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b2fc626a4ffb52330dd20c12a1e495d9.jpg

 

뉴욕 유엔본부       

정당한 전쟁론, 양심적 병역의무

 

대한민국은 여호와증인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단 그룹의 젊은이들의 이른바 양심적 병역 거부를 용인하는 방향을 나아가고 있다프로테스탄트 교회들과 로마가톨릭교회는 병역 의무입대집총을 거부하지 않는다. '양심적 병역의무'를 성실히 이행한다. '양심적 병역거부'는 군 복무를 성실히 하는 자를 '비양심적인 병역자'로 몰아부친다. 기독인의 국방의의무 수행, 군입대, 집총은 무방한가? 무엇을 근거로 프로테스탄트교회와 로마가톨릭교회 신자들은 이를 마다하지 않는가? 기독교사상사에서 탐색하면 이 주제는 어거스틴(Augustinus, 354-430)의 정당한 전쟁론’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어거스틴의 사상과 저작들은 대부분 당시의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한 신앙고백적 노력의 열매이다.

 

도나투스주의자들은 박해 동안에 배교한 자들의 치리에 대한 엄격한 견해를 가진 탓으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도나투스주의자들 가운데는 극단적인 사람들이 있었다그들은 자신들의 교회에 속한 사람들이 가톨릭교회로 되돌아가지 못하도록 무력으로 방해했다교회는 그들의 폭력을 막는 무력사용도 무방하다고 생각했다그 무렵로마는 야만족들이 제국을 위협하고 모슬렘이 영토로 침략해 오는 것에 대항하는 무력사용을 신학적으로 정당화하는 게 필요했다어거스틴은 이 현안을 해결하고자 노력한 끝에 정당한 전쟁론(Bellum Justum: 義戰論)을 발전시켰다.

 

어거스틴은 전쟁보다 평화를 사랑했다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전쟁을 옹호한 사람으로기독교 전쟁이론을 최초로 정립한 신학자로 알려져 있다그의 이론에 따르면 전쟁은 불행한 것이지만 평화를 유지회복하기 위해 피할 수 없는 과업이다진정한 악은 전쟁 그 자체가 아니라 인간이 사나움을 사랑하는 일이다전쟁과 무력의 사용이 정당화 되려면 아래와 같은 목적과 동기가 있어야 한다.

 

첫째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다예견되는 악을 억제하려고 죄인들에게 제재를 가하는 무력사용은 정당하다모세의 전쟁은 이런 의미에서 정당하며의로운 응징이었다.

 

 

둘째사랑의 동기이다복수심 때문에 전쟁을 하거나사람을 죽이는 일을 즐기려고 하는 전쟁은 정당하지 않다모세가 사람을 죽인 것은 잔인함(Cruelty)이 아니라 오로지 사랑(Charity)의 동기에서 비롯되었다원수를 사랑하라는 가르침은 원수에 대한 호의적 단호함(Benevolend Severity)을 유지하는 것조차 금하지는 않는다사랑의 동기로 수행하는 전쟁은 성경의 가르침과 모순되지 않는다.

 

셋째올바르게 구성된 합법적 기관이나 권위 있는 조직체가 수행하는 전쟁이나 무력 사용만이 정당화될 수 있다개인은 타인의 목숨을 끊으면 안 된다자기방어 목적의 살인은 잘못이다정당방어로 죽였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미움 때문일 수 있다오로지 공적 직임자(Public Officials)만이 칼을 들 수 있다군인이 합법적 기관의 업무수행으로 사람을 죽이는 것은 죄가 아니다.

 

어거스틴은 교회가 하나님의 이름으로 칼을 들거나 모세처럼 신적인 권위로 사람을 죽이는 행위도 정당한 전쟁의 범주에 해당한다고 생각했다.

 

fca8d34f187aef6f9afce5c358ff0eb0.jpg

 

 

 

 

어거스틴의 정당한 전쟁론은 키케로로부터 유래했으며암브로시우스 등 여러 교부들의 사상을 집약한 것이다어거스틴은 사람을 죽이는 행위일지라도 사랑의 동기로 한 것이면 정당하며기독신자도 이러한 목적과 동기로 전쟁을 일으킬 수 있고 사람을 죽이는 일이 가능하다고 보았다어거스틴의 이 주장은 로마제국 군대나 교회의 힘으로 도나투스주의자들에게 가하는 북아프리카의 감독들의 폭력 행위를 정당화했다.28 그는 세속 권력이 도나투스주의자들을 억압해 줄 것을 희망했다.

