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13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07e565340ed1d19df3fa5d6734d0456.jpg

 

베들레헴 작은 골 너 잠들었느냐


도올 김용옥 선생이 고려대학교 박물관 초청 강의(2011.4.28.)를 하면서 예수께서 베들레헴 말 구유에 태어났다고 말했다. 예수 그리스도는 말 구유에서 탄생하지 않았다. 손님을 모시는 여관(객실)이 없었던 탓으로 베들레헴의 허룸한 마굿간에서 태어났다. 윗층에는 사람들이 살고 아랫층에는 짐승들이 사는 형태의, 평지보다 약간 낮은 동굴(cave) 같은 장소에서 탄생했다. 

 

예수는 출생 후 강보에 쌓인 뒤 말, 소, 나귀의 먹이통 구유에 뉘어졌다(눅 2:7,12.16). 천사가 목자들에게 말했다. "오늘날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이시니라. 너희가 가서 강보여 싸여 구유에 뉘여 있는 아기를 보리니 이것이 너희에게 표적이니라."

 

빵집이라는 뜻을 지닌 베들레헴은 모든 기독교인들의 고향이다. 하나님이 인간으로 오신 기적의 현장이다. 신이 인간이 된 곳, 영원한 존재가 유한한 시간 세계에 진입한 특별한 사건이 일어난 곳이다. 예수능 예루살렘이 아닌 베들레헴에서 탄생했다. 평화의 왕은 평화롭지 않은 '평화의 도시'가 아니라 가난한 변두리의 빵집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 낮고 추한 장소는 베들레헴의 탄생교회당 지하 층에 있다.

 

론 기술 덕분에 베들레헴과 그리스도의 탄생지를 공중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었다. 다음 사이트를 클릭하면 "빵티비"의 "예수탄생교회당-베들레헴"  http://www.breadtv.net/btv03/16109에 연결된다. 배경 음악 "오 베들레헴 작은 고을" 합창과 함께 감상할 수 있다.

 

탄생교회당은 십자가 형태의 건축물이다. 주후 330년 경 첫번째 기독교인 황제 콘스탄틴이 건축했다. 어머니 헬레나를 기념하여 지은 것이다. 추정컨대 529년의 사마리아인들의 변란과 파괴로 말미암아 본래의 교회당은 파괴되었고, 바닥의 모자이크만 남았다. 그 무렵의 비잔틴 로마제국의 황제 유스티누스는 무너진 터에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는 크고 장대한 형태의 탄생교회당을 건축했다.

 

탄생교회당에 들어가려면 겸손히 허리를 굽혀야 한다. 교회당에 들어가서 지하층으로 내려가면 옛 마굿간에 아른다. 들에서 목자들이 양을 치다가 천사의 말을 듣고 찾아 간 장소이고, 동방박사들이 아기 예수께 경배를 드리던 곳이다. 

 

예수의 탄생지에 들어서면 여러 가지 질문들이 생긴다. 하나님은 정말 이곳에서 참 인간으로 탄생했는가? 예수는 정말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났는가? 예수는 진정 하나님의 아들인가? 예수는 정말 인간 구원을 목적으로 육을 입고 태어나 이곳에서 대속사역을 시작했는가? 예수는 진정 인류의 죄를 대신지고 십자가에 달려 죽은 분인가? 죽은 예수는 진정으로 3일만에 부활했는가? 과연 예수는 하늘로 승천했는가?  예수는 누구인가? 예수는 탄생교회당을 찾아온 방문자를 향하여  묻는다. "너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필라델피아교회의 목사 필립스 브룩스(Phillips Brooks, 1835~1893)는 보스턴 출생으로 라틴스쿨과 하버드대학을 졸업한 뒤 목사가 되었다. 1855년에는 영국 옥스퍼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859년 성공회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필라델피아 트리니티교회(Trinity Church)에서 목회했다1865년 성탄절에 베들레헴을 방문하고서 아래의 찬송가를 작사했다.

 

오 베들레헴 작은 골

 

오 베들레헴 작은 골 너 잠들었느냐별들만 높이 빛나고 잠잠히 있으니 저 놀라운 빛 지금 캄캄한 이 밤에 온 하늘 두루 비춘 줄 너 어찌 모르나.

 

온 세상 모든 사람들 잠자는 동안에 평화의 왕이 세상에 탄생하셨도다저 새벽별이 홀로 그 일을 아는 듯 밤새껏 귀한 그 일을 말없이 지켰네.

 

오 베들레헴 예수님 내 맘에 오셔서 내 죄를 모두 사하고 늘 함께 하소서저 천사들의 소식 나 기뻐 들으니 오 임마누엘 주 예수 내 맘에 오소서.

 

브룩스는 1868년 주일학교 어린이들이 성탄절에 부르도록 위 가사를 작사했다. 그것을 자기가 목사로 섬기는 교회 오르가니스트에게 주면서 작곡을 부탁했다. 작곡자 루이스 렌더(Lewis Henry Redner, 1830~1908) 꿈에서 천사들이 부르는 노래를 듣고서 잠을 깨어 일어나 그 멜로디를 악보에 옮겼다고 한다.

