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리스도는 의의 요구를 만족시켰다


정이철 목사의 주장


신자는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로 구원 받습니다. 우리를 의롭게 한 그리스도의 의는 성육신하실 때부터 그리스도 안에 본질로서 존재했던 의입니다. 그리스도는 처음부터 하나님의 '의로운 종'으로 오셨고, 그래서 그를 믿으면 칭의를 얻는 것입니다. 그래서 구약 성경은 성육하시는 그리스도를 '여호와 우리의 의'라고 설명했습니다.


완전히 의로운 분으로 오신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인들을 용납하고 받아주시기 위해 대신 십자가에서 피를 흘리시어 우리의 죄가 없는 것처럼 만들어 주셨습니다. 그리고 믿는 죄인들을 받아주시고 자기의 의로움으로 들어오게 하셨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죄인들이 의인으로 인정받게 하셨습니다.


그런데 신호섭 교수님과 청교도들은 그리스도가 율법을 지키는 순종의 삶으로, 죄를 범하지 않는 완전한 무흠의 삶으로 의를 획득하여 전가하셨다고 합니다. 겉으로는 그리스도를 높이는 것 같으나, 사실은 처음부터 죄인을 살리고도 남을 의로운 분이셨다는 성경의 가...르침과 기독교의 핵심을 파괴하는 주장입니다.


그런 주장을 용납하면 결국 1) 구원의 길은 아브라함을 통해 계시된 하나님을 믿음이 아니고 모세의 율법에 대한 완전한 순종이었고, 2) 사람은 자신 순종으로 구원을 받지 못하고 감사하게도 오직 그리스도의 대리 순종으로 구원을 받았으나, 구원받고 성령 받은 후에는 율법의 흠이 없는 삶을 구현하신 그리스도를 본 받아 율법의 흠이 없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청교도 율법주의로 기울어지게 되고, 신약의 사도들이 가르친 말씀과 성령의 법으로 되어지는 신앙생활이 되지 못합니다.


정이철 목사.

?

  1. 왜 해석학이 중요한가?

    알렉산드리아 고성 왜 해석학이 중요한가?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3    1.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종교, 문학, 역사 등 거의 모든 인문학 영역에서 ‘해석’(interpretation)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관점, 전제, 이해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진리’...
    Date2020.05.17 Byreformanda Reply0 Views660 file
    Read More
  2. 해석학적 물음

    해석학적 물음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2   1. 팩트 체크의 함정   현대 사회의 양극화는 날이 갈수록 심하다. 좌파-우파, 사회주의-자유민주주의, 여당-야당, 진보-보수, 맥락적 이해와 정통적 이해 모두가 사실(fact)에 대한 해석의 과제이다.   언론사 기자...
    Date2020.05.17 Byreformanda Reply0 Views657 file
    Read More
  3. 감리교신학대학교 학생들에게 고함

    감리교신학대학교,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 학생들에게 고함   아래의 글은 김요환 님(감리교신학대학과 대학원을 졸업)의 페이스북 글이다. 흥미로운 내용이기에 옮겨 싣는다.(편집자 주)   감리교신학교의 적통은 18세기 웨슬리 복음주의입니다. 현대 복음주...
    Date2020.05.12 Byreformanda Reply0 Views1094 file
    Read More
  4. 박정희 대통령 부인 박순천 여사

    박정희 대통령 부인 박순천 여사 원제: 가짜 뉴스 정성구 목사 (전 총신대, 대신대 총장) 요즈음 가짜 뉴스가 판을 치고 있다. 최근 김정은이 20일 동안 잠적해 있는 동안 유튜브에서 “김정은이가 죽었네, 살았네, 중병에 걸렸네”라고 뉴스가 나왔다. 그러나 ...
    Date2020.05.06 Byreformanda Reply0 Views1823 file
    Read More
  5. 아편전쟁, 태평천국

    아편전쟁과 태평천국 이야기   1. 아편전쟁(1840--1842년) 인류 역사상 가장 부도덕한 전쟁이었다.   영국이 중국에 아편을 밀수출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초부터다. 청나라는 18세기에 들어 3대의 황금기가 끝나고 혼란으로 빠지면서 백성들의 생활이 어려...
    Date2020.05.06 Byreformanda Reply0 Views1073 file
    Read More
  6. 신사참배 저항은 항일운동이었다