 

어거스틴의 주장에 따르면 가톨릭교회가 도나투스주의자들에 대하여 무력을 사용하고 국가권력으로 그들을 진압하는 것이 가능하다반면에 도나투스주의자들은 무력을 사용할 수 없다합법적 기관이 아니기 때문이다로마제국이나 가톨릭교회의 시각에서 보면 도나투스주의자들은 정상적인 집단이 아니다그러므로 무력을 사용할 수 있는 권위를 갖지 못한다자파는 무력을 사용할 수 있고도나투스파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아전인수(我田引水)격이며 견강부회(牽强附會식이다어거스틴은 도나투스주의자들을 반대하여 교회의 통일성에 관하여(On the Unity of the Church), 도나투스주의자들을 반대하여 세례를 논함(On Baptism against the Donatists), 가우텐티우스를 반대하여』 (Against Gaudentius)를 저술했다.

 

과연 사랑의 동기로 발생하는 전쟁이 존재하는가전쟁은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발행한다사랑의 동기로 하는 전쟁이란 것은 입술에 발린 말에 지나지 않는다미국이 한국전에 참가하고그라나다를 침공하고이라크를 공략한 것은 과연 우방의 평화를 유지하려는 진정한 사랑의 동기 때문이었는가미국은 한반도에서 특정 이데올로기를 옹호하고중남미에서 미국의 힘을 과시하고걸프만의 석유를 장악하고세력이 커지는 이슬람의 팽창을 억제하려는 의도를 가지지 않았던가?

 

어거스틴의 정당한 전쟁론은 기독교를 국교로 삼은 서구제국들의 식민주의와 정복주의 야욕과 침략행위를 정당화하는 이론적 근거가 되어왔다현재는 로마가톨릭교회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교회들도 그의 이론을 정당한 것으로 수용하고 있다어거스틴은 전쟁을 수행하러 나가는 기독인 병사 개인과 군대에게 그 전쟁의 동기와 목적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부담을 안겨주었다동기가 위 세 가지 조건에 부합하지 않을 때는 참전을 명하는 권력자의 명령에 목숨을 걸고 항거해야 하는 중차대한 과제를 안겨주었다.

 

스위스 쮜리히의 종교개혁자 츠빙글리 목사는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괴멸하려는 로마가톨릭 영주 군대를 대항하여 칼을 들고 전쟁터에서 싸우다가 장렬히 순교했다. 양심적 병역의무에 해당한다. 정당한 전쟁 이론은 하나님의 나라와 세상 나라 곧 기독교 국가관과 직결되어 있다. 최덕성, <쌍두마차시대>(서울본문과현장사이, 2012)의 제3장 어거스틴의 신학사상”을 참고하라.

 

최덕성 박사 (브니엘신학교 총장, 교의학 교수)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김세윤 교수의 로마카톨릭 칭의론

      김세윤 교수의 로마카톨릭 칭의론    아래의 글은 기독교사상연구원 리포르만다 주최 학술 세미나에서 발표한 논문 “트렌트공의회 칭의론과 칼빈의 해독문: 김세윤의 로마가톨릭 칭의론과 관련하여” 도입과 개요 소개 내용이다. 유뷰트 동영상으로도 시청할...
    Date2023.08.30 Byreformanda Reply0 Views562 file
    Read More
  2. 김세윤 교수의 ‘유보적 칭의론’ 유감

        김세윤 교수의 ‘유보적 칭의론’ 유감 (재차 기고문)     신약신학자 김세윤 교수(풀러신학교)는 “행함 있는 믿음으로 구원받는다”고 역설한다. “믿음만으로 구원받는다”는 종교개혁자들의 이론에 결함이 있다고 본다. 자신이 주장하는 새로운 칭의론이 종...
    Date2023.08.30 Byreformanda Reply0 Views947 file
    Read More
  3. 유아세례 비판에 대한 칼빈의 논박

      유아세례, 카타콤 벽화(주후 150년 경)    유아세례 비판에 대한 칼빈의 논박   하나님은 자비하사 세르베투스의 유아세례에 대한 비판들을 개혁교회들을 대표하여 칼빈으로 하여금 잘 반박하게 하셨다.   칼빈은 세르베투스의 유아세례에 대한 견해를 논박...
    Date2023.08.16 Byreformanda Reply0 Views595 file
    Read More
  4. 능동-수동 순종, 머레이와 맥클라우드의 견해

        능동-수동 순종, 머레이와 맥클라우드의 견해     최근 한국교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그리스도의 수동 순종과 능동 순종 논의를 지켜보면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을 지적하고 싶다. 그리스도의 두 가지 순종을 찬성하는 분들의 글들을 읽어보면 최근에 이 주...
    Date2023.07.28 Byreformanda Reply0 Views659 file
    Read More
  5. 종교다원주의 신학자들의 핵심이론

