이를 위한 방편으로 고려신학교를 세웠고, ‘고려파라는 고신교회의 별호는 고려신학교를 지지하는 교회를 뜻한다고신교회의 역사는 고려신학교의 역사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60년 전 7월은 고려신학교 설립의 전주곡인 진해신학강좌(1946,6,23-8,20)가 한창 무르익고 있었다그해 9월에 개교한 고려신학교는 신학사상의 통일과 한국교회의 개혁뿐만 아니라국가를 성경 진리에 기초하여 설립되도록 하며대학과 학문의 문화운동을 포함하는 정통신학운동을 목표로 삼았다.

        

1952년 9월에 어쩔 수 없이 조직된 총노회는 그 발회식 선언문에서해방 이래 참된 회개운동과 칼빈이 시작한 개혁주의 운동을 계승하겠다고 천명한다. 1956년 9월 개혁운동 10주년 기념집회와 더불어 총노회가 총회로 개편한다선배들은 고신교회의 출발과 존재 의의를 회개와 개혁이라고 재확인한다만 50년 전의 일이다.

        

선배들은 겸손하면서도 당당하였다그들은 소수에 불과하였으나 개혁파 전통에 대한 넓은 안목과 확신을 가지고서 갖가지 비난과 코웃음(鼻笑)도 개의치 않았다자기들을 비웃은 한국교회의 교권주의자들의 위선에 대해서 당당하게, “진리운동은 최후일각까지며전진이 있을 것뿐이고후퇴는 없다고 선언하였다.

 

우리 후배들에게 이런 당당함이 있는가믿음의 지조를 지키면서 한국교회를 향하여 회개와 개혁을 외치고 있는가아니면 회개와 개혁정신을 잃어버리고 말았는가?

 

2. 우리의 현실

        

후배들은 선배들과 같이 우리의 정체성을 한국교회의 회개와 개혁운동으로 삼아야 마땅하다회개와 개혁의 정신을 잃어버린다면고신교회는 존재할 이유가 없다.

 

개혁운동 10주년 기념집회 강사였던 박 윤선 목사는 교회당 쟁탈 문제로 야기된 성도간의 법정 송사 문제를 개혁해야 할 현안으로 제시했다한국교회를 개혁하겠다는 원대한 목표에 앞서내부의 개혁을 호령하였다.

 

박 목사가 주일 성수 연고로 교수직에서 해임 당했지만(1960,9), 그 이면에는 교권의 횡포가 자리 잡고 있다이때로부터 고신교회는 인재를 귀히 여기지 않는다는 세평을 듣는다신학교와 교회 안에서 회개와 개혁의 선봉장으로서 고신교회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전파하던 분을 교권으로 해임한 것은 고신교회가 출범 취지에서 밝힌 존재 의의를 스스로 버리는 꼴이었다지금까지도 끊이지 않는 성도간의 송사를 보라. ‘고소파라는 혹평이 빈말로만 들리지 않는다그때부터 고신교회 안에는 현안들을 성경적이고 신학적으로 풀기보다는 행정적이고 정치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는 분위기가 정착한다.

        

이것은 회개로써 신앙의 순결을 유지하고신학운동을 통하여 한국교회를 개혁하겠다는 원래의 목표에도 타격을 입힌다고려신학교를 지지하는 교회들은 한국교회의 회개와 순수한 복음 전파를 통한 교회 개혁을 위하여 기도하면서 이를 구체적으로 담당하는 신학교를 재정적으로도 후원한다그렇지만 이런 관심이 결국은 신학교를 교권 투쟁의 결투장으로 만들었다그것이 고신교회 내의 정치 계파의 기원이다우리의 선배들은 교권주의자들이 휘두른 교권의 희생자가 아니었던가이런 작태를 개혁하기 위하여 세운 신학교가 고신교회 교권의 중심이었다는 것은 한국교회를 개혁하려고 했던 출발 정신과 상충한다.

        

안타깝게도 고려신학교는 정치 회오리의 중심에만 있었을 뿐능동적으로 교단의 여론을 주도하지 못했다고신교회가 영적 위기에 처한 이 순간에도 신대원의 적극적인 태도 변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신학은 교회의 교사의 입지를 신학적으로 정립하고 정치를 초월하지 않는 한교단의 여론을 주도할 수 없고정치와 교권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도 없을 것이다한국교회를 향하여 개혁을 외치기에 앞서 고신교회의 내부 개혁을 부르짖었고그러면서도 교권의 위협에 굴하지 않고 고신교회의 정체성을 품고서 고신교회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박윤선 선배가 그리운 것도 이 때문이다신학교가 한국교회의 회개와 개혁운동이라는 본래의 목표에 전념하지 않는다면 굳이 존재할 이유가 없다.

 

3. 고신교회의 바벨론 포로

        

부활하신 주님은 자기 교회를 신학교가 없이도 존속시키실 것이다병원과 대학교가 없어도 주님의 교회는 건재할 것이다.

