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791590a0e468d9355529a591bf582635.jpg

 

설교폭력

(원제: 설교언어의 폭력성)

1. 설교자로 살아가면서 설교에서 상처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 고통스럽다프란시스코 페레(Ferrer Guardia, Francisco)는 "꽃으로도 아이를 때리지 마라"고 했는데 설교로 위로와 치유회복은커녕 회중에게 상처를 준다는 것은 설교자에게는 가장 가슴아픈 순간이다그러나 실제로 강단에서는 말씀으로 회중을 때리는(?)설교폭력을 어렵지 않게 접하게 된다설교의 폭력성은 일방적이라는 측면에서종교의 옷을 입고 자행된다는 측면에서 여타의 폭력에 비해 더 교묘하고 위선적이다또 설교폭력이 한 목회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회중 역시 이런 언어폭력에 익숙해지게 되어 언어폭력을 일상에서 거리낌 없이 사용한다는 점에서 심각하다즉 가르침과 모범의 위치에 있는 설교자에 의해 자행되는 설교언어의 폭력성이 회중의 언어사용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결국 설교언어의 가벼움폭력성은 기독교전체의 저급한 문화를 양산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2. 회중은 일방적으로 들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이미 고통스럽다그러므로 상식을 넘어선 의미 없이 긴 설교(긴 설교 자체가 잘못은 아니다)는 어떤 의미에서 폭력적이다끝까지 앉아서 긴 설교를 들어야 하는 회중의 입장이 되어 본다면 무조건 설교를 길게만 하는 설교자는 자신의 설교를 돌아보아야 한다그러므로 설교자는 듣는 것이 고통이 아니라 즐거움이 되도록(12:37_백성이 즐겁게 듣더라), 듣는 것이 종교적 강요가 아니라 신자로서 제대로 된 목회적 돌봄을 누리고 있다는 행복감을 느끼도록 해야 할 것이다물론 설교자는 전해야 하는 고통이 있지만 동시에 회중의 들어야만 하는 고통도 헤아려야 할 것이다설교준비의 마지막은 자신이 준비한 설교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은 아니다.(고전10:23)

 

3. 설교 시에 회중을 향하여 거침없는 반말을 시전하는 설교자를 만나는 것은 회중에게는 가장 큰 재앙이다.(고전 14:40, 모든 것을 품위 있게 하고이보다 더 고통스럽고이보다 가혹한 폭력은 없을 것이다회중은 설교자와 동일한 형제된 자요함께 수고하는 군사요그리스도의 몸의 지체이며 가족인데 설교자라는 미명하에 강단에서 아랫사람들에게 훈시하듯이 강론하는 것은 이미 설교의 자리를 벗어나 버린 설교폭력의 현장이 되는 것이다동시에 자신이 강론하는 성경의 위엄과 고상한 가치를 시장의 언어로 수욕을 보이는 것이요자신을 설교자로 부르신 하나님의 소명을 비웃는 행위이다만일 이런 설교자의 설교폭력이 어떤 제지 없이 지속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이런 강단의 폭력범은 현장에서 제압해야 한다이 교회의 시무장로는 당회에서 이 문제를 신중하게 제기해야 하고 거룩한 강단을 폭력으로부터 지켜내야 할 것이다.

 

4. 또한 설교본문을 떠나 삼천포로 직행하는 설교자 역시 설교의 규범에 익숙해진 회중들을 고통스럽게 한다회중들은 속히 설교자가 본문으로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설교자는 본문을 버리고 일상사와 정치사스포츠사를 배회하고서야 겨우 제자리로 돌아온다설교자가 말하는 것에 달인이라면 회중은 듣는 것에 달인이다첫마디만 들어도 준비된 설교인지를 알며이 설교가 어떻게 전개될지를 알고 있다준비되지 못한 설교자가 34번째 동일한 예화를 할 때 회중은 34번째 절망을 느끼고 있다더군다나 말씀을 간절히 사모하는 회중에게는 더할 수 없는 고통의 순간이다.