          종교다원주의 신학자들의 핵심이론     기고: <선교와 교회>(Vol. 11, 2023 Spring), 20-44   A. 들어가는 말     종교다원주의(Religious Pluralism)는 현대판 자유주의 신학의 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탈구조주의, 혼합주의, 민족문화 그리고 종교의...
    Date2023.07.08 Byreformanda Reply0 Views1031 file
    Read More
  6. 천상어전회의, 하나님의 뜻

          천상어전회의, 하나님의 뜻   창세기는 창조자 하나님이 인간을 만들 때의 기록을 단수가 아닌 복수로 표현한다. “나의 형상을 따라 나의 모양대로”가 아니라 "우리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사람을 만들고"로 기록한다.  "하나님이 이르시...
    Date2023.05.04 Byreformanda Reply0 Views1113 file
    Read More
  7. 만유구원론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만유구원론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예수를  믿지 않아도 구원을 받는가? 역사가 어떻게 끝날 것이며, 세계사의 종말과 관련하여 신학에는 대략 두 가지 답이 있다. 첫째는 심판의 이중결과설이고, 둘째는 만유구원론(Universal Salvation)이다.    심판의...
    Date2023.04.01 Byreformanda Reply0 Views811 file
    Read More
  8. CHAT GPT와 신학교육

        CHAT GPT와 신학교육     1. 즉답인공지능   인류는 즉답인공지능 ChatGPT(Chat Generated Pre-trained Transformer, 사전 훈련된 생성 변환기) 시대로 진입했다. 시간이 갈수록 인공지능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즉답인공지능은 신학교육과 목회현장를 ...
    Date2023.03.12 Byreformanda Reply1 Views1607 file
    Read More
  9. 주기철 목사복권과 ‘교회교’ 전통

        주기철 목사복권과 ‘교회교’ 전통     1. 신사참배거부운동     신사참배거부운동(신사불참배운동)은 우상숭배를 하지 말라는 계명을 지킨 기독교 신앙운동이면서, 애국애족적인 항일운동이었다. 일제의 황민화(皇民化) 정책에 저항한 운동이자 민족정신...
    Date2023.03.01 Byreformanda Reply0 Views732 file
    Read More
  10. 불가항력적 은혜를 거부하다

            불가항력적 은혜를 거부하다   구원론을 공부하는 목적은 하나님이 어떠한 방법과 위대한 절차로 우리를 구원하였는지를 배우는 것이다. 그리고 구원지식으로 예전의 나처럼 비기독교인인 사람들에게 구원의 복음을 전하고 예수를 믿게 하고 하나님과 ...
    Date2023.01.08 Byreformanda Reply0 Views1104 file
    Read More
  11. WCC 제11차 총회에 바라는 4가지 신앙고백

      WCC 제11차 총회 개회 기도회(20220831, 독일 카를스루에)   WCC 제11차 총회에 바라는 4가지 신앙고백   “하나님의 구원에 제한이 없다”는 그들에게, 예수님께서 WCC 총회에 참석하면, 뭐라고 하실까?   1.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1차 총회가 독일 카를스...
    Date2022.09.01 Byreformanda Reply0 Views677 file
    Read More
  12. 종교다원주의 신학자들

    소피마르소, 파리   종교다원주의 신학자들   WCC 바로알기    WCC는 "하나님의 구원에 제한이 없다"고 한다. "타종교에도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이 있다"고 한다. WCC의 여러 개 문서들이 이 진술을 담고 있다. 제10차 총회(부산, 2013)가 일방적으로 선포한 ...
    Date2022.02.15 Byreformanda Reply0 Views1388 file
    Read More
  13. 뉴비긴의 교훈

        뉴비긴의 교훈   WCC 바로알기 33 1. 역사, 교회사를 공부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모든 학문 분야의 기초교육은 역사 공부에서 시작한다. 과학사, 의학사, 문학사, 예술사, 교육사, 사회사, 언어사, 민족사, 정치사 등이다. 신학교육은 역사와 직결되어 ...
    Date2022.02.07 Byreformanda Reply0 Views702 file
    Read More
  14. 복음적 에큐메니스트의 탄식

    교황 프랜치스코, WCC 지도자들에게 교회일치를 연설하고 있다.     복음적 에큐메니스트의 탄식   WCC 바로알기 32   1, 목회자, 선교사, 신학자는 어느 신학교에서 기초 신학을 수업했으며, 누구에게 사사했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 단계에서 배운 기초...
    Date2021.12.03 Byreformanda Reply0 Views691 file
    Read More
  15. 레슬리 뉴비긴의 오판

      레슬리 뉴비긴의 오판 WCC 바로알기 31   1. 복음주의자들 가운데 WCC에 들어가서 이 단체를 복음적으로 바꾸겠다는 생각을 하는 자들이 있다. 과연 그것이 가능할까? WCC에 복음주의자들이 설 공간이 있는가?  패러다임을 복음적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한가...
    Date2021.12.02 Byreformanda Reply0 Views138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