        

우리 선배들은 교회개혁과 더불어 국가까지 포괄하는 칼빈주의 문화운동을 사명으로 인식하였다그러나 방법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었다기실은 그 사명에 대한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기초가 부족하였다그러다 보니 이 기관들의 인가나 확장 과정에서 행정적이고 정치적인 해법에만 치중하였다성경적이고 신학적인 원리에 대한 원론적인 토론을 습관화하지 못했다따라서 불법탈법편법이 득세할 수밖에 없었다그 결과가 고신교회의 바벨론 포로이다.

        

고신교회의 현실은 학교법인의 관선이사 체제로 대변된다병원의 확장과 大學病院化이의 기초가 된 의과대학 설립이것들의 기초가 된 고려신학대학의 인가부터 어떤 일들이 있어왔는지는 잘 알려진 비밀이다이에 대한 회개와 개혁운동이 우리 중에 펼쳐진 적이 있는가한국교회를 향하여 회개와 개혁운동을 펼치려던 장엄한 목표는 출발선을 넘자마자 좌초하기 시작한다.

 

우리 선배들은 교회와 신학의 연합을 중요한 목표로 삼았다. 2000년대에 들어와 한국교회의 연합 운동은 유행처럼 힘을 받아가고 있다여기에 고신교회도 뒤지지 않고 있다고려신학교의 출범 자체를 한국장로교회의 첫 분열로 보려는 부담감도 묻어 나온다그러나 후배들은축출당하면서도 한국장로교회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자부심을 가졌던 선배들의 당당함을 잃어버리고 있다회개와 개혁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시도하는 연합은 선배들이 받은 핍박을 욕되게 함이요고신교회의 존재의의를 부인하는 일이다.

 

고신교회와 유관 기관들은 우리 선배들이 언급했던 하나님의 영광을 크게 훼손하고 있다스스로 믿음의 지조를 유린하고 있다진보주의라는 신신학 사상과 사이비한 복음주의허울 좋은 보수주의하나님의 미워하시는 것까지 사랑하여 달라는 화평론과 타협정신이 교권을 타고서 고신교회 속에 들어왔고교회를 현세생활처세의 도구로 삼고 말았다이것들은 총노회 발회식 선언문이 개혁하려던 바이었으니이제는 고신교회가 개혁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4. 화합하고 포용하는 마음을!

 

고신교회는 회개하고 먼저 자기를 개혁해야 한다우리는 말로만 전전 부패를 외쳤지우리 자신이 얼마나 썩은 존재인지를 모르고 있다사유(赦宥)의 은혜를 구하면서 마음을 새롭게 하여야 한다성령님을 받아야 한다그렇지 않으면 믿음을 위장한 이데올로기의 횡포 속에서 영이 죽고 말 것이다.

        

옛날이 오늘보다 낫다”(전 7:10)함이 지혜가 아니라 우매함인 줄 알지만한국교회를 향하여 회개와 개혁을 촉구하다가 독선주의자로 비난을 받던 선배들이 그립다후배들 사이에는 회개와 개혁정신도 실종하였을 뿐 아니라서로 포용하고 칭찬하고 사람을 아끼는 자세가 보이지 않는다남을 자기보다 낫게 여기는 예수님의 모습을 찾기 어렵다.

        

고신교회여회개하고 개혁하며화합하라그렇지 않으면 주님의 내침을 당하리라!(계 3:16)


?

  1. WEA 서울총회 반대에 대한 답변

    오정현 목사(사랑의교회)   WEA 서울총회 반대에 대한 답변     WEA 서울총회 조직위원회 한국신학위원회(이하 위원회)’가 2025년 8월 6일 서울총회 개최를 반대하는 움직임에 대한 답변을 아래와 같이 발표했다. WEA에 대한 오해가 지나친다는 요지의 글이다...
    Date2025.08.08 Byreformanda Reply0 Views41 file
    Read More
  2. 회개가 WCC의 카이로스다

        회개가 WCC의 카이로스다   WCC 70차 중앙위원회 성명에 대하여   김요셉, 페이스북 글 (2025 07 15)   1. 성경의 언어를 빌린 정치선언   2025년 6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세계교회협의회(WCC) 제70차 중앙위원회는 『평화와 인간 안...
    Date2025.07.15 Byreformanda Reply0 Views156 file
    Read More
  3. 교회와 정치: 두 왕국론과 영적 전쟁

        교회와 정치: 두 왕국론과 영적 전쟁의 관점에서   기독교한국 (페이스북  김요셉에서 옮겨 옴) 2025. 5.26.   요약 : 교회가 세속 국가에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것들은 종교의 자유와 양심의 자유 보장, 명백한 도덕적 악에 대한 제재, 교회 공동체의...
    Date2025.05.26 Byreformanda Reply0 Views307 file
    Read More
  4. 종교다원주의 비판과 대응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종교다원주의 비판과 대응     이은선 박사 (안양대학교)     시작하는 말     최근에 종교다원주의(宗敎多元主義, Religious pluralism) 자임을 자처하는 서강대 길희성 교수의 ‘보살예수’의 출간을 계기로 다시 한 번 한국교계에 ...
    Date2025.05.07 Byreformanda Reply0 Views438 file
    Read More
  5. 교황과 아프리카