 

5. 설교 시에 성적인 언행을 아무렇지도 않게 늘어놓아 가슴을 뜨겁게 하는 것이 아니라 얼굴을 붉히게 만드는 설교자설교 시에 특정한 정치적 발언을 늘어놓아 11시 예배를 저녁9시 뉴스로 만드는 설교자설교를 시작하면 일단 10분은 자기 자랑으로 시작하는 설교자감정이 설교에 그대로 드러나는 설교자특정 신자를 거명하여 무참하게 짓밟는 설교자설교를 시작하면서 교회청소상태나강단에 물이 없다는 둥강단의자에 먼지가 많다는 둥교인들의 인사를 잘하지 않는다는 둥하며 설교자에서 교장선생님으로 변신하는 설교자...모두가 강단의 폭력이요설교의 폭력이다.

 

임종구 목사 (임종구 페이스북 글)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빨치산이 민간인 학살 피해자로 둔갑하다

        빨치산이 민간인 학살 피해자로 둔갑하다   원제: "국군과 싸우다 숨진 빨치산, 민간인 학살 피해자로 둔갑", 진실화해위원회 결정 8건이 오류로 드러나     대한민국의 진실화해위원회(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제1기 위원회(진실화해위·200...
    Date2024.07.12 Byreformanda Reply0 Views1182 file
    Read More
  2. 유신진화론을 말하는 사람들에게

        유신진화론을 말하는 사람들에게   무릇 신학을 하는 학도들은 자신들이 철학을 하고 있지 않음을 알아야 하오. 이 단순한 원리를 모르는 사람들은 신학을 오뉴월 염천에 녹아 늘어진 엿가락처럼 만들어 놓곤 하지요.   1.   물론 내가 여기서 말하는 신...
    Date2024.06.06 Byreformanda Reply1 Views881 file
    Read More
  3. 신학계열 대학들, 유신진화론을 배격하다

      lunar eclipse.     신학계열 대학들, 유신진화론을 배격하다     로마가톨릭교회는 유신진화론(Theistic Evolution)을 받아들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창조와 진화론이 대립되지 않는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셨고, 인간이 진화하면서 사명을 완수...
    Date2024.06.01 Byreformanda Reply0 Views655 file
    Read More
  4. 부활 후 40일

        부활 후 40일     지난 주간 우리는 부활주일을 경축했다. 예수님의 지상 공생애는 예수님의 십자가 죽으심과 부활 사건으로 막을 내린 것이 아니다. 부활하신 후 주님께서는 이 세상에서 40일간 더 계시면서 복음 사역을 계속하셨다.     복음서를 종합...
    Date2024.04.06 Byreformanda Reply0 Views1378 file
    Read More
  5. 성경의 블레셋과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성경의 블레셋과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성경에 나오는 블레셋 사람들과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동일 혈족인가?     성경이 언급하는 블레셋 사람들과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직접적인 혈연관계가 없다. 역사적인 변화와 다양한 영향들로...
    Date2024.01.07 Byreformanda Reply0 Views1815 file
    Read More
  6. 한국감리교회, 동성애옹호자를 출교하다

        한국감리교회, 동성애옹호자를 출교하다   2023년 12월 8일 기독교대한감리회가 이동환 목사에 대한 출교 징계로 파문을 일으켰다. 그 이유는 LGBTQ 권리 운동과 동성애 옹호에 대한 그의 개입이었다. 그는 LGBTQ 문화 축제에서 축복식을 거행했다. 출교...
    Date2023.12.24 Byreformanda Reply0 Views732 file
    Read More
  7. [설교] 진노하는 하나님 손 안에 있는 죄인들

        진노하는 하나님의 손 안에 있는 죄인들/ 조나단 에드워즈     [교회사에 등장하는 유명한 설교문이다. 조나단 에드워즈 목사가 1741년 7월 8일 코네티컷의 앤필드에서 행한 설교문이다. 원고를 간추려 정리한 것이다.]   진노하는 하나님의 손 안에 떨어...
    Date2023.11.11 Byreformanda Reply0 Views1010 file
    Read More
  8. 팔레스타인을 위해서도 기도해야 하는가?

