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2019.12.02 20:48

현숙한 여인의 표상

조회 수 17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e4d6c81bf34873be245b83f78ba6b5d.jpg

 

현숙한 여인의 표상

 

추석이면 많은 여성이 잠언에 등장하는 현숙한 여인이 될 것을 요구 받는 모양이다잠언 마지막 장에 나오는 이 여인이 되려면 (1) 돈을 잘 벌어 와야 한다, (2) 집안의 일들도 잘해야 한다, (3) 남편 주변 사람 관리도 잘 해주어 남편이 입신양명하는데 결정적 역할도 해야 한다.

 

이런 여성을 현숙한 여인으로 번역한 것은 과잉된 번역의 대표적인 예이다그 이유는첫째카일(חָיִל)이라는 이 남성 어휘를 현숙()’이라는 여성 어휘로 옮겨 놓았기 때문이다둘째이 여성을 마치 조선시대의 귀족 현모양처로 옮겨 놓았기 때문이다.

 

카일은 본래 몸을 비틀다는 동사 쿨(חוּל)에서 비롯된 ’, ‘능력’ 이라는 명사로서 군대라는 의미로 80여회나 쓰인 어휘이다. ‘가치와 같은 어떤 덕목으로 쓰인 건 20여회 밖에 안 되며특히 이 남성 어휘를 여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쓰인 것은 단 2회 뿐이다한 번은 잠언 마지막 장인 여기서 현숙한 여인에게 쓰였고다른 한 번은 다름 아닌 룻에게 쓰였다.

 

그러나 룻에게 현숙한 여인이라 칭하는 대목은 더욱 넌센스하다룻이 유력한 가문의 인물이 잠든 잠자리에 몰래 잠입하여 이불을 함께 덮고 있다가 두려워하고 있을 때 그 유력한 인물 보아스가 이렇게 말하는 대목인데, “네가 현숙한 여인인 줄 동네 사람들이 다 안다.” 한마디로 네가 이렇게 이부자리로 잠입해 들어왔지만 동네 사람은 널 정숙한 여인으로 알 것이라는 말이다.

 

이 역시 카일에 대한 오인에 기인한다카일은 현숙한 여인이 아니라 용맹스런 여인이다먹고살기 어려운 룻이 유력한(돈 많고 땅 많은보아스에게 전략적으로 접근한 줄 알지만 보아스의 말에 따르면 룻이 (정욕을 좇아젊은 고엘에게도 안 가고, (부를 좆아돈 많은 고엘에게도 안 가고 자기에게 왔다는 것이다.

 

룻은 보아스의 뭘 보고서 다른 선택지를 버리고 보아스에게 책무를 물었을까그것은 바로 룻의 약속’(계약의 성실)을 보는 눈에 기인하였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룻이 용....보아스를 택한 덕에 보아스의 족보에 룻이 깃든 것이 아니라,보아스의 족보가 룻쪽으로 굴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시어머니 나오미의 집안은 남자가 하나도 남아나지 않고 사실상 멸절/멸문되었는데 룻의 이 용맹스러움 덕택에 그 집안이 사라지지 않을 수 있었다한국의 현숙한 여인들은 명절에 용맹스럽게들 전을 부치고 있을 것이다.

 

참고: “비튼다는 여성 동사에서 어떻게 군대라는 말이 나올 수 있었을까그것은 잉태한 여성이 고통의 인내로써 몸을 비틀어 출산하는 힘을 말한다이스라엘은 군대가 여성에게서 나온다는 사실을 믿었다.

 

김영진호서대학교 교수미문교회 목사 (페이스북 글)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1.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톨스토이의 『부활』은 명상처럼 흐르는 한편의 긴 설교이다. 성경에 근거한 분노 신학이 맞닿는 지점을 따라가고 있다. 단순히 한 인간의 도덕적 각성을 그린 소설이 아니다. 인...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39 file
    Read More
  2. 톨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3-3)       레프 톨스토이의 『부활』(The Ressulection, Воскресение, 1899)은 인간의 영혼이 죄와 분노, 불의와 무지 속에서 어떻게 깨어나고 다시 태어나는가를 보...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41 file
    Read More
  3.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셰익스피어의 비극 『리어 왕(King Lear)』은 인간의 분노가 어떻게 영혼의 심연을 흔들고, 사랑과 진리를 삼켜버리는지를 보여주는 장엄한 서사시와도 같다. 그 안...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42 file
    Read More
  4.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 사랑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보다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시기(Envy)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가장 은밀히 자라나는 감정이다. 처음에는 미세한 불편함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의 이름이 칭찬받는 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4 file
    Read More
  5.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 10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시기에 대한 경고성경은 시기를 단순한 감정의 사안으로 다루지 않는다. 영혼의 균열, 곧 사랑이 부재한 자리에서 피어나는 내면의 어둠으로 본다. 사도 바울과 베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5 file
    Read More
  6.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어느날 여우는 나뭇가지에 잘 익은 포도가 매달려 있는 것을 침을 삼켰다. 포도를 따려고 뛰어올랐으나 손에 닿지 않앗다. “조금 더 높이 오르면 포도를 딸 수 있을 거야” 하고 시도...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9 file
    Read More
  7. 신데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사진=영화 '신데렐라' 스틸   신델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신데렐라』(Cinderella)는 부당한 학대와 시련 속에서도 주인공 신데렐라가 고난을 이겨내고 초자연적인 원조자의 도움을 받아 결국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4 file
    Read More
  8.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윌리암 셰익스피어의 『오셀로』(Othello)는 인간의 마음속에 잠들어 있는 시기가 어떻게 사랑을 왜곡시키고, 진실을 파괴하며, 결국 자기 자신을 삼켜버리는가를...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1 file
    Read More
  9.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6)   인간의 마음속에는 모방의 불꽃이 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서로를 비추며 배우고, 닮으려 하며,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을 형성한다. 아이는 부모의 말투를 따라 하고, 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8 file
    Read More
  10.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시기’(猜忌, Envy)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미워함이다.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타인’에게 초점을 맞춰서 “시기가 갖지 못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4 file
    Read More
  11.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2)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는 이탤리 피렌체의 하늘 아래 태어나, 인간의 영혼이 하늘과 지옥 사이를 오가던 중세 말의 시인이다. 그는 단순한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5 file
    Read More
  12.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2-1)       영화 〈아마데우스〉(Amadeus, 1984)는 천재 음악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그를 질투한 궁정 작곡가 안토니오 살리에리의 이야기이다. ‘시기(嫉忌)’라는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5 file
    Read More
  13.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6)     인간 영혼의 뜰에는 뱀처럼 은밀하고 교활한 손님이 자리 잡고 있다. 그 이름은 교만이다. 교만은 스스로를 높이려는 끊임없는 욕망이며, 눈을 가린 채 낡은 허상...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5 file
    Read More
  14. 교만의 어두운 계단: 영적 우월감

        교만의 어두운 계단: 우월감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5)     인간의 영혼은 깎아지른 절벽과 같아서 늘 추락의 위험을 안고 산다. 그 추락을 유혹하는 가장 달콤하고도 단단한 땅이 바로 교만이다. 권력의 비탈에서, 명예의 높은 봉우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6 file
    Read More
  15.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교만은 자기기만의 덫이다. 교만은 단순한 자부심 과잉이 아니다. 인간 영혼의 가장 깊은 곳에 드리워진 그림자이다. 스스로를 속이고 타인과의 연결을 끊으며, 모든 선한 노력의 끝자락에서 다시 고개를 드는 뿌리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