 

빵집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하나님의 아들을 그리스도로 믿음으로 하나님과 연합하고 죄 사함을 받으며 칭의를 얻는 복이 넘치기를 바란다. 영원한 생명의 역사가 자신이 구원에 이르는 의, 칭의를 완성할 수 있다고 믿는 이른바 '유보적 칭의론자들'에게도 주어지기를 희망한다. 북한 동포들이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생명의 빵, 하늘에서 내려온 빵을 먹고, 믿어 영생을 얻기 바란다.  "일용할 양식을 주소서"  기도하는 가난한 자들에게 영육간의 양식이 넘치기 바란다. '브레드티비(일명 빵티비)' 시청자들과 '리포르만다' 애독자들이 하늘의 영광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메리 크리스마스!

 

위 영상물은 AIRVIDEO가 촬영한 것이고, 배경음악은 BREADTV가 유튜브에서 가져와 덧붙인 것이다. 저작 권한자들의 양해를 바라며 감사를 표한다.

 

유유미션(UUMission)은 University Ubiquitous Mission의 첫 두 글자와 Mission의 합성어이다. 복음전도자와 목회자 양성 목적의 신학강의공급 선교에 주력하는 비영리선교단체이다. BREADTV와 리포르만다를 운영한다. 독자, 시청자들의 재정 후원을 환영한다.

 

최덕성 박사 (브니엘신학교 총장,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리포르만다, 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

  1.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톨스토이의 『부활』은 명상처럼 흐르는 한편의 긴 설교이다. 성경에 근거한 분노 신학이 맞닿는 지점을 따라가고 있다. 단순히 한 인간의 도덕적 각성을 그린 소설이 아니다. 인...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39 file
    Read More
  2. 톨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3-3)       레프 톨스토이의 『부활』(The Ressulection, Воскресение, 1899)은 인간의 영혼이 죄와 분노, 불의와 무지 속에서 어떻게 깨어나고 다시 태어나는가를 보...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41 file
    Read More
  3.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셰익스피어의 비극 『리어 왕(King Lear)』은 인간의 분노가 어떻게 영혼의 심연을 흔들고, 사랑과 진리를 삼켜버리는지를 보여주는 장엄한 서사시와도 같다. 그 안...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42 file
    Read More
  4.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 사랑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보다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시기(Envy)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가장 은밀히 자라나는 감정이다. 처음에는 미세한 불편함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의 이름이 칭찬받는 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4 file
    Read More
  5.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 10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시기에 대한 경고성경은 시기를 단순한 감정의 사안으로 다루지 않는다. 영혼의 균열, 곧 사랑이 부재한 자리에서 피어나는 내면의 어둠으로 본다. 사도 바울과 베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5 file
    Read More
  6.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어느날 여우는 나뭇가지에 잘 익은 포도가 매달려 있는 것을 침을 삼켰다. 포도를 따려고 뛰어올랐으나 손에 닿지 않앗다. “조금 더 높이 오르면 포도를 딸 수 있을 거야” 하고 시도...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9 file
    Read More
  7. 신데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사진=영화 '신데렐라' 스틸   신델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신데렐라』(Cinderella)는 부당한 학대와 시련 속에서도 주인공 신데렐라가 고난을 이겨내고 초자연적인 원조자의 도움을 받아 결국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4 file
    Read More
  8.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윌리암 셰익스피어의 『오셀로』(Othello)는 인간의 마음속에 잠들어 있는 시기가 어떻게 사랑을 왜곡시키고, 진실을 파괴하며, 결국 자기 자신을 삼켜버리는가를...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1 file
    Read More
  9.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6)   인간의 마음속에는 모방의 불꽃이 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서로를 비추며 배우고, 닮으려 하며,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을 형성한다. 아이는 부모의 말투를 따라 하고, 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8 file
    Read More
  10.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시기’(猜忌, Envy)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미워함이다.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타인’에게 초점을 맞춰서 “시기가 갖지 못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4 file
    Read More
  11.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2)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는 이탤리 피렌체의 하늘 아래 태어나, 인간의 영혼이 하늘과 지옥 사이를 오가던 중세 말의 시인이다. 그는 단순한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5 file
    Read More
  12.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2-1)       영화 〈아마데우스〉(Amadeus, 1984)는 천재 음악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그를 질투한 궁정 작곡가 안토니오 살리에리의 이야기이다. ‘시기(嫉忌)’라는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4 file
    Read More
  13.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6)     인간 영혼의 뜰에는 뱀처럼 은밀하고 교활한 손님이 자리 잡고 있다. 그 이름은 교만이다. 교만은 스스로를 높이려는 끊임없는 욕망이며, 눈을 가린 채 낡은 허상...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5 file
    Read More
  14. 교만의 어두운 계단: 영적 우월감

        교만의 어두운 계단: 우월감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5)     인간의 영혼은 깎아지른 절벽과 같아서 늘 추락의 위험을 안고 산다. 그 추락을 유혹하는 가장 달콤하고도 단단한 땅이 바로 교만이다. 권력의 비탈에서, 명예의 높은 봉우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6 file
    Read More
  15.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교만은 자기기만의 덫이다. 교만은 단순한 자부심 과잉이 아니다. 인간 영혼의 가장 깊은 곳에 드리워진 그림자이다. 스스로를 속이고 타인과의 연결을 끊으며, 모든 선한 노력의 끝자락에서 다시 고개를 드는 뿌리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