        팔레스타인을 위해서도 기도해야 하는가?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으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대규모 공습으로 보복전에 들어갔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난민촌과 학교, 병원 등 민간인 밀집지역에 무차별 폭격으로 많은 민간인과 심...
    Date2023.11.06 Byreformanda Reply0 Views498 file
    Read More
  9. 교회를 선택하려고 하는가?

        교회를 선택하려고 하는가?   새로운 지역에 이사를 가거나 다른 나라에 이민을 가면 신앙생활을 할 교회를 찾게 마련이다.   세상에는 많은 종류의 교회들이 있다. 교회의 선택은 영적 삶에 매우 중요하다. 영혼이 죽을 수도 있고, 삶이 풍요로워질 수도...
    Date2023.10.27 Byreformanda Reply0 Views727 file
    Read More
  10. 바티칸은 여성 사제 안수를 할 것인가?

          바티칸은 여성 사제 안수를 할 것인가?     교황 프란치스코는 로마가톨릭 교계의 대표적인 논쟁거리인 여성 사제 서품을 반대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2023년 10월 24일(현지시간) 교황은 이날 출간된 신간에서 교회 내 여성의 역할과 관련허여 여성 사...
    Date2023.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461 file
    Read More
  11. 유엔 사무총장 구테흐스는 사퇴하라

    유엔사무총장, 그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구테흐스는 사퇴하라     국가연합(유엔)에 파견된 이스라엘 대사 길라드 에르단 씨는 현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오 구테흐스(Antonio Guterres) 씨에게 총장직을 사임할 것을 촉구했다. 구테흐스가 이스라엘에 대한 ...
    Date2023.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37
    Read More
  12. 하나님은 팔레스타인 사람들도 사랑한다

          하나님은 팔레스타인 사람들도 사랑한다     기독교시온주의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테러공격의 규모와 고통은 전례 없는 수준이다. 홀로코스트 사건 이후 유대인에 대한 최악의 학살이다. 어린 자녀가 보는 앞에서 부모를 ...
    Date2023.10.13 Byreformanda Reply0 Views804 file
    Read More
  13. 덕(德)이란 무엇인가?

      덕(德)이란 무엇인가? [편집자 설명: <리포르만다> 운영자 이름의 뜻은 "최고의 덕(德)을 이루라"입니다. 이 이름을 선물한 부친은 동양인, 한국인입니다. 덕이 무엇이라고 이해했기에 이와 같은 이름을 지어주었을까요? 고경태 박사가 <형람서원>에 게시한...
    Date2023.10.06 Byreformanda Reply0 Views1299 file
    Read More
  14. 성직과 성 정체성

        성직과 성 정체성   원제: 기장 제7문서 vs 합동 신학정체성 선언문     올해(2023) 장로교 총회는 역사적 두개의 문서를 통과시켰다.     먼저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 총회는 제7문서를 조건부 수정 통과시켰다. 이것은 이른바 동성애 문서다. 또 총회...
    Date2023.09.22 Byreformanda Reply0 Views496 file
    Read More
  15. 프랑크푸르트학파란 무엇인가

      프랑크푸르트암마인대학교     프랑크푸르트학파란 무엇인가?   프랑크푸르트학파(Frankfurter Schule)는 1930년대 이후 등장한 프랑크푸르트암마인대학교의 사회연구소를 중심으로 일어난 신 마르크스주의 사회이론가 집단을 가리키는 말이다.   초기 프랑...
    Date2023.09.19 Byreformanda Reply0 Views132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