        교황과 아프리카   교황 프란치스코(Francesco, 1936-2025)가 세상을 떠났다. 천주교회는 이른 선종(善終)이라고 일컫는다. 착하게 마무리하거나 평온하고 거룩하게 생을 마쳤음을 뜻한다. 본명은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Jorge Mario Bergoglio)이다...
    Date2025.04.22 Byreformanda Reply0 Views568 file
    Read More
  6. 소기천 박사: "암살 계획 성공을 빈다”

      사진: 소기천 박사     소기천 박사: "암살 계획 성공을 빈다”   소기천 박사는 장로회신학대학교 신약신학 교수로 은퇴했다. 미국 클레아몬트대학교에서 신약성경 전공 철학박사학위 소지자이다. 2025년 3월 12일 최근 암살 위협을 받는 이재명 더불어민주...
    Date2025.03.15 Byreformanda Reply0 Views757 file
    Read More
  7. 남파간첩보다 못한 대통령의 인권

      남파간첩보다 못한 대통령의 인권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과정에서 어느 변호인은 대통령이 보장받을 인권이 남파간첩보다 못한가 하고 항의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의 심판 과정이 ‘일제(日帝) 치하 일본...
    Date2025.02.14 Byreformanda Reply0 Views440 file
    Read More
  8. 법원 폭동 선동한 전광훈 처벌해야

        법원 폭동 선동한 전광훈 처벌해야     허호익 교수(전 대전신학교 교수)는 동성애를 지지하는 저서 <동성애는 죄인가?>(2020)를 저술했다. '동성애 옹호'를 이유로 에장통합 대전서노회 재판국에서 면직출교 처분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허호...
    Date2025.02.02 Byreformanda Reply0 Views531 file
    Read More
  9. 신학교수의 대통령 탄핵촉구 선언

      신학교수의 대통령 탄핵촉구 선언     <리포르만다>(필자)는 윤석열 대통령의 12.3 계엄령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바라본다. 계엄령 선포 사건을 지지하지는 않으나, 대한민국의 현실을 정확히 파악한 대통령의 고심을 이해하려고 한다. 법치국가의 국민 분열...
    Date2024.12.25 Byreformanda Reply0 Views530 file
    Read More
  10. 제4차 로잔대회와 서울 선언 동성애에 대하여

        김두식 목사의 지적   로잔 선언문 69조가 뭐가 문제냐는데! 결론: 심각한 문제가 많다!   1. 원문에 없는 단어와 표현을 고의적으로 삽입하여, "번역이 아닌 반역"을 시도했다. 수정본 나오기 전, 초본을 보면 동성애에 매력을 느끼는 "신실한" 성도들이...
    Date2024.09.23 Byreformanda Reply0 Views869 file
    Read More
  11. 한국복음주의 신학자들의 로잔대회 환영성명

        한국복음주의 신학자들의 로잔대회 환영성명   로잔운동과 제4차 로잔대회-서울(2024)에 대한 우리의 입장     1974년 7월에 열렸던 제1차 로잔대회 이후 로잔운동은 지난 50년 동안 세계복음화는 물론 전 세계 복음주의 운동과 복음주의 신학의 발전과 ...
    Date2024.09.14 Byreformanda Reply0 Views732 file
    Read More
  12.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이 말하다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이 말하다     앙드레 지드(André Gide)의 소설 "좁은 문"(La Porte Étroite, 1909)의 제목은 신약성경의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멸망으로 인도하는 문은 크고 그 길이 넓어 그리로 들어가는 자가 많다”(마 7:13)는 예수 그리스...
    Date2024.09.08 Byreformanda Reply0 Views999 file
    Read More
  13. 광복절에 생각해 보는 광주사대

        광복절에 생각해 보는 광주사대   편집자: 아래는 탈북인 김태산의 글(스카이데일리, 2024-09-18)이다. 김태산은 광주 시민들의 5.18 무기고 습격사건은 역사상 최고로 성공한 유격작전이며, 시민들이 4시간 만에 17개 시, 군 44 곳서 동시에 기습 탈취할...
    Date2024.09.08 Byreformanda Reply0 Views558 file
    Read More
  14. 대한민국 건국일은 어느 날인가?

        대한민국 건국일은 어느 날인가?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   광복절은 이 나라가 가장 중요하게 기념하는 국경일입니다. 그런데 해마다 광복절에 행해지는 대통령이나 광복회장의 경축사는 이 나라의 정치 지도자나 유력 인사들이 이 나라의 성립, 곧 건...
    Date2024.08.14 Byreformanda Reply0 Views927 file
    Read More
  15. 선교목표: 기독교적 힌두교인이 되게 하는 것

        선교 목표: ‘기독교적 힌두교인이 되게 하는 것     서론 : 피터 바이어하우스박사는 1991년도 그의 고백적 교회(Bekennende Gemeinschaft)에서 발행한 Diakrsis(영분별의 뜻)라는 잡지를 통해 ‘기독교 후기 비기독교적 혼합주의 특징’이라는 논문을 발제...
    Date2024.08.07 Byreformanda Reply0 Views63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