    사진과 글: 뉴스앤조이 "신사참배 저항은 항일운동이었다" 역사신학자들 "항일 기독교인 재조명해야" 한목소리 <뉴스앤조이> 기사, 박요셉 기자 ( 2016.12.13.)   1931년 일본은 만주사변을 일으킨 뒤 빠르게 군국주의화했다. 천황을 신격화하고 조선에 신사...
    Date2020.04.24 Byreformanda Reply0 Views496 file
    Read More
  7. WCC의 개종전도금지주의 - 최덕성 교수 논문

    WCC의 개종전도금지주의 - 최덕성 교수 논문발표 <크리스천투데이> 기사 한국개혁신학회(회장 심창섭 교수)가 2011년 5월 14일(토)에 경기도 안양 열린교회(담임 김남준 목사)에서 ‘WCC와 개혁신앙’을 주제로 제30회 정기학술 심포지움을 개최했다.이날 기조...
    Date2020.04.24 Byreformanda Reply0 Views587 file
    Read More
  8. 교육전도사가 대통령인 나라, 나는 꿈꾸어 본다

    사진은 지난 2013년 <뉴스앤조이>와 인터뷰를 하고 있는 최 총장의 모습. (뉴스앤조이 자료 사진) 교육전도사가 대통령인 나라, 나는 꿈꾸어 본다 아래의 글은 <뉴스앤조이>가 보도한 인터뷰 기사이다.  대한민국에는 교육전도사가 많다. 교육전도사가 대통령...
    Date2020.04.24 Byreformanda Reply0 Views487 file
    Read More
  9.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과 개혁신학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과 개혁신학 김영한 박사 (숭실대학교 교수, 한국개혁신학회 회장)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역사신학을 가르치는 최덕성 교수께서 한국복음주의신학회가 수여하는 신학자대상(大賞)-학술상을 받으신 것에 대하여 진심으로 ...
    Date2020.04.12 Byreformanda Reply0 Views532 file
    Read More
  10. 한국교회의 터부를 쟁점화하다

    일본군 조선인 성노예들-위안부 한국교회의 터부를 쟁점화하다 최덕성 교수의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을 읽고 고신신학의 좌표를 생각하다 박종칠 교수 (전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구약신학) 고신교단 총회 신학부 실행위원으로 목사후보생 강도사 사...
    Date2020.04.12 Byreformanda Reply0 Views682 file
    Read More
  11.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의 의의

      최덕성 교수의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의 의의   안수강 박사 (백석대학교 교수, 교회사)   고려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 최덕성 박사의 신간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서울: 본문과현장사이, 2000, 620면)은 출간과 더불어 한국교회사의 지각변동을 일...
    Date2020.04.12 Byreformanda Reply0 Views883 file
    Read More
  12. 로마가톨릭교회는 참 교회인가?

      최덕성 교수(왼편)와 서창원 교수 (2014)       로마가톨릭교회는 참 교회인가?     교황 방한에 즈음하여 가진 신학대담은 사탕처럼 달콤한 교황 프란치스코의 행보 뒤에 숨겨져 있는 로마가톨릭교회의 실체를 대면하게 한다. 기독교사상연구원. 개혁신학...
    Date2020.04.11 Byreformanda Reply0 Views460 file
    Read More
  13. 주님의 긍휼 간구하면 역병은 사라진다

    리포르만다 대표 최덕성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제공 주님의 긍휼 간구하면 역병은 사라진다 유유미션 최덕성 대표 '정오 2분 기도운동' 호소                 “코로나19, 상상할 수 없는 피해 예견 기독교인, 방역준칙들 엄격히 지키고 국가 방역시스템 존중...
    Date2020.03.31 Byreformanda Reply0 Views471 file
    Read More
  14. 몬타누스·펠라기우스·세르베투스/ 웨슬리의 입장

    ▲학회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순서대로 김길성 교수, 기조강연을 한 권호덕 총장과 김영한 원장, 최덕성 박사, 학회장 한상화 박사, 권문상 박사. ⓒ이대웅 기자 몬타누스·펠라기우스·세르베투스에 대한 웨슬리의 입장   한국복...
    Date2020.03.28 Byreformanda Reply0 Views619 file
    Read More
  15. 방언의 은사, 오늘날에도 유효한가?

    방언의 은사, 오늘날에도 유효한가? 존 맥아더 목사 성경적인 방언의 은사   방언은 성경의 세책인 마가복음(16:17), 사도행전(2, 10, 19장), 고린도전서(12-14장)에 언급되어 있다. 이 책의 8장에서(무질서한 은사주의, 부흥과개혁사) 우리는 사도행전의 본...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173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